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2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56회 국가조찬기도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11/671715_480043_5825.jpg)
[폴리뉴스 이경민 기자] 윤석열 대통령 부부가 기존에 사용하던 개인 휴대전화 사용을 중단하고, 새로운 번호를 개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야권에서는 “국정농단 증거 인멸 시도”라는 비판이 나왔다.
여권 관계자는 24일 “윤 대통령 부부가 이전의 휴대전화는 사용하지 않고 새 휴대전화를 개통해 사용 중”이라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앞서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배우자 김건희 여사가 개인 전화로 사적인 소통을 이어가며 각종 논란이 불거졌다는 지적과 관련, “저도, 제 처도 취임 후 휴대폰을 바꿨어야 한다"며 “검사 때 쓰던 휴대폰을 계속 쓰고 있으니 무조건 바꾸란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고 말했다. 또한 “이게 리스크도 있지만 장점도 있다고 생각해서 이렇게 했는데, 이 부분은 리스크를 줄여 나가면서 국민들이 이런 걸로 걱정하고 속상해하는 일이 없도록 조치하겠다”고 언급했다.
한민수 “공수처에 증거보전 절차 촉구”
이에 야당은 ‘증거인멸 시도’라며 비판했다.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25일 오전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윤 대통령 부부가 기존에 사용하던 개인 휴대전화를 교체하겠다는 보도가 나왔다”며 “이 보도가 사실이면 매우 논란의 여지가 있다. 부적절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한 대변인은 “윤석열·김건희 대통령 부부의 각종 국정농단 의혹이 불거졌는데 두 사람이 모든 의혹에 당당하다면 기존 휴대전화는 보관해야 한다”며 “교체가 폐기로 가선 안 된다. 민주당은 공수처에 증거보전 절차를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박홍근 민주당 의원도 ‘증거 인멸 시도’라는 언급을 남겼다. 박 의원은 25일 페이스북 단문 메시지를 통해 “윤석열 대통령이 "아내가 나 대신 메시지 답장"했다고 해서 논란이 된 휴대전화를 바꿨다고 한다”며 “대통령 부부가 함께 교체했다고 하는데, 국정농단의 행적들이 고스란히 남아 있을 기존 휴대전화를 자진해서 수사기관에 제출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박 의원은 “함부로 폐기 처리했다가는 '증거인멸'로 구속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정리했다.
윤종군 “증거인멸 의심 떨칠 수 없어”
윤종군 원내대변인 또한 이날 논평을 통해 “대통령 부부의 휴대전화 교체가 이렇게 뉴스거리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며 “대통령 부부의 휴대전화는 채 해병 순직사건 수사 외압부터 ‘비선실세’ 명태균의 공천 개입, 인사 비리, 국정개입 등 온갖 국정농단 의혹을 규명할 핵심 증거”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윤 원내대변인은 “그런 점에서 윤석열·김건희 대통령 부부가 그간 해온 무수한 거짓말을 보면 증거인멸을 시도할 것이라는 강한 의심을 떨칠 수 없다”며 “윤석열·김건희 부부는 휴대전화 교체를 구실로 핵심 증거를 인멸하려는 시도를 멈추고 지금 당장 휴대전화를 수사가 진행 중인 공수처에 자진해서 제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윤 원내대변인은 “공수처에도 촉구한다다. 진실을 숨길 시간을 주어서는 안 된다’며 “공수처는 대통령 부부를 둘러싼 각종 의혹을 제대로 밝히기 위해 지금 즉시 대통령 부부의 기존 휴대전화를 ‘증거보전 신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국혁신당 김보협 대변인 또한 25일 ‘님아 그 휴대폰 버리지 마오’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국정기조를 바꾸라고 했더니 휴대전화 탓을 하면서 전화를 바꿨다”며 “정작 해야 할 것은 하지 않고 안 해도 그만인 것은 잘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대변인은 “윤 대통령 부부가 더는 사용하지 않을 테니 기존 전화기는 가장 필요로 하는 검찰에 제출하길 바란다”며 “혹시라도 해외 순방 가서 잃어버리거나 강이나 바다에 던져 폐기해서는 안됩니다. 정보의 보고 아닌가”라고 논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