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목적
8.15 경축사에서 제기한 '한반도 시대선언'에 대한 국민공감도를 비롯해, '전당대회 메시지'에 참조할 여론 자료작성
※조사항목
대통령 비전제시에 대한 공감도, 국민화합의 시급한 과제, 여당의 업적 및 향후 주력과제, 이총재의 방문문제, 의료계 재폐업 문제 등
※조사방법
-조사기법; ARS 조사
-조사일시; 2000년 8월 18일(오후 2시-10시)
-조사대상; 전국 만20세이상 성인남녀
-표본크기; 1366명(남 768명, 여 598명)
-표본추출방법; 무작위 표본추출방법
-표본오차; 95%의 신뢰구간내에서 +- 2.65%
1. 요약과 제언
[8.15 경축사 관련]
◆대통령이 제시한 '평화와 도약의 한반도시대 개막'에 대해 국민 다수(80.3%)가 공감한다고 응답함.
☞ 국민들은 최근 남북이산가족 상봉 등 남북화해협력이 뚜렷하게 可 시화되고, 남북경협 및 경의선 복원과 대륙횡단 철도연결 전망이 구체화되는 시점에서 제시된 '한반도시대' 선언에 대해 시의적절 한 구상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해석됨.
◆향후 국정 5대목표의 하나로 제시된 '국민대화합'과 관련해 가장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과제에 대해서는 여야화합(54.4%)가 가장 많이 지적되었고, 이어 동서간 화합(18.7%) 계층간 화합(13.2%) 세대간 화합(3.0%)가 지적됨.
☞ 이같은 조사결과는 최근 국회파행 등 여야간 갈등이 장기화되는데 대한 우려가 많이 반영된 것으로, 남북화해 국면과는 너무 대조적인 국내정치가 응답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됨.
[여당의 업적과 과제]
◆정부여당이 2년반 동안 가장 잘한 일은 남북정상회담 성 사(50.6%)가 IMF극복(26.8%)를 제치고 수위를 차지함. 이어 4대개혁(7.9%), 정권교체(6.6%), 생산적 복지추진 (2.6%)의 순임.
☞ 집권 이후 2년 동안 제1의 업적으로 손꼽혀온 'IMF 극복'이 최근의 남북화해협력의 대세에 자리를 내어주었음. 하지만 경인지역, 광주전라지역에서는 IMF 극복이 30%를 웃돌면서 남북정상회담(40%선)과 엇비슷한 비중을 차지해 눈길을 끔.
◆국정 5대과제 가운데 향후 민주당이 주력해야 할 과제는 정치안정 즉, '대화와 타협의 정치'(30.4%)와 '민주주의와 인권신장'(30.4%) 등 양대과제로 지목되고, 남북교류협력 진전(17.2%) 4대개혁 완성(11.3%)이 뒤를 이음.
☞ 정부와 여당의 역할분담을 의식한 응답결과로 해석됨. 여당은 일단 국회정상화 등 정치안정에 주력하고, 민주주의와 인권의 발전 등 정치 고유의 영역에 노력을 집중해줄 것을 주문함.
[야당의 대북자세]
◆이회창 총재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북 초청을 받을 경우, 응해야 한다(76.5%)는 주장이 거부해야 한다(9.0%)는 주장을 압도하는 것으로 나타남.
☞ 한나라당 지지자(83.1%), 대구경북(81.5%) 부울경남(75.7%) 등 야당의 주요 지지층에서 방북 수용을 적극 주장하고 있어 주목됨. 이는 남북화해의 역사적 당위는 물론이고, 이 총재가 최근 남북화해 국면에서 소외, 고립될 것을 우려한 것으로 해석됨.
◆이와 함께 야당이 남북관계에 있어서 취해야 할 태도도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61.9%)가 정부의 대북정책을 견제해야 한다(19.3%)보다 훨씬 높게 나타남.
☞ 이 문항에서도 야당의 지지층에서 초당적 협력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비교적 높게 나타남. 한나라당(53.3%) 대구경북(58.2%) 부울경남(50.8%)로 전국 평균보다 조금 낮은 수치를 나타냄.
◆마지막으로, 최근 사회적 물의를 빚고 있는 의료계 재폐업에 대한 정부의 강경조치에 대해 적절하다(64.4%)는 의견이 적절하지 않다(28.3%)는 의견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남.
Ⅱ. 항목별 조사결과 개요
□ 국민대화합의 가장 시급한 과제

□ 집권 전반기 정부여당이 가장 잘한 일

□ 집권 후반기 민주당이 가장 주력해야 할 과제

□ 최근 남북관계에서 야당의 바람직한 자세

□ 한반도시대 비전 제시에 대한 공감도
공감한다 80.3%(매우 공감 41.0%, 다소 공감 39.2%) 공감하지 않는다 14.5%(별로 공감안함 11.6%, 전혀 공감안함 2.9%) 잘모름 5.2%
□ 의료계 재폐업에 대한 강경조치의 적절 여부
매우 적절함 44.7% 대체로 적절함 19.7% 별로 적절치 않음 18.6% 전혀 적절치 않음 9.8% ○ 잘모름 7.3%
※ 재폐업에 대한 강경조치에 대해서는 지역별 편차가 다소 드러남.
특히 대구경북의 경우, 적절(48.5%)과 부적절(40.0%)로 여론이 양분됨. 대전충청도 적절하다는 의견의 결집도가 다소 약한 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