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우가 보수의 주류되고 국힘은 극우에 편승... 민심과 동떨어져”
“국민의힘 의원, 정권 뺏기는 것보다 다음 총선 당선이 더 중요”
“윤 대통령의 궤변·변명에 침묵하는 다수는 탄핵을 당연하게 생각”
“젊은층이 탄핵 찬성 집회의 주인공, 탄핵 반대 집회에선 액세서리”
“부정선거 빠진 尹과 극우, 정권교체돼도 더 거세게 준동할 듯”

[폴리뉴스 대담 김능구 발행인, 정리 서경선 기자]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와 차재원 부산가톨릭대 특임교수는 4일 오후 폴리뉴스 본사에서 2025년 2월 정국진단을 진행했다. 김 대표와 차 교수는 국민의힘의 극우화를 진단하고 전망하는 대담을 가졌다.
“젊은층이 탄핵 찬성 집회의 주인공, 탄핵 반대 집회에선 액세서리”
▲ 김능구> 이번에 3.1절 집회 가 보셨어요?
△ 차재원> 아니요, 가보지는 않고요.
▲ 김능구> 지난 2016년 박근혜 탄핵 때, 거슬러 올라가자면 이명박 당시의 소고기 파동. 그때부터 우리 시위 문화가 축제 문화로 바뀐 것 같았는데 이번에는 축제보다는 공기가 무겁더라고요. 제가 여의도로 해서 광화문으로 갔기 때문에 여의도 집회, 광화문 집회, 탄핵 반대 집회를 다 보고 그다음에 안국동의 탄핵 찬성 집회를 갔거든요. 처음에 놀랐던 게 규모와 열기가 비교가 안 되더라고요. 깜짝 놀랐어요. 그리고 실제로 여의도 집회장에 갔을 때 보니까 젊은 친구들이 굉장히 눈에 많이 띄더라고요. 언론 보도에 따르면 유모차도 끌고 나왔다고. 이건 상상하기 어렵지 않습니까? 부모가 애들을 데리고 왔다면 미래를 위해서 어지러운 집회장에 왔다는 건데 탄핵 반대 집회가 그런 분위기와 양상까지 벌어지는 걸 보고 굉장히 충격을 받았어요, 솔직히 말하면.
△ 차재원> 제가 현장을 직접 보지는 않았지만.
▲ 김능구> 현장을 안 가면 잘 모를 겁니다.
△ 차재원> 현장을 보지 않았지만 그날 중계방송을 해주니까 보면서 그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지난번 탄핵이 첫 번째 부결되고 난 다음 두 번째 탄핵이 국회에서 추진될 때 여의도를 진짜 완전히 꽉 메웠던 탄핵 찬성 집회가 있었잖아요. 12월 7일. 그러니까 첫 번째 탄핵이 실패하고 14일에 두 번째 때 됐잖아요. 첫 번째, 두 번째 시위가 그때 여의도 여기에서 국회 앞까지가 꽉 찼거든요.
그때 아까 말씀하셨던 그 시위 양상이 말 그대로 축제 분위기 같은 그런 양상을 보였고, 그리고 시위를 봤던 외신들이 놀랐던 것이 K-POP을 이용해서 시위를 하더라. 그리고 예를 들면 배너의 문구가 천편일률적으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런 것이 아니라 자기들의 개성 있는 배너들을 들고나와서 주장했다는 것이죠.
그런데 그것이 불과 한 3개월 만에 뒤집어지는 그런 양상이잖아요. 저는 그런 생각을 해요. 물론 탄핵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절박함도 있지만 탄핵을 찬성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아무리 저렇게 용빼고 해도 어차피 탄핵은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그럴 수밖에 없는 거지 탄핵 심판이 오랫동안 한 달 넘게 진행되면서 윤석열이 제대로 반박을 못 했잖아요. 이야기한 건 전부 다 궤변이고 부인이고 거짓말로 일관을 했다는 것을 누구나 다 아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서 탄핵은 당연히 될 수밖에 없는 거야. 그렇기 때문에 윤석열을 지지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절박해서 그렇게 하지만 침묵하는 다수 입장에서는 굳이 저 사람들이 저렇게 한다고 하더라도 뭔 문제가 있을까 봐, 그런 생각을 한다는 것이죠. 그래서 그런 측면이 분명히 있는 것이고요.
또 하나 무시 못 할 게 지금 광화문은 전광훈이잖아요. 사랑제일교회. 그리고 여의도는 세이브코리아잖아요. 부산의 세계로교회거든요. 이 교회가 상당히 신자들을 중심으로 해서 동화한 측면도 상당히 강해요. 어제 자 한겨레 신문을 보면 지방에서 차들이 다 올라오잖아요. 올라오는데 르포 기사가 실려 있거든요. 그 기사를 보면 이게 과연 자발성이 있는가 하는 생각이 들고 또 하나는 젊은 층들이 많다는 부분은 분명히 저도 인정을 할 건 하는데 제가 생각했을 때는 교회에서의 뭐랄까요? 거기 학생부, 청년부가 있잖아요. 그런 쪽에서 탄핵이라는 부분을 학습해서, 그렇게 해서 종교적인 행사에서 정국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계속 심어주는 그런 노력들도 상당히 작동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그렇기 때문에 드러나는 외형만 보고 민심을 가늠한다는 건 좀 난센스라는 생각이 들고, 여론조사를 보면 정반대의 결과가 나오고 있잖아요. 저는 그 이유가 거기에 있다고 봅니다.
▲ 김능구> 제가 탄핵소추안 의결되고, 아까 12월 7일, 14일 이야기했는데 그때는 우리 기자들을 현장에 다 보내서 우리가 생중계도 하고 그랬어요. 금방 말씀하신 대로 K-POP의 문화 대잔치였다, 이런 이야기를 하잖아요. 분명히 본질적인 그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뭐냐 하면 그때 12월 7일, 14일 날 국회 앞에 꽉 메웠던 그 집회, 군중이랄까요? 그 사람들은 상당히 자율적이었다. 자율적이었고, 거기의 젊은이들은 주인공이었다. 주체였던 건데 제가 지난주 토요일에 참석했던 두 군데 다 젊은이들은 액세서리로 낀 느낌이었다. 그 집회의 행사는 거의 우리가 봤던 교회 부흥회 행사에다가 정치 집회 행사를 결합한, 예를 들면 처음에는 계속 주님을 찬양하고 하다가 주님이 탄핵을 반대하는 걸로 이어지다가 이제는 국힘 정당인들이 나와서 이야기를 하고, 거기에서 서천호 의원은 지금 국회 윤리특위에 제소됐죠. 거기에서 집회의 들뜬 분위기에 있다 보니까 그 말까지 한 것 같은데 나경원 의원도 들어보니까 세게 이야기하더라고요.
대형 스크린을, 어마어마한 스크린을 7개인가 8개를 도로에 쫙 깔았더라고. 그래서 뭔가 기존 행사에 청년들이 곁들이는 행사. 거기 사회자 구호도 "MZ세대들 고맙습니다. 여러분이 나라를 구했습니다." 이런 멘트도 하더라고요. 그런 모양이었고, 12월 7일, 14일은 청년 세대들이 주인공이었다, 이렇게 볼 수 있는데 오늘 기사나 이런 거 보니까 그날 민주당에서는 좀 당혹했다.
△ 차재원> 당혹스럽죠.
▲ 김능구> 그 행사를 안국 사거리에서 편도의 반을 막았더라고요. 막아서 했던데 보니까 상당히 외향적으로는 왜소하게 보였고, 집회에 참석한 분들의 열기도 어찌 말하면 차분했다고 할 정도였어요. 그래서 그런 차이는 분명히 있었지만··· 저는 조갑제 보수 논객하고 인터뷰에서 그런 말을 했는데 비상계엄에 이후에 지금 여론이 3단계로 나왔잖아요. 처음에 비상계엄에 대해서 질타하는 국민적 분위기가 거의 80%까지 갔고, 그다음에 올 초에 들어오면서 공수처의 여러 가지 철저하지 못한 부분들. 그리고 윤에 대해서 나름대로의 동정론이랄까, 보수가 결집돼야 된다는 부분들로 해서 정당 지지율이 경합지역까지 갔고, 그게 설을 지나면서 다시 국힘 지지가 하락 내지는 정체로 왔는데 그 부분이 왜 그렇게 됐냐, 보수의, 국힘의 서부지법이라든지 이런 부분에 오버가 있었다, 뭐 이러는데 그것보다도 윤석열 대통령의 헌재에서 변론하는 것. 그걸 국민들이 다 지켜봤다. 그래서 이전에 잠시 잠시 담화에서 봤던 거하고, 야당에서 비판하는 거하고 실제로 윤석열이가 어떤 사람인가, 어떤 대통령인가, 이 사람이 어떤 논리를 펴는가를 다 지켜봤어요. 보니까 금방 말씀하신 대로 첫째, 앞뒤가 안 맞아요. 그 압권이 자기는 사람이라 쓰지 인원이라는 표현. 말하고 몇 분 뒤에 바로 인원을 너덧 번 반복하는 그런 부분이라든지, 그리고 홍장원이라는 국정원 제1차장. 자기한테 제일 충성했던 사람 아닙니까? 그 사람을 완전히 배신자 프레임으로 하는. 그리고 마지막까지 군인들에 대해 사과 안 하더라고요. 오로지 국군통수권자 명령에 따라서 움직인 사람들이 대다수인데, 장군들도 마찬가지입니다.
