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원·권리당원 표 비율 1:1 전환
투표는 카카오톡·문자 '온라인 투표'
강력 범죄, 음주 운전 등은 '부적격'

지난17일 여의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 발언중인 더불어민주당 정청래대표
지난17일 여의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 발언중인 더불어민주당 정청래대표

[폴리뉴스 오승근(=호남)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6·3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룰 개편을 이달중 확정할 예정이어서 광주·전남 지역 정가가 술렁이고 있다. 

정청래 대표 체제 출범 후 처음 치르는 지방선거인 만큼 '권리당원 주권 강화'가 핵심 기조로 자리 잡으면서 기존 경선 구조가 대폭 재편될 전망이다.

민주당은 오는 19~20일 권리당원 전당원 투표(온라인 투표)를 예고 했다. 개정안 핵심은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비중을 동일하게 만드는 '1인1표제'다. 

그동안 대의원 표가 권리당원 표 비중이 약 17대1 수준이던 구조가 폐기 되면 당내 영향력 지형이 크게 바뀌게 된다.

비례대표 후보 선정 방식 역시 상무위원회 중심 체계에서 권리당원 직접 투표제로 넘어간다. 이에 따라 거대 조직보다 직능·청년·정책 그룹 등 폭넓은 당원 지지가 중요해지는 구조로 재편될 전망이다.

경선 방식 변화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단체장 예비 후보가 다수일 경우 '조별 경선'이 추진 되고 있으며, 광주·전남은 후보 난립 지역이 많은 만큼 조 배치 여부가 전체 판세를 흔들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경선은 권리당원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하는 기존 방식을 유지한다.

특히, 공천 자격 기준이 대폭 강화 된다. 강력 범죄, 음주 운전, 투기 목적 다주택 보유, 반복 탈당, 교제 폭력, 주가 조작 등 주요 비위는 '예외 없는 부적격'으로 규정된다. 반면, 근거 없는 컷오프는 최대한 축소 한다는 방침이다.

현역 선출직 평가는 올해 안에 마무리 된다. 하위 20%에 포함될 경우 공천 심사·경선 득표 감산 20%가 적용돼 사실상 공천 가능성이 크게 낮아진다. 역대 사례에서도 하위권 평가는 높은 불출마율로 이어져 지역 정치권의 긴장감이 고조 되고 있다.

민주당은 전당원 투표 결과를 반영해 오는 24일 최종 공천안을 공개한 뒤 12월부터 선출직 평가와 공모 절차에 공식 돌입 한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