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11/714705_528838_1545.png)
금융정보분석원(FIU)은 24일 금융감독원과 16개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자금세탁방지(AML) 유관기관협의회'를 개최하고, 해외 기반 초국경 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자금세탁방지 대응체계 구축에 본격 나섰다고 밝혔다.
FIU는 이번 회의를 통해 국내 금융회사를 통한 초국경 범죄 의심거래 발생 양상을 점검했고, 특히 은행권을 중심으로 해외에서 발생한 불법자금의 국내 유입 가능성과 관련된 사례를 분석했다.
FIU는 금융회사들과 협력해 초국경 범죄 의심거래 유형을 선별하고, 이에 해당하는 거래에 대해 금융회사들이 일제 보고에 나서기로 했다. FIU는 이미 지난주 은행권과 협력해 몇 가지 핵심 의심거래 유형을 도출하고 사전 기준을 논의한 바 있다.
보고된 의심거래는 FIU의 전략적 심사 과정을 거쳐 검찰·경찰 등 법집행기관에 전달되며, 이는 범죄조직 추적 및 적발에 활용된다. FIU는 향후 주요 의심거래 유형을 추가 지정하고 단계별로 일괄 보고 체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금융회사들의 내부통제 현황도 집중 점검한다. 금감원이 최근 은행권의 해외 지점 및 자회사에 대한 AML 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은행은 동남아 지역 지점 및 자회사에 대해 서면점검에 의존하는 등 관리 체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FIU는 이에 따라 해외 의심고객에 대한 고객확인(KYC)을 의무 강화하고, 동남아 지역 지점 및 자회사를 우선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실시하도록 관리지침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향후 AML 검사에서 해외 지점 관리 실태 점검을 더욱 엄격히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FIU는 이와 함께 해외 FIU와의 정보공조 체계를 확대하고, 해외 금융거래 정보 공유 및 정보 전달 속도를 높이는 제도 개선에도 나설 계획이다.
이형주 FIU 원장은 "이번 협의회는 초국경 범죄 대응의 첫 단계"라며 "최근 캄보디아 사건에 연계된 금융 범죄뿐 아니라,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초국경 자금세탁에 대해 지속적으로 대응 능력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폴리뉴스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