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심끄는 지명직 최고위원과 대표의 윤곽 -

(e윈컴 취재)관리형 대표일까, 실세형 대표일까? 또 5명의 지명직 최고위원은 과연 누가될까? 8.30 전당대회가 임박함에 따라 최고위원 경선 결과 만큼이나 차기 대표직의 향방과 지명직 최고위원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미 민주당 지도부와 청와대 정무수석실은 지명직 최고위원과 관련한 인사파일을 대통령께 전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누가 최고위원으로 지명될지는 아직도 미지수. 이른바 '며느리도 모르는 형국'이 지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당 안팎에서 거론되고 있는 지명직 최고위원 후보들은 줄 잡아 10여명. 서영훈, 권노갑, 김영배, 신낙균, 김원기, 장을병, 김옥두 등 당 중진급 인사들의 기용설과 최고위원 경선 결과에 따라 낙선자 중 일부를 배려할 것이라는 '설'도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할 경우 먼저 서영훈 대표는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당 대표를 맡을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서대표로는 한계가 있다는 당내의 평가에도 불구하고 지난 8개월 동안 비교적 무난하게 당을 이끌어 왔다는게 청와대의 시각이기 때문.

또한 그를 능가하는 마땅한 대안이 없다는 점도 서대표에겐 유리한 대목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인지 최근 서영훈 대표는 대표최고위원 지명을 염두에 둔 의욕을 내비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주미대사직을 마치고 귀국한 이홍구 전총리의 기용설도 조심스럽게 나돌고 있는 상태이다.

권노갑 고문의 경우에는 최고위원 경선 출마를 포기한데 따른 보상론과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당의 구심을 형성해야 한다는 현실적 역할론이 힘을 얻고 있다. 그러나 최근 동교동계 내부의 불화설이 증폭되는 것을 막기위해 권고문의 당 일선 복귀 보다는 김옥두 사무총장을 최고위원으로 승격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은 상태이다.

또한 김영배, 김원기 고문 등의 경우에는 풍부한 정치경험을 지녔다는 강점이 있으나 김영배 고문의 경우 선거비용 초과지출로 인해 선관위로부터 고발된 상태라는 점이, 김원기 고문의 경우 전북 출신이라는 점이 각각 약점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장을병 전의원의 경우, 교육부총리 탈락과 강원도 배려 차원에서의 거명에도 불구하고 원외라는 한계가 어떻게 작용할지가 미지수인 상태이다.

여기에 최고위원 경선 출마자 중 영남권과 여성 몫 에 배려 차원에서 거론되던 김기재·김희선 의원의 경우에는 각각 대표성이 중첩되고 있는 김중권·추미애 후보가 선전중에 있어 경선 결과에 따라 지명 다소 유동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현행 당헌상 선출직 최고위원 중에서 지명토록 되어있는 대표최고위원 문제를 어떻게 정리할지도 초미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실세형 대표가 발탁된다면 유력한 차기주자로서의 입지를 굳히는 결과가 초래될 것이고, 관리형 대표가 발탁되더라도 경선을 통해 선출된 7명의 최고위원과 나머지 4명의 지명직 최고위원 등 당 지도부를 이끌어가는 실질적인 당의 얼굴이 될 것이기 때문.

현재까지의 분위기는 일단 지명직에서 발탁하는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자칫 실세형을 대표 자리에 앉혀, 차기 논의가 불거지고, 당력이 분산되는 것을 막자는 이유에서이다.

그러나 여기에 이의를 제기하는 분위기도 만만치 않다. 향후 1년 동안이 김대중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가장 중요한 기간이라면 당이 실질적으로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라도 당 대표는 구심점을 형성할 수 있는 인물로 교체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바로 그것이다.

또 당 일각에서는 과연 현재의 서영훈 체제로 험란한 경선을 돌파한 최고위원들의 거센 요구들이 통제·조정되겠느냐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관리형 대표라도 관리능력이 있는 인물로 교체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화갑, 이인제 등 최고위원 경선 1위 득표자의 대표 기용설도 끊이지 않는다. 어차피 한나라당이 본격적인 대선 준비에 착수한 마당에 민주당도 어느 정도의 가시화는 용인하는 것이 정권재창출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느냐는 게 그들의 논거이다. 그러나 이럴 경우 대표직을 수행하지 못하는 나머지 후보들의 반발과 비협조가 우려된다.

또 남은 2년 6개월 동안 레임덕을 최대한 늦추어야 하는 동교동계 주류의 입장에서도 매우 부담스럽고 위험천만한 모험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연 당 총재인 김대중 대통령은 어떤 결단을 내릴 것인지 귀추가 주목되지 않을 수 없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