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교육계·시민사회 "DJ 이름 팔이 선 넘었다"

1만여명 참가, 안전성과 형평성 문제로 지적 돼

목포종합경기장에서 열린 김대중마라톤대회와 전라남도교육감배 마라톤대회[사진=김대중 교육감 페이스북]
목포종합경기장에서 열린 김대중마라톤대회와 전라남도교육감배 마라톤대회[사진=김대중 교육감 페이스북]

[폴리뉴스 오승근(=호남) 기자] 목포에서 열린 2025 김대중 평화 마라톤대회가 전라남도교육청 주최의 학생독립운동기념 제38회 교육감배 마라톤대회와 사상 처음으로 공동 개최되면서 지역사회의 거센 발발에 휩싸였다.

김대중 대통령의 서거 이후 민주·평화 정신을 기리기 위한 대표적인 추모 행사로 서울과 목포에서 해마다 개최하는 '김대중 평화 마라톤대회'를 동명이인인 현 김대중 전남교육감의 이름을 결합해 선거용 정치 퍼포먼스로 변질됐다는 지적이다.

전남도교육청이 학생독립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담는 '교육감배 마라톤'을 김대중 마라톤대회와 공동 개최하면서 행사의 중심축이 흔들리며 온갖 혼선을 초래하면서 나오는 말이다.

대회는 23일 목포종합경기장 일대에서 1만여 명이 넘는 인파가 몰리며 성황리에 열렸으나, 행사 직후 지역 곳곳에서는 운영 혼선, 안전관리 미흡, 행사 취지 훼손 등 비판 여론이 급속히 확산됐다.

현장에서 참여한 시민 A씨는 "DJ 선생님의 발걸음을 기리는 숭고한 자리로 해마다 참석해 왔는데 교육감 이름이 도배된 홍보물이 더 크게 눈에 띄었다"며 "이게 추모냐, 선거 캠페인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김대중 마라톤 대회는 참가비를 받고 교육감배 마라톤 대회는 참가비를 안 받는 것은 선거를 앞둔 생색내기냐"라며 불만을 터트렸다. 

이러한 공동개최 논란은 이미 중앙·교육 언론에서도 '이름팔이' 활용 논란으로 집중 보도된 바 있다.

경향신문은 "'이름값이 탐났나?'… '김대중 마라톤'에 김대중 교육감 가세"라며 대회 성격이 전혀 다른 두 행사가 갑작스레 통합된 배경에 강한 의문을 제기했다.

교육관련 칼럼은 "동명이인 프리미엄을 적극 활용한 행보"라며 이번 행사를 '선거용 프레임 구축'으로 해석했다.

목포MBC는 "1만 명 가까운 인파… 안전·형평성 논란"이란 제목으로 1만여 명이 동시에 몰린 현장의 부담과 운영상의 부실을 지적하며 우려했다.

목포MBC 유튜브 댓글에는 "이름만 같다고 합칠 생각을 하다니요. 어린학생들 장애학생들까지 두루 참석하던 마라톤대회였는데 앞으로 참석이 꺼려진다"라고 했다.

또다른 누리꾼은 "5키로 뛰면서 넘어진 사람 본 것만 4명이다. 도로진입, 반환점이 넘 쫍아서 병목현상도 심했다"라고 했으며, 또 다른 이는 "같은 길을 뛰는데 누구는 돈내고 뛰고 누구는 무료로 뛴다고"라며 비꼬았다.

최근 김 교육감은 모교 방문 중 생활기록부를 전시하며 이름(김대중)의 한자까지 강조한 행보를 보였는데 이 또한 "내년 선거를 향한 지나친 이름 알리기"라는 지적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지역사회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를 "김대중 대통령에 대한 모독이자, 교육의 정치화를 촉발한 사건"으로 규정하며 강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특히 시민단체들은 "망자 이름을 선거에 활용하는 위험한 전례" "교육감의 동명이인 효과 노린 정치 행위"

핵심 질문은 계속된다. "왜 수십 년간 분리 개최했던 두 행사를, 선거 몇 달 앞두고 갑자기 합쳤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아마도 정답은 모두가 생각하는대로 일 것이다. 

전라남도교육청은 "운영 효율성·경제성 제고"를 이유로 들었지만, "대회 통합은 명백히 교육감의 정치적 계산이 깔린 선택"으로 "김대중 대통령의 정신을 선거용 이미지 마케팅에 동원한 셈"이 됐다.

이번 논란은 단순한 행사 운영의 문제를 넘어, 공적 행사에 대한 정치적 개입의 문제점으로 전남 교육의 중립성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내년 선거에서 담겨질 것인지에 대한 우려로 남는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