尹 지지율, 70대 이상 긍정 54.5%·부정 41.7%.. TK 긍정 38.8%·부정 58.4%
국힘, 전반적 상승세.. 양당 격차 9.1%p → 2.2%p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2주 전에 비해 2.4%p 상승하며 33.0%를 기록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승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2주 전에 비해 2.4%p 상승하며 33.0%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30%대 초반 박스권이 지속되는 가운데 70대 이상에서만 긍정평가가 우세했다.

정당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 38.1%, 더불어민주당 40.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3.6%를 기록했다. 국민의힘이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이면서 양당 격차는 9.1%p에서 2.2%p로 크게 줄어들었다.

尹 지지율, 70대 이상 긍정 54.5%·부정 41.7%.. TK 긍정 38.8%·부정 58.4%

조원씨앤아이가 스트레이트뉴스 의뢰로 6일부터 8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긍정평가가 30.6%(매우 잘함 16.7% 어느 정도 잘함 16.3%), 부정평가는 67.3%(매우 잘못함 57.7% 어느 정도 잘못함 6.9%)로 집계됐다. 긍정평가는 직전조사보다 2.4%p 상승했고, 부정평가는 2.7%p 하락했다.

지난 조사에 비해 충청에서는 6.3%p 상승했으나 PK에서는 3.0%p 하락했다.

서울은 긍정 31.6%·부정 66.5%, 인천/경기는 긍정 30.0%·부정 67.2%, 대전/세종/충청은 긍정 39.7%·부정 57.1%, 광주/전라 긍정 20.8%·부정 77.2%, 부산/울산/경남 긍정 37.3%·부정 60.7%, 대구/경북 긍정 38.8%·부정 58.4%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에서 긍정이 7.9%p 오르는 등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다만, 60대 이하에서 부정 평가가 우세한 현상은 지속됐다.

18~29세는 긍정 21.8%·부정 72.0%, 30대 긍정 24.6%·부정 73.2%, 40대 긍정 24.9%·부정 74.0%, 50대 긍정 29.6%·부정 69.6%, 60대 긍정 44.3%·부정 54.1%로 나타났다. 70대 이상에서는 긍정 54.5%·부정 41.7%로 긍정이 우세했다.

중도층의 경우 긍정 24.4% 부정 73.5%로 나타났다.

국힘, 전반적 상승세.. 양당 격차 9.1%p → 2.2%p

정당지지도 조사에서는 민주당 40.3%, 국민의힘 38.1%로 집계됐다. 2주전보다 민주당은 2.5%p 하락하고, 국민의힘은 4.4%p 상승했다.

조국혁신당과 개혁신당은 모두 2주전보다 소폭 하락해 각각 7.2%와 3.6% 응답률을 얻었다.

지역별로 국민의힘은 인천/경기(6.2%p)와 충청(8.4%p), 호남(5.0%p), TK(4.3%p)에서 상승했고, 민주당은 충청에서 9.3%p 하락했다.

서울은 국힘 36.0%·민주 39.7%·조국 8.3%, 인천/경기 국힘 36.3%·민주 42.5%·조국 6.7%, 대전/세종/충청 국힘 43.9%·민주 34.6%·조국 4.5%, 광주/전라 국힘 22.2%·민주 57.3%·조국 10.8%로 나타났다.

PK는 국힘 43.5%·민주 37.5%·조국 8.0%, TK 국힘 49.3%·민주 29.5%·조국 6.8%로 집계됐다.

개혁신당은 서울에서 5.1%를 얻었다.

연령별로 국민의힘은 40대(10.9%p)와 50대(5.5%p), 60대(5.2%p), 70대 이상(4.9%p)에서 상승했고, 민주당은 40대에서 10.7%p 하락했다.

18~29세에서 국힘 25.9%·민주 34.2%·조국 10.7%, 30대 국힘 30.6%·민주 41.0%·조국 7.4%, 40대 국힘 29.0%·민주 47.6%·조국 10.6%, 50대 국힘 34.2%·민주 46.7%·조국 7.2%로 나타났다.

60대는 국힘 49.6%·민주 37.8%·조국 4.7%, 70대 이상 국힘 61.9%·민주 31.7%·조국 1.8%로 집계됐다.

개혁신당은 18~29세(9.4%), 30대(5.6%)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중도층에서는 국힘 29.7%·민주 421.%·조국 8.2%로 나타났다.

조사는 무선(100%)·ARS(자동응답)·RDD(임의전화걸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p, 응답률은 2.5%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