△ 차재원> 그 사람들 인생이 완전히 다 지금 망가지는데.

“윤 대통령의 궤변·변명에 침묵하는 다수는 탄핵을 당연하게 생각”
▲ 김능구> 국방부 장관 김용현하고 그다음에 방첩사령관 여인형. 충암파들 아닙니까? 이 사람들, 핵심들 빼놓고는 사실은 군에 있다는 죄로서 부화뇌동 한 사람들이 대부분인데 이 사람들에 대해서 계속 어쨌든 간에 갈라치기하고, 혼내려 하고.
△ 차재원> 책임 떠넘기고.
▲ 김능구> 제가 표현했지만 골목대장만도 못하다. 이걸 국민들이 다 지켜봤어요. 그러니까 중도층에서 점점점점 벌어지는 거야. 그 결과 그렇게 나타났다는데 외향으로만 보면 3·1절 집회가 보수가 대단했다고 볼 수 있는데 실제로 제가 참석을 해서 쭉 지켜보니까 거기에서 MZ세대들은 들러리더라. 각 대학에서 탄핵 찬성, 반대 집회가 굉장히 서로 맞붙고 있다고 기사들이 나와요.
△ 차재원> 그것도 현상을 오도하고 있는 가짜 뉴스들이 상당히 많은 거예요. 각 대학에서 벌어지고 있는 탄핵 반대의 목소리가 분명히 있긴 있습니다. 있는데 거기에 주로 등장하는 얼굴들이 똑같잖아요. 각 대학을 돌아다니면서 일종의 분란을 일으키고 있는 그런 극우 유튜버들이 항상 등장하거든요. 그러니까 그런 부분도 분명히 있죠. 우리가 80년대에 학교를 다녔지만 80년대 그 엄혹한 시절에도 전두환 통치를 드러내 놓고 박수 치지는 않았지만 은근히 그걸 즐기는 세력들도 있었어요. 예를 들면 학도호국단 체제 시절에 당시 강고하던 친구들은 다 누가 뭐라 하든 간에 자신들의 입신양명을 위해서 다 그렇게 하고, 그리고 전두환 체제를 반대하는 대자보 붙이면 그것도 반박하는 대자보가 붙었잖아요. 그런 세력들은 언제든지 있는 것이거든요. 그 엄혹한 시절에도 있었는데 지금 민주화된 언론의 자유가 있고, 양심의 자유가 보장되고 있는 이 대한민국의 사회에서 탄핵 반대 목소리가 있을 수밖에 없죠. 그런데 문제는 그런 목소리들이 자신들끼리 순수하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소수의 세력들을 정치적으로 선동하고 그걸 과시하려고 하는, 그런 식으로 하니까 폭력적인 집회로 변질되고, 이게 마치 전국 대학에 요원의 불길처럼 번지는 것처럼 사람들이 착각하도록 만드는 게 그게 지금 극우 유튜버들이 노리는 바고, 그게 어느 정도 먹히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 김능구> 이 부분에서 제일 중요한 게 국민의힘인 것 같아요. 지금 극우 성향의 분석도 제가 아주 존경하는 후배가 있는데 시사IN 출신의 천관율 기자라고.
△ 차재원> 그 기자 기사 잘 쓰더라고.
▲ 김능구> 젊은 층들에 우상입니다, 젊은 기자들한테는.
△ 차재원> 글 잘 쓰더라.
▲ 김능구> 그 친구가 99학번인데, 제 과 후배인데 이번에 시사IN에서 한국리서치랑 조사를 제대로 했더라고. 유권자들의 정치 성향을 쭉 분석했는데 이 시점에서 화두 중의 하나가 극우 강경파들은 누구인가, 과연 그 사람들이 어디서 왔고, 어느 정도 영향력을 앞으로 행사할 것인가, 여기에서 국힘은 자유로운가, 종속됐는가. 지금 이거잖아요. 이게 현재 탄핵 이후에 있어서 제일 중요하게 우리가 봐야 되는 부분이 아니냐, 뭐 대선에서 나타나는 영향력도 영향력이지만 이후에 이 세력이 어찌 할 것이냐. 이런 부분은 유럽 극우들하고 또 좀 다른 것 같다, 이런 이야기들이 많이 나오잖아요.
천 기자 같은 경우는 제가 자세히는 안 봤지만 대략 보니까 우리가 흔히 말하는 극우 세력이라고 하는 부분들이 유럽은 민족주의 성향도 있고, 이민 문제들이 다 합해져서 있는데 우리나라는 본래 분단에서 출발했던 극우 세력이 있지만 요즘 보면 페미니즘, 반페미, 이게 상당히 강하게 있고 그리고 양극화에서 소외돼 있는, 탈락된 젊은 층들, 노인층들이 결집돼 있는 부분인데 그것만 봐서는 도저히 이것을 ··· 지금 부정선거에 대해서 전체 국민의 30%, 1,500만 명이 거기에 대해서 의문을 갖고 있다는 거잖아요. 대법 판결까지 나고 서른몇 번의 압수수색까지 다 했대요. 팩트로서 검증된 건데도 불구하고, 국힘 내 지지층에서는 50% 이상 나오고, 그래서 이 부분들에 대한 분석이 중요하다, 이런 말이 나와요. 그 친구 분석에 의하면 2016년도 이후에 보수가 진보에 비해 소수화되면서 이 사람들이 존재의 회복을 해야 되겠다. 이러면서 힘을 갖기 시작하고, 새로운 진보 우위의 체제에서는 이걸 뒤엎으려는 세력까지로 나가고 있다. 국힘이 현재는 이 부분에 완전히 점령당했다, 이런 분석을 내놓고 있어서 이건 쉽사리 없어질 부분이 아니다,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건 그 친구 분석이고, 아마 거기에 동의하는 사람도 많으리라고 봐요. 그런데 아까 말한 집회. 거기도 보면 옛날에는 전광훈 집회에 많이 가더니만 이번에 보니까 여의도 집회, 세이브코리아에 대거 합세했더라고, 국민의힘 의원들이. 아마 이건 기독교 색깔이 더 있어서 그런 건가, 전광훈보다는 좀 낫다고 생각하는 건지. 그래서 국민의힘이 문제다. 이제는 강경 우파 세력들에 약간 영향을 받는 정도가 아니라 거의 일체감을 나타내고 있어요. 이거 어떻게 보십니까?
△ 차재원> 심각하다고 생각하는데요. 극우의 장외 집회를 주도하고 있는 세력이 전광훈 목사가 원조격이잖아요. 전광훈, 뭐 목사라는 표현을 쓰기도 상당히 곤란한 지경의 사람인데 광화문 집회는 제가 직접 가서 참여하지는 않지만 광화문 집회가 열리는 시간에 제가 그 옆을 자주 지나다닙니다. 왜냐하면 그 시간대에 방송하러 거기 가기 때문에 그 현장에 가보면 제일 눈에 띄는 게 안내하시는 분들이에요. 안내하시는 분들이고, 그분들이 어디를 안내하냐 하면 서명대 같은 데를 안내해요. 그리고 그분들은 자료를 들고 다녀요. 헌금을 합니다. 헌금을 하고, 그리고 아까 말씀하셨던 것처럼 큰 스크린, 앰프 이런 거 있잖아요. 사실 전광훈의 집회는 전광훈 패밀리가 그걸 다 하거든요. 예를 들면 거기 행사에 소요되는 비용들을 헌금을 받은 데에서 지급을 하는데 그 돈이 전부 다 전광훈의 딸과 아들한테로 들어가는 구조로 만들어져 있거든요. 그리고 또 노인 분들 오시면 알뜰폰 가입하게 하는데 그 알뜰폰의 대표가 전광훈의 딸이거든요. 그리고 또 사위도 거기 있고, 자신의 측근들. 일종의 가족 기업이에요. 가족 기업 형태를 통해서 전광훈이라는 사람은 이 집회를 통해서 자신의 정치 신념을 나름대로 알리는 것처럼 이야기하지만 자신의 일가들이 먹고 사는 일종의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놓은 거예요. 그래서 전광훈의 집회에 대해서 이건 좀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세이브코리아에 눈을 돌리는데···
“극우가 보수의 주류되고 국힘은 극우에 편승... 민심과 동떨어져”
“국민의힘 의원, 정권 뺏기는 것보다 다음 총선 당선이 더 중요”
▲ 김능구> 보수에서는 다 알겠네요?
