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세였던 건강수명 지표 70세 넘어...그 나이도 노동 가능”
“양질 일자리에 들어가고자 하는 젊은 층 반발 고려”
“정년 문제, 토론 과정에서 많은 국민의 공감을 얻어야 해”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앞줄 왼쪽 다섯번째)가 27일 오전 국회에서 '정년연장 쟁점과 과제'란 주제로 열린 당 격차해소특별위원회의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며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11/672119_480455_753.jpg)
[폴리뉴스 안다인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27일 “일하고 싶으면 일할 수 있게 정년 연장 등 제도 개혁을 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동훈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국민의힘 격차해소특별위원회 주최로 열린 ‘정년 연장 쟁점과 과제 정책토론회’에서 “과거 62세였던 건강수명 지표가 70세가 넘었다. 그 나이까지 노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한 대표는 최근 국민의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의 정년 연장 찬반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예상과 다르게 많은 사람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분석하기로는 100세 시대, 110세 시대가 되면서 충분히 일할 수 있는 나이에 (직장을) 그만둬서 국민연금을 받을 때까지 갭이 있다”며 “정년에 다다른 분들뿐만 아니라 젊은 분들도 찬성하는 비율이 높았다. 특히 40대, 50대의 찬성률이 높았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지난번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노총)에서도 이 문제를 가지고 비슷한 토론을 했다. 한노총은 기본적으로 찬성하지만, 문제는 대기업이나 공기업 같은, 많은 사람이 선호하는 양질의 일자리에 들어가고자 하는 생각을 갖는 젊은 층의 반발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저도 그 점에 대해서는 같은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 대표는 “이 문제 때문에 정년 개선 문제는 이렇게 논의되다가 그만두었다”며 “예를 들어 대기업 공공분야의 경우 정년 연장 제도 개혁을 후순위로 미룬다거나, 우선 할 수 있는 중소기업이나 그 외 사업장부터 시작하는 방식으로 제도적 보완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대표는 “정년 연장은 무시무시한 주제다. 웬만한 정치인은 (논의가) 어떻게 튈지 걱정 때문에 말을 아끼게 된다”면서 “이 문제는 어느 한쪽이 밀어붙여서 될 문제는 아니다. 토론 과정에서 많은 국민의 공감을 얻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경태 격차해소특위 위원장(부산 사하구)은 “전문가들은 2026년 노인 인구가 20%가 될 것으로 전망했는데, 내년 말쯤이면 이미 앞당겨서 초고령 사회에 접어들 것 같다”며 “우리가 논의하는 정년 연장은 시간의 문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