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재촉구역 해제 이후 20여년 만에 추진, 2030년 2,801호 준공 목표
서울시, 선정에서 통합심의까지 2년3개월만에 완료, 1년9개월 단축 목표
25일 현장에서는 조합원 이주비 대출 애로 목소리 높아
오 시장, "속도감 있는 '강북전성시대' 열어 나갈 것"

서울시가 추진 중인 중랑구 중화동 329 모아타운 현황. (좌)는 토지이용계획, (우)는 정비 후 조감도.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추진 중인 중랑구 중화동 329 모아타운 현황. (좌)는 토지이용계획, (우)는 정비 후 조감도. [사진=서울시 제공]

[폴리뉴스 박비주안(=수도권) 기자] 20년 이상 구역 지정과 해제, 도시재생이라는 우여곡절을 겪으며 점점 낙후되어 가던 중랑구 중화동 329-38 일대가 모아타운으로 개발된다.

서울시는 대폭적인 규제 완화와 공정관리로 기존 단축 목표인 9년의 사업 기간을 최종 7년으로 추가 단축해 2030년 2,801호를 준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25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중화동 모아타운 현장을 방문해 사업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주민들의 현장 목소리를 청취했다. 서울시는 현재 추진 중인 116개 모아타운 내 340개 모아주택 사업구역을 통해 총 12만 호 규모의 주택 공급 기반을 마련했으며, 이 가운데 3.5만 호는 이미 사업이 본격 추진 중으로, 2031년까지 확보할 정비사업 착공 물량 31만 호 중 중요한 한 축을 맡게 된다.

중랑구는 서울시가 추진 중인 모아타운 116곳 중 16곳(2만 3,845호)이 위치한 서울 전체에서 모아타운이 가장 집중된 지역으로 '26 ~ '31년 기간중 착공 1만 호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시는 중화동 329 모아타운이 선도 사례로 삼아 강북지역 주택공급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계획이다. 중화동 모아타운은 9만 9,931㎡ 규모로 2003년 뉴타운, 2011년 재정비촉진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사업 지연 등으로 2014년 지정이 해제되면서 20년간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이후 2023년 모아타운 대상지로 선정, 작년 11월 관리계획을 승인·고시하고 올해 11월 사업계획 확정을 위한 통합심의까지 통과하며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시는 특히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완화, 세입자 대책 지원 등 규제완화와 통합심의 및 승인‧고시 신속 처리 등 서울시의 촘촘한 공정관리로 선정부터 통합심의까지 평균 4년 걸리던 것을 2년 3개월로 단축했다. 앞으로 남은 사업시행인가, 이주, 착공 등 전 단계에 걸쳐 철저한 공정관리를 통해 사업 기간을 기존 단축목표 9년에서 최종 7년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다. 

현장을 방문한 오세훈 시장은 "중화2동 모아타운이 서울시 모아타운의 선도사업지로서 정비사업 동력확보와 주택공급 확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며 "10.15 규제로 조합원 지위양도 제한, 이주비 등 LTV 대출 규제로 사업 지연 우려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서울시와 정부가 협력하고 대안을 마련해 민간의 주택공급 확대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주민들에게 밝혔다. 

실제 이날 현장에서는 조합원들의 이주비 대출 제한 문제로 목소리가 높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조합원은 "10.15 대책 이후 1주택자는 LTV가 40%로 축소됐고, 1+1 분양을 신청한 조합원들은 LTV가 0%로 떨어져 이주할 금액이 없는 상황"이라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오 시장은 "조합원들의 이주가 걸려있는 대출 규제 문제를 풀어주지 않으면 한 치 앞도 나갈 수 없다"면서 "지금까지 국토부에서 긍정적인 답변을 하지 않고 있지만, 조만간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을 만나면 LTV 적용의 한시 유예나 예외 사유를 인정해 금융을 융통할 수 있도록 건의할 생각"이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는 그간 서울시청에서 진행하던 '서울시-자치구 모아타운 공정촉진회의'를 12월부터는 현장으로 확대해 현장 상황을 반영한 더 활발한 논의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현장에서 제안된 의견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규제완화 등 제도 개선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오세훈 시장은 "모아주택·모아타운을 비롯한 서울시 정비사업 지원에 병목현상은 있을 수 없다"며 "강북지역 주택공급이 속도감 있게 추진되도록 현장 중심의 소통을 강화하고 체계적인 제도적 지원으로 '다시, 강북전성시대'를 열어나가겠다"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