△ 차재원> 다 알죠. 세이브코리아는 손현보라는 목사인데 손현보는 부산의 고신대학을 나왔어요. 그래서 일종의 정통은 맞아요. 정통은 맞는데 나름대로 개척교회를 해서 엄청나게 성공한 사람이거든요. 그러면서 그분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면서 자신의 존재감을 보이는데 지난해인가 개신교 연합 목회를 손현보가 이야기를 해서 결국 성공을 시켜요. 그러면서 기독교, 개신교단에서 주류들도 손현보의 그런 기획, 동원, 조직 이 부분을 인정하는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손현보 목사가 하는 세이브코리아의 덩치가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에 그때부터 전광훈이 바짝 긴장하고 있는 거거든요. 그리고 정치인들 입장에서도 전광훈한테 가면 뭔가 쪽팔린다는 생각을 하는데 손현보한테 가면 '이건 그래도 우리가 인정할 수 있는 거 아니야?' 이런 생각을 하고 세이브코리아의 몸이 점점 커지는 그런 측면이 있는 거예요. 그런데 어쨌든 손현보가 이야기하는 부분은 소위 말해서 대한민국이 윤석열을 왜 구해야 되느냐, 이대로 놔둬 놨다가 민주당이 집권하고, 민주당은 쉽게 말하면 북한하고 손잡고, 이게 예를 들면 빨갱이, 일종의 색깔론으로 해서 대한민국이 그렇게 되면 우리는 종교의 자유가 없어진다. 그런 식의 위기를 갖고 신자들에게 접근을 하고, 그러니까 민주당, 좌파가 집권하면 종교의 자유가 박탈된다. 그러면 우리는 설 자리가 없다. 그런 식의 위기론을 이야기하는데 그게 의외로 먹히기 때문에 시사IN에서 그 기사를 썼더라고요. 손현보가 훨씬 더 위험하다, 그런 이야기를 합니다.
어쨌든 국민의힘에서 주류에서 밀리는 사람들이 주로 어디에다가 의탁을 했냐면 그동안 전광훈 목사한테 갔었잖아요. 대표적인 사람이 김문수잖아요. 김문수가 그렇게 갔고, 홍준표도 갔죠. 홍준표 시장도 갔는데 지금은 뭐라고 이야기하냐면 그때 내가 가려고 해서 간 게 아니고 이주호가 하도 오라 해서 가서 마이크 한번 잡은 거밖에 없다는 식으로 이야기하거든요. 어쨌든 그리고 지난 총선 때도 보세요. 그때 당시에 자유통일당의 비례대표 1번이 누구냐면 황보승희입니다. 국민의힘에서 가정사, 불륜 때문에 공직에서 탈락 당했잖아요. 그런데 현역 의원, 지역구 의원이기 때문에 1번으로 모셔간 거예요. 원내정당이 되니까 그렇게 하고, 2번이 누구인지 압니까? 2번이 바로 석동현 변호사예요. 석동현 변호사가 부산에서 공천 못 받고 서울 송파 와서 못 받았잖아요. 그런데 국회의원은 정말 하고 싶은 거예요. 그러니까 전광훈과 손 잡고 2번을 받은 거예요. 그때 전광훈 쪽에서는 최소 당선을 5, 6번으로 봤거든요. 그래서 4번, 5번은 거액의 헌금을 내라. 그게 문제가 될 정도였으니까.
그러니까 주류에서 밀려난 사람들만 거기 가던 것이 이번 계엄 사태로 완전히 바뀌었어요. 제일 먼저 깃발 꽂은 사람이 바로 윤상현이잖아요. 그다음에 김민전이거든요. 윤상현, 김민전이 갈 때만 해도 사람들이 나중에 윤석열 아웃 되고 나면 진짜 극우 세력밖에 안 남으니까 거기에 미리 빨대 꽂는다고 생각을 해서 제일 먼저 간 사람들이라고 생각했는데 어느 순간 보니까 나경원 비롯해서 다 따라가 있잖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지난 1일에 여의도의 집회에 훨씬 더 많은 국회의원들이 모였거든요. 아무래도 전광훈하고 거리가 있는 거예요. 아까 이야기했던 그 전광훈의 패밀리 비즈니스라는 걸 누구보다 잘 아니까. 그러니까 멈칫멈칫거리는데 그 대안으로 나타난 사람이 세이브코리아 손현보가 하는 거기고, 거기에 또 지금 누구를 데리고 왔어요? 전한길. 젊은 친구들한테는 소구력이 있으니까. 그런 식으로 하니까 여기에 얹히는 거예요.
그런데 제가 생각할 때는 그렇습니다. 계엄이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해서 다들 멈칫멈칫하면서 탄핵에는 찬성을 안 했지만 거리를 뒀던 국민의힘 의원들이 어느 순간 보니까 앞서 말씀하신 것처럼 양당의 지지율이 좁혀들고, 그리고 윤석열에 대한 동정 여론이 '여기서 내가 잘못하면 저쪽 사람들 눈에 벗어나는 거 아닐까?' 그래서 슬금슬금 한 게 관저 앞에 가서 시위하고 하다가 이제는 본격적으로 가는 거예요. 그런데 그중에서 지난 토요일에 강하게 발언했던 서천호는 얼굴이 없었거든요. 그런데 서천호는 갑자기 나타났잖아요. 서천호 의원의 입장에서는 자기가 이 상황에서 빠져 있다가는, 경남이 상당히 보수 세력이 강한 지역이니까 거기서 만약에 빨리 자기의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하면, 내가 여기서도 도태되면 내 미래가 없다고 생각한 것 같아요. 그러니까 가서 이야기를 하면서 강하게 발언한 거예요. 자기의 존재감을 확 보여줘야 되니까. 그리고 또 그런 것도 있죠. 서천호는 지난 국정원 댓글 조작 사건 때문에 국정원 2차장 때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인가를 받아서 공민권이 제한되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지난 총선 때 참정권을 회복하기도 전에 공천 신청을 했어요. 그런데 공천 신청을 하니까 지역 언론에서 "아니, 참정권도 없는데 공천을 신청해?" 이런 이야기를 하니까 조금 있으니까 바로 대통령 윤석열이 복권 시켜준 거예요. 그래서 약속 사면이라는 이야기가 나왔던 사람이거든요. 그러니까 자기 입장에서는 윤석열한테 그렇게 은혜도 입었는데 어떤 식으로든 뭔가를 가세해야 되잖아요.
