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입 규제 검토, 한국 철강 업계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 필요성 ↑
日열연강판수입 약 1조7천억원…韓, 일본수출 철강재 약 5조4천억원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사진=연합뉴스 TV]](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01/677939_486964_5314.jpeg)
[폴리뉴스 이상명 기자] 최근 일본 정부가 한국 및 중국 등 외국에서 수입되는 철강 제품에 대한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국내 철강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일본은 한국의 최대 철강 수입국으로, 이 같은 움직임이 한국 철강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철강연맹의 이마이 타다시 회장은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일본 내 철강재 수입이 증가하면서 공급망에 큰 타격을 주고, 철강업의 탈탄소화를 위한 투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관세를 검토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는 "신속하게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일본 정부와 함께 강력한 반덤핑 조치 등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한국의 철강업계에서는 일본의 이 같은 움직임이 지난해 12월 한국이 일본산 열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소를 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한국에서 유통되는 가격에 비해 저렴하게 일본에 철강 제품을 수출하고 있는 상황이 일본의 보복 조치 대상이 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현재 한국의 열연 유통가는 톤당 약 80만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는 반면, 일본으로 수출되는 제품은 70만원 초반대로, 약 10% 가까이 저렴하게 형성돼 있다.
또한 국내에서 소비되지 못하는 철강 제품의 일본 수출 물량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2023년에 비해 2024년 일본으로의 수출량은 열연이 85만 7000톤에서 87만 톤으로, 후판은 21만 6000톤에서 23만 1000톤으로, 냉연은 63만 7000톤에서 66만 6000톤으로 각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에는 2015년 이후 최고 수출치를 기록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은 한국의 주요 철강 제품 수출 대상국 중 하나로, 양국은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ECP)에 따라 거의 모든 철강 제품이 무관세로 거래되고 있다"며 "한국이 일본산 제품에 고율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할 경우, 일본도 반격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이렇게 되면 국내 철강사들에게도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일본산 열연강판의 수입 규모는 약 1조 7000억원이며, 한국의 철강사가 일본에 수출하는 철강재 전체물량은 약 5조4000억원이다.
특히 포스코는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포스코는 일본에 고급 철강 제품을 주로 수출하고 있으며, 이 제품들은 일본의 주요 자동차 제조사인 도요타, 닛산, 혼다와 주요 부품 업체들에 공급되고 있다. 2024년 기준으로 포스코가 일본에 수출한 고부가가치 철강 제품의 금액은 약 671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의 관세 검토가 실제로 진행될 경우, 한국의 철강업계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정부와 업계는 전략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의 철강업계는 일본의 정책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시장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