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훈 위원장 “총선개입 의혹 밝혀낼 핵심 증인임에도 불출석”
황인수 진실화해위 국장, 마스크 해제 요구 끝내 거부로 퇴장 당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입법조사관이 동행명령을 집행하러 10일 오후 경남 창원 명태균 씨 자택을 방문, 명 씨 가족과 대화하고 있다. 국회 행안위는 이날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하지 않은 명 씨와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동행명령장 발부안을 야당 주도로 의결했다. [사진=연합뉴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입법조사관이 동행명령을 집행하러 10일 오후 경남 창원 명태균 씨 자택을 방문, 명 씨 가족과 대화하고 있다. 국회 행안위는 이날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하지 않은 명 씨와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동행명령장 발부안을 야당 주도로 의결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김건희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의 당사자인 명태균 씨와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하지 않아 동행명령장이 발부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0일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하지 않은 명 씨와 김 전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동행명령장 발부안을 야당 주도로 의결했다. 동행명령에 따라 증인이 이를 거부하거나 고의로 동행명령장 수령을 회피한 경우 국회증언감정법상 국회 모욕죄로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신정훈 행안위원장은 “대통령실의 총선개입 의혹을 밝혀내기 위한 핵심 증인임에도 불출석했다”며 “수사 중이라는 이유로 선서와 증언을 거부할 수 있지만, 증인 출석 자체를 거부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행안위는 명 씨와 공천 과정에 연루 의혹을 받는 김 전 의원 등을 국감 증인으로 채택했다. 하지만 이들은 관련 수사를 이유로 이날 국감에 불출석했다. 

한편, 이날 행안위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국가정보원 출신인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진화위) 황인수 조사1국장이 마스크를 벗으라는 요구에 응하지 않아 퇴장당하는 소동도 있었다.

신정훈 위원장은 국감 개의 선언 후 “기관 증인으로 출석하신 증인이 자신의 얼굴을 공개하지 않고 마스크를 쓰고 있어서 신분을 확인할 수 없다”며 황 국장을 발언대로 불러냈다.

황 국장은 발언대에 서서 “저는 전 직장인 국정원에서 28년 동안 매국노를 찾아내고 처벌하는 일에 매진했다”고 말하자, 야당 의원들은 “영웅인 줄 아나”라고 비판했다. 

신 위원장은 “증인은 국회 증언감정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현장에 출석해 있다. 증인의 기본적인 사항은 신원이 확인돼야 증언이 가능하다”며 “우리 중 누구도 증인이 황 국장이라고 확인할 수 없다. 마스크를 벗어줄 것을 명령한다”고 재차 요구했다. 

이어 “이미 언론 보도를 통해, SNS 검색을 통해, 국회에 제출된 신상을 통해 얼굴 생김새는 공개돼 있다”며 황 국장 얼굴이 드러난 사진을 들어 올렸다. 

그러나 황 국장은 “마스크 해제가, 그 이후 제가 불이익을 당하지 않고 대한민국을 위해 도움을 주신 분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국회 차원의 조치가 약속된다면 언제든 벗을 수 있다”며 끝까지 마스크를 벗지 않았다. 

이에 야당 의원들은 “그럼 사임하라. 다른 일을 하시라”(이해식 민주당 의원), “국장님이 그 자리에 있는 게 2차 가해”(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라며 강하게 항의했다.

김광동 진화위원장은 신 위원장이 “(황 국장의) 얼굴이 이미 만천하에 공개돼 있다. 황 국장이 평상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활동하냐”고 묻자, “평소에는 마스크를 쓰고 활동하지 않는다. 언론에 공개되는 자리에서 마스크를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을 이해해 달라는 그런 의미”라고 했다.

이에 신 위원장은 “두 분의 태도에서 진화위가 국회를 대하는 진정성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 기관 증인으로 인정할 수 없다. 선서도 받지 않겠다”며 황 국장과 김 위원장을 퇴장 조치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