제가 압축해서 이야기를 하면 왜 지금 그런 현상이 나타나느냐, 일단은 국민의힘의 지지층들 중에 이번 계엄 사태를, 계엄 국면을 지나면서 상당히 오른쪽으로 흐르는 그 민심이 있었던 거예요. 그 민심이 있었고 그리고 또 하나는 그 사람들이 국민의힘의 주류 세력으로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생각이 있는 것이고, 그리고 이 사람들의 입장에서 이 사람들을 따라가는 것이 국회의원들은 지금은 안 해도 별 관계 없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당장은 내 지역구에서 내가 당선되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거예요. 지금 우리가 본다고 한다면 극우 세력을 따라가면 정권 연장 안 된다. 그러니까 정권 재창출이 안 된다는 걸 알잖아요. 알면서도 국회의원들이 개별적으로 가는 이유는 '정권은 내가 못 잡아도 관계없어. 다음 총선에서 내가 당선되면 돼.' 이 생각으로 지금 전부 다 거기에다 빨대 꽂고 있고, 그러면 이런 반론이 있을 수 있겠죠. 동작에 있는 나경원 같은 경우는 이런 식으로 중도하고 멀어지면 힘들어질 수 있지 않느냐, 이러는데 나경원의 목표는 다음 총선이 아니고 다음 당대표입니다. 그건 윤상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다음 당대표를 어떤 식으로든 하고, 그걸 밟고 한 단계 더 올라가자는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윤상현과 나경원 의원이 일종의 레이스를 벌이고 있는 것 같고, 나머지 영남에 있는 국회의원들은 여기서 눈 밖에 났다가는 지역구 가서 명함 못 내민다. 그래서 지금 막차 탄 사람들은 더 강하게 이야기할 수밖에 없는. 특히 장동혁 같은 경우가 친한계로서 사무총장까지 하고 한동훈 오른팔이었잖아요. 어느 순간 딱 갈아타고 나서 지난 토요일 날 더 강한 발언을 하거든요. 늦게 탔으니까 더 강하게 이야기할 수밖에 없는. 상당히 정치적 구조가 극우로 쏠릴 수밖에 없는···
▲ 김능구> 그것도 판사 출신. 그런데 제가 볼 때는 말입니다. 흔히들 국힘 의원들은 헌정에 대한 침탈에 대해서 국민적 공분을 못 느끼나? 이 사람들은 다음 대선 걱정도 안 하나? 자기들 국회의원 자리만 차지하면 된다는 거냐, 이 당에서 당권만 차지하면 그 이후에 또 여러 가지 기회가 있기 때문에 그런 건가?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잖아요.
정치인들이라면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그게 문제가 아니라 지금 제가 쭉 이렇게 이야기 나누어도 보고, 여러 분석한 자료도 보고, 집회도 나가보고 하니까 이런 것 같아요. 비상계엄이 그거잖아요. 윤이 계속 주창하는 게 국회 입법 독재, 민주주의 파괴에 맞섰다. 그거라도 해서 국민들한테 경고를 하기 위해서 했다. 실제로 국회를 그거 할 생각이 있었으면 이랬겠나. 2시간짜리 계엄이 어디 있냐, 이런 이야기를 하는데 예를 들면 동기 부분. 비상계엄의 동기 부분에 대해서 보수의 거의 대부분이 인정한다는 겁니다. 군대를 동원한 방식, 국회와 선관위를 침탈한 이건 잘못됐다, 문제 있다. 하지만 어쨌든 간에 계엄을 일으키려고 했던 부분, 동기 부분에서는 좀 심하게 이야기하면 보수들이 100% 동의한다고 봐요.
△ 차재원> 그러니까요. 그게 정말 문제라고 생각해요.
▲ 김능구> 이게 전율을 일으키는 거예요. 합리적 보수 정말 일부. 예를 들면 유승민 의원이라든지 한동훈, 그리고 요즘 노익장을 일으키면서 나온 조갑제 논객이라든지 이런 분들은 나는 오히려 소수야. 완전히 소수의 목소리에 불과한 거예요. 저는 그걸 반동이라고 표현했는데 반동혁명이 일어날 정도의 기세다. 제가 볼 때는 심각합니다. 그래서 이 부분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나가야 될지, 국힘 의원들도 답을 모르고 있다고 봐요. 홍준표 시장도 답을 모르고 있다. 그러니까 자꾸 왔다 갔다 하면서, 오로지 그 사람은 후보가 돼서 다음 대권을 보니까 유불리를 보고 있는 것 같고, 뭐 다른 대선 주자들도 마찬가지인 것 같아요. 그나마 자기의 노선을 지키면서 가고 있는 사람은 유승민, 한동훈인 것 같아요.
△ 차재원> 한동훈도 어제 보니까 바깥에서 집회하고 있는 사람들한테 상당히 애국심 하나는 인정한다는 식으로 이야기하더라고요. 그것도 완전 당내 경선을 생각해서···

“부정선거 빠진 尹과 극우, 정권교체돼도 더 거세게 준동할 듯”
▲ 김능구> 그 사람들은 당의 표로서 넘어서야 되니까. 유승민은 아예 그 표도 올 수 없는 표니까 포기한 사람이고, 그런데 제가 지금 말씀드리고자 하는 건 뭐냐 하면 극우 보수의 일부가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 차재원> 그래서 폴리뉴스 같은 언론사의 역할이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앞서 이야기한 대로 윤석열이 비상계엄을 한 것이 줄탄핵하고, 국가 예산을 삭감하고 그래서 했다고 하는데 언제부터 이야기했다고 합니까? 지난 총선 전부터 이야기했다는 거 아닙니까? 지난 총선 3월에 군인들하고 술 먹는 자리에서 비상대권 운운하고, 그때 당시 국방부 장관 신원식이 그 이야기 듣고 "안 된다." 그 이야기하고 난 뒤에 그날 바로 자기가 국방부 장관 공관으로 당시 김용현을 불러서 "잘 모셔라." 그렇게 이야기했다는 거 아닙니까? 그러니까 사실은 줄탄핵하고 예산 삭감하기 전부터, 지난 총선 전부터 윤석열은 '선거 안 되면 때려치우고 내가 새로 짜면 되지.' 이 생각을 벌써부터 하고 있었던 거예요. 이런 이야기들을 윤석열의 계엄을 찬성하는 사람들은 정말 그것이 잘못된 주장이라는 걸 아셔야 된다는 거예요. 이게 언제부터 했느냐, 윤석열은 대통령이 되는 순간부터 자기를 왕이라고 생각해요. 자기가 왕이기 때문에 자기 식대로 안 되는 사람들은 전부 다, 눈 바깥에 난 사람들은 내가 갖고 있는 비상대권으로 다 쳐내버리면 된다. 내가 새 판 짜면 되지. 새 판 짜기 위해서 들고 온 게 바로 부정선거잖아요.
오늘 자 아시아투데이라는 신문에 보면 무슨 기사가 났냐 하면 지난 2월 중순에 미국의 보수정치행동회의라는 CPAC이라는 집회가 열렸어요. 미국의 보수 정치 세력들이 연례행사로 하는 것인데 여기에 트럼프가 직접 갔어요. 이 CPAC이라는 행사가 이번에 대선과 그리고 상하원을 잡는 바람에 상당히 미국의 최대의 정치 행사가 됐는데, 미국의 보수연합이라는 단체가 있어요. 거기의 공동 의장이 매트 슐랩이라는 사람이에요. 매트 슐랩이 지난해 12월 16일에, 지난해 12월 16일이니까 윤석열이 탄핵되고 난 뒤에 관저에 유폐돼 있을 때 와서 윤석열하고 비밀리에 만났어요. 그래서 만났다는 기사가 한 달 뒤에 조선일보에 실렸어요. 매트 슐랩이라는 사람이 트럼프의 측근인데 이 사람이 윤석열을 만나고 왔는데 둘이 무슨 이야기했는지 모르겠다. 그런데 한국 상황을 윤석열의 방식대로 이야기했을 거라는 건 누구나 다 예측할 수 있잖아요. 그런데 매트 슐랩은 지금 트럼프의 공식 직함이 없어요. 왜냐하면 매트 슐랩이 2016년 대선 때 트럼프를 도왔어요. 도왔는데 그 뒤에 부정행위가 드러나서 감방을 갔어요. 감방을 갔는데 트럼프가 1기 때 사면복권을 시켜줬어요. 그런데 이 사람은 2기라고 해서 공식 직함에 앉히지는 못해요. 그런데 매트 슐랩의 마누라가 1기 백악관의 국장을 했거든요. 그러니까 트럼프하고 아주 가까워요. 이 사람이 주도한 CPAC 행사에 이번에 트럼프가 갔어요. CPAC에 전 세계 보수 정치 단체들도 많이 왔어요. 그 대표적인 사람이 아르헨티나 극우 대통령도 왔어요. 기억하실 거예요. 이번에 머스크가 전기톱 들고 막 하는 것. 그게 바로 그 행사죠. 그 행사인데 거기서 매트 슐랩이 뭐라고 이야기했냐 하면 자기가 한국 갔다 왔잖아요. 한국에 이 부정선거 규탄하는 모임이 있었어요. 거기에 누가 갔냐 하면 세이브코리아 사람들도 갔고, 거기에 미국의 보수 정치 세력들 중에 한국을 좀 잘 안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에 교포들이 있어요. 그중의 대표적인 사람이 모스 탄이라는 사람이에요. 모스 탄이 지난 토요일에 여의도에 와서 마이크 잡고 부정선거 이야기 또 했어요.
▲ 김능구> 그 모스 탄이 나경원 의원하고 이야기한 사진이 있는데.
△ 차재원> 그게 바로 모스 탄이에요. 모스 탄은 팍스TV가 생중계를 했어요. 생중계하는데 한국은 좌파에 의해서 국가가 거의 넘어갈 것처럼, 중국에 의해서 지배당할 것처럼 그런 위기론을 막 이야기했거든요. 그리고 배넌이라고 있잖아요. 스티브 배넌이라고 트럼프의 멘토죠. 그런데 멘토인데 여기에 간 사람이 민경욱이거든요. 민경욱 전 의원하고 행사를 같이 했는데 민경욱이 한국을 위기라고 이야기하면서, 그러니까 이 배넌이 중국에 의해서 한국이 거의 장악당한 것처럼 그렇게 이야기하는데 그때 옆에 있던 매트 슐랩이 뭐라고 이야기하냐면 내가 윤석열을 만났는데 윤석열한테 선거를 어떻게 했느냐 이렇게 됐느냐 물으니까 윤석열이 뭐라고 했냐면 화웨이가 한국의 선거를 운영하고 있다고 그렇게 이야기한 거예요. 그러니까 배넌이 그 이야기를 듣고 내가 트럼프한테 이야기하고, 트럼프가 곧 조치할 거라고 하는 것이 오늘 아시아투데이에 기사가 났어요. 이게 정말 문제인 게 '부정선거' 하면 트럼프가 제일 눈이 번쩍 뜨일 만한 단어잖아요. 그러면 트럼프가 완전히 잘못 생각할 수밖에 없는 거예요. 그렇지 않습니까? 만약에 트럼프가 생각을 잘못해서 바이든 행정부 때는 계엄이 됐을 때 잘못된 거라고 강력하게 한국에서 경고를 했잖아요. 그런데 이게 만약에 탄핵이 인용되고 윤석열이 완전히 파면 당한 상황이고 이럴 때 트럼프가 "저거 좌파들의 책동에 의해서 잘못된 결정을 한 거야." 이러면서 "한국은 부정선거가 있고, 그 뒤에는 중국이 있어. 북한이 있어." 이런 식으로 될 경우에 대한민국이 어떻게 되겠습니까?
그래서 폴리뉴스에 칼럼을 그렇게 쓴 겁니다. 이럴 때 그러면 외교부는 뭐 하고 있냐고요. 부정선거 그건 단 하나의 증거도 없잖아요. 그리고 만약에 화웨이가 한국 선거를 운영하고 있다고 윤석열이 지난 12월에 매트 슐랩한테 이야기했으면 이분은 왜 탄핵 심판 때는 그 이야기 안 합니까? 그 이야기 일절 안 했잖아요. 증거가 하나도 없이 일국의 대통령이라는 사람이 어떻게 외국인한테 검증되지 않은 이야기를 합니까? 정말 문제 있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그런 똑같은 생각으로 모스 탄이 왔는데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나경원 의원하고, 국힘은 37명 왔다잖아요. 37명 전부 다 같이 모스 탄하고 사진 찍고 했거든요. 모스 탄은 박수 쳤거든요. 이 사람들이 나중에 앞으로 이 사태를 어떻게 감당할지 저는 지금 그게 걱정입니다.
▲ 김능구> 거기에서는 부정선거를 딛고 재선에 성공한 트럼프. 한국의 트럼프가 윤석열이다.
△ 차재원> 윤석열이다, 그 이야기를 누가 했냐면··· 고든 창 변호사라고 있는데 고든 창이 아마 했을 거예요. 어떤 식으로든 지금 한국의 진행되고 있는 이런 상황 자체를 미국의 정권을 잡은 보수 세력들, 그리고 특히 트럼프가 완전히 착각할 수 있다는 거죠. 앞으로 어느 정부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한국의 민주적인 지도부에 대해서 전부 다 부정선거에 의해서 된 거라고 해서 트럼프가 아주 이상하게 생각할 수도 있다는 거죠.
▲ 김능구> 지금 대혼란을 가져오는 게 뭐냐 하면 전 세계적으로 극우들이 보수의 주류가 되고 정권에 깊숙이 들어오고 있잖아요. 2차 세계대전 직전에 있던 극우 세력의 준동에 의해서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났고, 나치즘이나 이런 부분에서 보듯이. 이게 뭐냐 하면, 현재 보면 팩트, 진실은 둘째 치고 팩트 자체가 기준이 없어요. 지금 말씀하신 부분에 있어서 한국의 선거는 부정선거, 중국의 화웨이에서 조종 당했다는 부분들이 그 사람들 뇌리에는 팩트로 인식돼 있고, 그걸 극우 유튜버들이 다 열심히 그걸 했다는 거 아닙니까?
△ 차재원> 열심히 전파하고 있죠.
▲ 김능구> 그 사람들은 아예 레거시 미디어를 믿지 않아요. 지금 이거 어떻게 할 것이냐, 이건 정권 교체보다도 더 중요한 것 같아요. 이 문제의 해법을 찾아내는 것. 답 찾아내기가 참 어려울 겁니다. 정권 교체가 중도층에서는 2배 이상 벌어지고, 전체적으로도 리얼미터 2월 4주 조사에서 55%, 정권 연장이 39%, 이렇게 나오는데 정권 교체가 된들 이 사람들의 준동은 더 거세질 거다.
△ 차재원> 더 거세지죠.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Kim Neung-gu and Cha Jae-won's Political Diagnosis March ①] [Full Text] "People's Power Party is leaning toward the far right... Rational conservatives Han Dong-hoon, Yoo Seung-min, Ahn Cheol-soo, etc. are becoming a minority"
"The far right is becoming the mainstream of conservatism, and the People's Power Party is riding the far right... Out of touch with public sentiment"
"People's Power Party lawmakers, winning the next general election is more important than losing power"
"The majority who remain silent about President Yoon's sophistry and excuses think impeachment is natural"
"The young generation is the main character of the impeachment rally, but an accessory in the anti-impeachment rally"
"Yoon and the far right, who have escaped the rigged election, are likely to act more aggressively even after the regime changes"
[Polynews Interview with Publisher Kim Neung-gu, Organized by Reporter Seo Kyung-sun] On the afternoon of the 4th, Polynews CEO Kim Neung-gu and Busan Catholic University Special Professor Cha Jae-won conducted a political diagnosis for February 2025 at the Polynews headquarters. Representative Kim and Professor Cha had a conversation to diagnose and forecast the People Power Party’s extreme right-wing shift.
“Young people are the main characters of the pro-impeachment rally, and accessories in the anti-impeachment rally”
▲ Kim Neung-gu> Did you go to the March 1st rally this time?
△ Cha Jae-won> No, I didn’t go.
▲ Kim Neung-gu> Back in 2016, when Park Geun-hye was impeached, if we go back to the beef scandal during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t seemed like our protest culture had changed to a festival culture since then, but this time, the atmosphere was heavier than the festival. I went to Yeouido and then Gwanghwamun, so I saw the Yeouido rally, the Gwanghwamun rally, and the anti-impeachment rally, and then went to the pro-impeachment rally in Anguk-dong. What surprised me at first was that the scale and enthusiasm were incomparable. I was shocked. And when I actually went to the Yeouido rally, I saw a lot of young people. According to media reports, they even brought out baby strollers. Isn’t that hard to imagine? If parents brought their children, it means they came to a chaotic rally for the sake of their future, but I was really shocked to see the anti-impeachment rally unfolding in such an atmosphere and manner, to be honest.
△ Cha Jae-won> I didn’t see the scene directly.
▲ Kim Neung-gu> If you don’t go to the scene, you wouldn’t know.
△ Cha Jae-won> I didn’t see the scene, but I had that thought when I watched the broadcast that day. After the first impeachment was rejected, when the second impeachment was being push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there was a rally in favor of impeachment that completely filled Yeouido. On December 7th. So, the first impeachment failed, and the second one happened on the 14th. The first and second protests filled Yeouido all the way to the National Assembly.
At that time, the protests that you mentioned earlier had a festival-like atmosphere, and what surprised the foreign press that saw the protests was that they were using K-POP to protest. And for example, the banners do not simply say, “Impeach President Yoon Seok-yeol,” but they brought out banners with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and made their claims.
But that changed in just three months. That’s what I think. Of course, there is the desperation of those who oppose impeachment, but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who support impeachment, no matter how much they try to make excuses, impeachment is inevitable. It can’t be helped. The impeachment trial has been going on for over a month, and Yoon Seok-yeol hasn’t been able to refute it properly. Everyone knows that everything he said was just sophistry, denial, and lies, so impeachment is inevitable in this situation. That’s why those who support Yoon Seok-yeol are doing it out of desperation, but the silent majority think that even if they do it, there will be no problem. That’s why there is definitely that aspect.
Another thing that we can’t ignore is that Gwanghwamun is currently Jeon Gwang-hoon’s Sarang Jeil Church. And Yeouido is Save Korea’s World Church in Busan. This church is also quite centered around believers and has a strong assimilation aspect. If you look at the Hankyoreh newspaper yesterday, you can see cars coming up from the provinces. There is a report article about them. When I look at that article, I wonder if it is really spontaneous. Another thing is that there are a lot of young people, and I definitely agree with that, but when I think about it, what should I say about the church? There is a student department, a youth department. They learn about impeachment, and through that, they continue to instill wrong perceptions about the political situation through religious events. Isn’t that also working quite well?
That’s why I think it’s nonsense to gauge public sentiment by only looking at the outward appearance, and if you look at the opinion polls, the results are the exact opposite. I think that’s why.
▲ Kim Neung-gu> As I mentioned earlier, after the impeachment motion was passed, on December 7th and 14th, we sent all our reporters to the scene and broadcasted it live. As you just mentioned, it was a K-POP cultural festival. I think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What I mean is, the rally that filled the National Assembly on December 7th and 14th, the crowd? Those people were quite autonomous. They were autonomous, and the young people there were the main characters. They were the main characters, but in both places I attended last Saturday, the young people seemed to be accessories. The events of those rallies were almost like a combination of the church revival events we’ve seen and political rallies. For example, at first, they kept praising the Lord, but then they moved on to the Lord opposing impeachment, and now the People Power Party members came out and spoke, and Rep. Seo Cheon-ho was now referred to the National Assembly Ethics Committee. I think he even said that because he was in the excited atmosphere of the rally, and when I listened to Rep. Na Kyung-won, she spoke loudly.
They had seven or eight huge screens laid out on the road. So it was like an event where young people added to an existing event. The host even said something like, “Thank you, MZ generation. You saved the country.” It looked like that, and on December 7th and 14th, the youth generation was the main characters, but looking at today's articles and such, the Democratic Party was a bit embarrassed that day.
△ Cha Jae-won> It's embarrassing.
▲ Kim Neung-gu> They blocked half of the way to Anguk Intersection for that event. They blocked it, but when you look at it, it looked quite small in terms of outward appearance, and the enthusiasm of the people who attended the rally was, to some extent, calm. So there was definitely that difference, but··· I said that in an interview with conservative commentator Cho Gab-je, but after martial law, public opinion has come to a three-stage level. At first, the public sentiment criticizing martial law reached almost 80%, and then, starting early this year, there were various parts of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that were not thorough. And there was a certain sympathy for Yoon, and the conservatives had to unite, so the party approval rating went to the competitive region, and after the Lunar New Year holiday, the People's Power support dropped or stagnated. Why did that happen? The conservatives, the People's Power, overreacted in the Western District Court and other areas. More than that, the people watched President Yoon Seok-yeol's defense at the Constitutional Court. So, we watched what we saw in the brief conversations before, what the opposition party criticized, and what kind of person Yoon Seok-yeol is, what kind of president he is, and what kind of logic he uses. As you said, first of all, the beginning and the end don't match. The most impressive part is that he uses the word "person" instead of "personnel." A few minutes later, he repeats the word "personnel" four or five times. And Hong Jang-won, the first vice director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Wasn't he the person who was most loyal to him? He completely frames him as a traitor. And he didn't apologize to the soldiers until the end. The majority of people acted solely on the orders of the Commander-in-Chief of the Armed Forces, and the same goes for generals.
△ Cha Jae-won> Those people’s lives are completely ruined right now.
“The majority who remain silent about President Yoon’s sophistry and excuses think impeachment is natural.”
▲ Kim Neung-goo>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Kim Yong-hyun and then Yeo In-hyeong, the commander of the Counterintelligence Command. Aren’t they the Chungam faction? Excluding the core members, most of these people are actually people who acted in a corrupt manner because they are in the military, but they keep trying to divide and scold them anyway.
△ Cha Jae-won> Passing the buck.
▲ Kim Neung-goo> As I said, they are worse than the gangsters. The people watched this all. That is why it is happening more and more in the middle class. They say that is the result, but if you look at it from the outside, you can see that the March 1st rally was very conservative, but when I actually attended and watched, the MZ generation was hanging around. There are articles saying that the pro-impeachment and anti-impeachment rallies are fiercely clashing with each other at each university.
△ Cha Jae-won> There are also quite a few fake news stories that are misleading the situation. There are definitely voices opposing the impeachment taking place at each university. But the faces that often appear there are the same. There are always far-right YouTubers who go around each university and cause some kind of conflict. So there is definitely that aspect. We went to school in the 80s, and even during those harsh times in the 80s, there were forces that secretly enjoyed it, although they did not openly applaud the Chun Doo-hwan regime. For example, during the Student Defense Corps era, all the strong friends at the time did it for their own advancement, no matter what anyone said. And when posters opposing the Chun Doo-hwan regime were put up, posters refuting those posters were put up. Those forces exist at any time. They existed even during those harsh times, but now in this society of the Republic of Korea, where there is democracy, freedom of the press, and freedom of conscience, there are bound to be voices opposing the impeachment. But the problem is that those voices are not coming out purely among themselves, but are trying to politically incite a small number of external forces and show them off, so they turn into violent rallies and make people think that it is spreading like wildfire to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That is what the far-right YouTubers are aiming for, and I think that is working to some extent.
▲ Kim Neung-gu > I think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regard is the People Power Party. I have a junior colleague who I respect a lot in analyzing far-right tendencies, Cheon from SisaIN. Reporter Kwan-yul.
△ Cha Jae-won> That reporter writes well.
▲ Kim Neung-gu> He is an idol to the younger generation, to young reporters.
△ Cha Jae-won> He writes well.
▲ Kim Neung-gu> That guy is from the class of '99, and he is my junior in the department. This time, SisaIN and Korea Research conducted a proper survey. They analyzed the political tendencies of voters, and one of the topics at this point is who the far-right hardliners are, where they came from, and how much influence will they have in the future, and is the People Power Party free or subordinate? This is it right now. Isn't this the most important thing we need to look at after the impeachment? The influence shown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is influence, but what will this force do in the future? It seems that this is different from the far-right in Europe. There are many stories like this.
In the case of reporter Chun, I didn't look into it in detail, but roughly speaking, the so-called far-right forces that we commonly refer to are in Europe because they have nationalist tendencies and immigration issues, but in our country, there are far-right forces that originally started from division, but these days, feminism and anti-feminism are quite strong, and the young and elderly who have been left out and left out of polarization are gathered together, but just looking at that, it's hard to... Right now, 30% of the entire population, 15 million people, are questioning the rigged election. They even made a Supreme Court ruling and conducted over 30 searches and seizures. Despite this being verified as a fact, more than 50% of the People Power Party's supporters are saying that it's important to analyze these parts. According to that friend's analysis, since 2016, conservatives have become a minority compared to progressives, and these people need to recover their existence. They started to gain power in this way, and in the new progressive-dominant system, they are even becoming a force that is trying to overturn this. The People Power Party is currently completely occupied with this part, and they are putting out this analysis, so they are saying that this is not something that will disappear easily, but that is their analysis, and I think there are many people who agree with that. But the rally I mentioned earlier. If you look at it, in the past, many people went to Jeon Kwang-hoon’s rally, but this time, they joined the Yeouido rally and Save Korea in large numbers, and the People Power Party members. Maybe it is because they have more Christian colors, or because they think they are better than Jeon Kwang-hoon. That is why the People Power Party is the problem. Now, they are not just slightly influenced by the hard-right forces, but they are almost showing unity. What do you think about this?
△ Cha Jae-won> I think it is serious. The force leading the far-right’s outdoor rally is Pastor Jeon Kwang-hoon, who is the original. Jeon Kwang-hoon, well, it is difficult to even use the term pastor, but I do not personally go to the Gwanghwamun rally, but I often pass by it when the Gwanghwamun rally is held. Because they go there to broadcast at that time, the most noticeable thing when you go there are the guides. They are the guides, and they guide you to places like the signature stand. And they carry materials. They make donations. And as you mentioned earlier, there are big screens, amplifiers, and things like that. In fact, Jeon Kwang-hoon's rallies are all done by Jeon Kwang-hoon's family. For example, the expenses for the event are paid from the donations, and all of that money is structured so that it goes to Jeon Kwang-hoon's daughter and son. And when the elderly come, they have them sign up for a cheap phone, and the CEO of that cheap phone is Jeon Kwang-hoon's daughter. And his son-in-law is there, and his close associates. It's a kind of family business. Through the family business structure, Jeon Kwang-hoon talks about his political beliefs through these rallies, but he created a kind of business model that his family makes a living from. So, people who think Jeon Kwang-hoon’s rally is a bit off are turning their attention to Save Korea…
“The far right has become the mainstream of conservatism, and the People’s Power Party is riding the far right… Out of touch with public sentiment”
“People’s Power Party members, winning the next general election is more important than losing power”
▲ Kim Neung-gu> Conservatives know that, right?
△ Cha Jae-won> Everyone knows that. Save Korea is run by a pastor named Son Hyun-bo, and Son Hyun-bo graduated from Kosin University in Busan. So he is a kind of orthodoxy. He is orthodoxy, but he is a very successful person who pioneered a church in his own way. Then, he started to speak up and showed his presence. Last year, Son Hyun-bo talked about the Protestant Union Ministry and eventually succeeded. Then, mainstream Christians and Protestant denominations began to acknowledge Son Hyun-bo’s planning, mobilization, and organization. That is why the size of Save Korea run by Pastor Son Hyun-bo has been growing, and Jeon Kwang-hoon has been very nervous since then. And from the politicians' perspective, if they go to Jeon Kwang-hoon, they think something is wrong, but if they go to Son Hyun-bo, they think, 'Isn't this something we can acknowledge?' and there is an aspect where Save Korea's body grows bigger and bigger. But anyway, what Son Hyun-bo talks about is, so to speak, why should South Korea save Yoon Seok-yeol? If we leave it as it is, the Democratic Party will take power, and the Democratic Party will join hands with North Korea, for example, as a communist, a kind of color theory, and if South Korea becomes like that, we will lose our religious freedom. They approach believers with that kind of crisis, and if the Democratic Party, the left wing, takes power, religious freedom will be taken away. Then we will have no place to stand. They talk about that kind of crisis theory, and surprisingly, it works, so SisaIN wrote an article about it. They say Son Hyun-bo is much more dangerous.
Anyway, in the People's Power Party, people who are pushed out of the mainstream have mostly gone to Pastor Jeon Kwang-hoon. The representative person is Kim Moon-soo. Kim Moon-soo went there, and Hong Joon-pyo went there too. Mayor Hong Joon-pyo also went there, but what he says now is that he didn’t go because he wanted to, but because Lee Joo-ho kept asking him to go, and he just grabbed the microphone once. Anyway, and look at the last general election. At that time,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ve number 1 of the Liberty Unification Party was Hwangbo Seung-hee. She was disqualified from public office in the People’s Power Party due to her family and extramarital affairs. But she was an incumbent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a local representative, so they brought her in as number 1. They did that because she became a parliamentary party. Do you know who number 2 is? Number 2 is attorney Seok Dong-hyun. Attorney Seok Dong-hyun didn’t get nominated in Busan and moved to Songpa, Seoul. But he really wanted to be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So he joined hands with Jeon Kwang-hoon and got number 2. At that time, Jeon Kwang-hoon’s side thought that the minimum number of candidates would be 5 or 6. So they asked the 4th and 5th candidates to pay a large amount of money. That was a problem. So, the fact that only those who were pushed out of the mainstream went there completely changed with this martial law incident. The first person to plant a flag was Yoon Sang-hyun. Then came Kim Min-jeon. When Yoon Sang-hyun and Kim Min-jeon went, people thought that after Yoon Seok-yeol was ousted, only the extreme right-wing forces would be left, so they were the first to go, but at some point, they all followed Na Kyung-won and others. Despite that, many more lawmakers gathered at the rally in Yeouido on the 1st. It seems that they are distant from Jeon Kwang-hoon. They know better than anyone else that Jeon Kwang-hoon is a family business that I mentioned earlier. So they hesitated, but the person who came up as an alternative was Save Korea’s Son Hyun-bo. And who did they bring along now? Jeon Han-gil. Because he has appeal to young people. That’s how they are being added to.
But that’s what I think. People Power Party lawmakers who thought martial law was absurd and hesitated to vote for impeachment but kept their distance suddenly saw, as you mentioned earlier, the approval ratings of the two parties narrowing, and public opinion sympathizing with Yoon Seok-yeol was thinking, "If I do something wrong here, won't I get out of the other side's eyes?" So they slowly went to the front of the government office to protest, and now they're going full-scale. Among them, Seo Cheon-ho, who made a strong statement last Saturday, didn't have a face. But Seo Cheon-ho suddenly showed up. From Seo Cheon-ho's perspective, he thought that if he stayed out of this situation, Gyeongnam is a region with a strong conservative force, and if he didn't show his presence quickly there, he would be eliminated here too, and there would be no future for him. That's why he went there and spoke strongly. He had to show his presence. And there was something else. Seo Cheon-ho was sentenced to six months in prison and one year of probation when he was the second deputy director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due to the previous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comment manipulation incident, so his civil rights were restricted. But in the last general election, I applied for nomination before I could even regain my right to vote. But when I applied for nomination, the local media said, “Why are you applying for nomination when you don’t even have the right to vote?” So after a while, President Yoon Seok-yeol immediately restored my right to vote. That’s why there was talk of a promised pardon. So from my perspective, I owed so much to Yoon Seok-yeol, so I had to do something about it.
If I were to summarize, why is this happening now? First of all, there was public sentiment among the supporters of the People Power Party that was significantly moving to the right after the martial law situation. There was that public sentiment, and another reason is that these people are emerging as the mainstream force of the People Power Party, so they have that kind of mindset. And from these people’s perspective, I think that it doesn’t really matter if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don’t follow these people. For now, they think that getting elected in their district is more important. If we look at it now, if we follow the far-right forces, the regime won’t be extended. So we know that the regime won’t be recreated. The reason why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go individually even though they know this is because they think, 'It doesn't matter if I can't take over the government. I will win the next general election.
If you become good, that's all. With this idea, everyone is sticking their straws in there right now, and then there might be this kind of counterargument. In the case of Na Kyung-won in Dongjak, some say that if she stays in the middle and moves away like this, it might be difficult, but Na Kyung-won's goal is not the next general election, but the next party leader. The same goes for Yoon Sang-hyun. So she's thinking about becoming the next party leader in some way and stepping on that to go up a level, so it seems like Yoon Sang-hyun and Na Kyung-won are in a kind of race, and the rest of the lawmakers in Yeongnam won't be able to hand out business cards in their districts if they fall out of favor here. That's why those who got on the last train have no choice but to speak out more strongly. In particular, Jang Dong-hyeok was a close friend who even became the secretary general and was Han Dong-hoon's right-hand man. At some point, he switched trains and made stronger statements last Saturday. Since he got on late, he had no choice but to speak out more strongly. The political structure is bound to lean far right...
▲ Kim Neung-gu> He's also a former judge. But in my view, People often say, “Don’t the People Power Party members feel public anger about the infringement on the Constitution?” “Don’t they worry about the next presidential election?” “Do they just need to take their seats in the National Assembly?” “Do they have other opportunities after they take power in this party?” They say all sorts of things. I think politicians can do that. But that’s not the problem. I’ve been talking like this, looking at various analyzed data, and going to rallies. That’s what martial law is. Yoon has been advocating against the legislative dictatorship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destruction of democracy. He did it to warn the people. If he had actually intended to hold the National Assembly, would he have done this? Where is martial law for two hours?” People say things like that, but for example, the motivation. Almost all conservatives acknowledge the motivation for martial law. The method of mobilizing the military and invading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was wrong, and there is a problem. But anyway, I think conservatives 100% agree with the part about the motive for invoking martial law.
△ Cha Jae-won> That’s right. I think that’s really the problem.
▲ Kim Neung-gu> This is thrilling. A small number of rational conservatives. For example, Rep. Yoo Seung-min, Han Dong-hoon, and Cho Gap-je, a recent veteran critic, are all in the minority. They are just a minority voice. I called it reactionary, but it’s at the level of a reactionary revolution. In my view, it’s serious. So I think the People’s Power Party members don’t know where to start and how to handle this. Mayor Hong Joon-pyo doesn’t know either. So they keep going back and forth, and it seems like they’re only looking at the pros and cons when they become candidates and see the next presidential election, and I think the other presidential candidates are the same. I think the only ones who are sticking to their own path are Yoo Seung-min and Han Dong-hoon.
△ Cha Jae-won> Han Dong-hoon also said yesterday that he acknowledged the patriotism of the people protesting outside. That was also completely because he was thinking about the party primary···
“Yoon and the far right, who have been evading election fraud, will likely act more violently even if the government changes.”
▲ Kim Neung-goo> Those people have to overcome the party’s votes. Yoo Seung-min is someone who gave up on that vote because he couldn’t even get that vote. What I want to say now is that he is not part of the far right conservatives.
△ Cha Jae-won> That’s why I think the role of media outlets like Polinews is really important. As I mentioned earlier, Yoon Seok-yeol declared martial law because he impeached them and cut the national budget. When did he start talking about it? Didn’t he start talking about it before the last general election? In March of the last general election, he talked about emergency powers while drinking with soldiers, and at that time,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Shin Won-sik said, “No.” After that story, didn't he call Kim Yong-hyun to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se's official residence that day and say, "Take good care of him." So, in fact, even before the impeachment and budget cuts, even before the last general election, Yoon Seok-yeol had been thinking, "If the election doesn't go well, I'll just throw him away and start a new one." People who support Yoon Seok-yeol's martial law should know that this is a false claim. When did he start this? Yoon Seok-yeol thought of himself as a king from the moment he became president. Since he is a king, he can kick out anyone who doesn't do his way, anyone who is out of favor, with the emergency powers he has. I can start a new game. What he brought up to start a new game is election fraud.
If you look at today's Asia Today newspaper, there was an article about a rally called CPAC, the Conservative Political Action Conference, held in mid-February. It's an annual event held by conservative political forces in the United States, and Trump went there in person. This CPAC event has become the biggest political event in the US because it involves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House and Senate. There is an organization called the Conservative Alliance of America. The co-chairman of that organization is a man named Matt Schlapp. On December 16th of last year, when Yoon Seok-yeol was impeached and was being held captive at the presidential residence, Matt Schlapp came and met with Yoon Seok-yeol secretly. The Chosun Ilbo published an article about the meeting a month later. Matt Schlapp is a close associate of Trump, and he met with Yoon Seok-yeol. I don’t know what they talked about. But anyone could have predicted that he would have talked about the situation in Korea in Yoon Seok-yeol’s way. But Matt Schlapp doesn’t have an official title for Trump right now. That’s because Matt Schlapp helped Trump in the 2016 presidential election. He helped him, but then his fraud was revealed and he went to prison. He went to prison, but Trump pardoned him during his first term. But this person is in the second term, so he can't be given an official title. But Matt Schlapp's wife was the director of the first term White House. So he's very close to Trump. Trump went to the CPAC event this time that this person led. Many conservative political groups from around the world came to CPAC. The representative one was the far-right president of Argentina. You may remember that. This time, Musk was doing something with a chainsaw. That's the event. At that event, what Matt Schlapp said was that he had been to Korea, right? There was a meeting in Korea to denounce the fraudulent election. People from Save Korea went there, and among the conservative political forces in the US, there are some Koreans who think they know Korea well. The representative one among them is Mos Tan. Mos Tan came to Yeouido last Saturday and held the microphone and talked about the fraudulent election again.
▲ Kim Neung-gu > There's a photo of Mos Tan talking to Rep. Na Kyung-won.
△ Cha Jae-won > That's Mos Tan. Mos Tan was broadcast live on Pax TV. They were broadcasting live, and they were talking about the crisis that Korea was almost going to be taken over by the left wing, that Korea was going to be dominated by China. And there was Bannon. Steve Bannon, Trump's mentor. But the mentor was Min Kyung-wook. I had an event with former lawmaker Min Kyung-wook, and Min Kyung-wook was talking about Korea being in crisis, and Bannon was talking about Korea being almost dominated by China. Matt Schlapp, who was there at the time, said that he met Yoon Seok-yeol and asked him how the election was conducted, and Yoon Seok-yeol said that Huawei was operating the Korean election. So Bannon heard that, and I told Trump, and Trump said that he would take action soon, and that was the article in Asia Today today. The real problem is that 'election fraud' is the word that Trump is most likely to be irritated by. Then Trump can't help but think completely wrong. Isn't that right? If Trump made a mistake and the Biden administration declared martial law, we strongly warned Korea that it was wrong. But if the impeachment is accepted and Yoon Seok-yeol is completely removed, and Trump says, “That was a wrong decision made by the left wing,” and “There was election fraud in Korea, and China and North Korea are behind it.” What would happen to South Korea if that happens? That’s why I wrote a column in Poli News. Then what is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oing? There is not a single piece of evidence for election fraud. And if Yoon Seok-yeol told Matt Schlapp last December that Huawei was manipulating the Korean election, why didn’t he mention it during the impeachment trial? He didn’t say anything at all. How can a president of a country say unverified things to a foreigner without any evidence? I think it’s really problematic. So with the same idea, Mos Tan came, and as you said earlier, Rep. Na Kyung-won and 37 members of the People’s Power Party came. All 37 of them took a picture with Mos Tan. Mos Tan applauded. I am worried about how these people will handle this situation in the future.
▲ Kim Neung-gu> In that case, Trump was re-elected despite election fraud. The Trump of Korea is Yoon Seok-yeol.
△ Cha Jae-won> Yoon Seok-yeol. Who said that? It was lawyer Gordon Chang. I think it was Gordon Chang. In any case, the conservative forces in power in the US, and especially Trump, could be completely mistaken about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I don’t know which government will be in the future, but Trump could think it is very strange to say that all of Korea’s democratic leadership was created by election fraud.
▲ Kim Neung-gu> What is causing great confusion right now is that far-right groups are becoming the mainstream of conservatives and are deeply embedded in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The far-right groups that existed just before World War II The Second World War occurred due to the movements of the powers, and as seen in Nazism and other such things. What this means is that, if we look at it now, facts and truth are secondary, and facts themselves have no standard. In terms of what you just mentioned, the fact that the Korean election was rigged and controlled by Huawei in China is recognized as facts in those people’s minds, and isn’t that what the far-right YouTubers are all working hard to do?
△ Cha Jae-won> They are spreading it diligently.
▲ Kim Neung-gu> Those people don’t trust legacy media at all. What are we going to do about this now? I think this is more important than changing the government. Finding a solution to this problem. Finding an answer will be very difficult. The change of government is more than twice as common among the middle class, and overall, according to the Realmeter survey for the fourth week of February, 55% said they want the government to be extended, while 39% said they want it. Even if there is a change of government, these people’s movements will become more intense.
△ Cha Jae-won> It will become more intense.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김능구·차재원의 정국진단 3월②][전문] “이재명, 70% 헌정수호연대로 압도적 정권교체 하려면 개헌 약속해야”
- [김능구·차재원의 정국진단 3월①] “극우세력, 보수 주류 점령…국힘, 극우에 편승 ‘민심과 동떨어져’”
- [김능구·차재원의 정국진단 3월②] “이재명, 헌정수호연대로 압도적 정권교체 나서야…대결정치 막기 위해 분권형 개헌 필요”
- [폴리TV][김능구·차재원의 정국진단 3월①] “국힘 극우로 쏠려... 합리적 보수 한동훈·유승민·안철수 등 소수화”
- [폴리TV][김능구·차재원의 정국진단 3월②] “이재명, 70% 헌정수호연대로 압도적 정권교체 하려면 개헌 약속해야”
- [폴리Shorts] “한동훈-유승민-안철수-오세훈-이준석, 5자 연대할까?”
- [폴리Shorts] “압도적 국민연대로 대선승리-국정운영”
- [폴리Shorts ]“정권교체 돼도 극우 준동은 거셀 듯”
- [폴리Shorts] “국힘 의원에게 다음 총선 당선이 더 중요”
- [폴리Shorts] “탄핵찬성 집회와 탄핵반대 집회의 차이는?”
- [폴리shorts] “反이재명 연합으로 대선판 흔들릴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