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 총재가 KBS '일요진단' 프로그램에서 "여당의 성의 표시가 있을 경우 국회 정상화에 응할 수 있다"는 입장을

한편, 한나라당은 24일 한 호텔에서 긴급 총재단회의 열었다. 이 자리에서도 대부분이 조속한 국회 정상화 입장을 밝혔고, 이총재는 주로 듣는 모습을 보였다고 전해진다. 그동안 비주류, 소장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제기됐던 국회 정상화론이 한나라당내에서 공감을 얻고 있다는 반증이다. 이로써 한나라당은 어떤 모양새를 갖춰 국회에 등원할 것인가가 과제로 남는다. 한나라당은 25일 총재단회의와 의원총회에서도 국회 정상화 방안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될 것이다.
민주당도 야당과의 막후접촉 내용을 정리, 정국수습책을 마련해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이 자리에서 여야타협안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 받을 것으로 예상돼 25일 있을 청와대 당부보고가 주목되고 있다.
야야 대타협을 적극 모색하고 있는데 어느 수준으로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질 것인가? 국회법 개정과 관련, 한나라당에서는 서영훈 대표의 유감표명을 여권의 사과로 받아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회법 개정안의 원천무효화 요구는 여전한 쟁점으로 남아있어 주목되는 부분이다. 민주당은 '별도의 국회법 수정안을 만들어 제출하면 운영위를 통과한 국회법 개정안이 자동 무효화되는 것 아니냐'는 반응이다.
선거비용실사 개입 의혹 문제는 여야 대치국면 쟁점에서 뒤로 밀려난 분위기지만 여야간 국정감사나 국정조사를 통해 진상규명에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10월 13일로 4.13총선 공소시효가 만료돼 실효성이 없고 여야 모두 정치적 부담도 크다는 점에서 여야가 쉽게 합의할 수 있는 부분이다.
가장 쟁점이 되고 있는 한빛은행 부정 대출 및 외압 관련 부분이 주목되는데, 한나라당이 표면상으로는 여전히 '특검제'를 주장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조건부 특검제' 수용 방안이 국회 등원론과 맞물려 힘을 얻고 있다. 그동안 여권에서는 '국정조사 후 필요하면 특검제 실시' 방안이 제기돼 왔었다. 아직 입장차이는 있지만 이 문제도 절충안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지도부 교체에 대해서는 한나라당이 공개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으나 민주당 내부에서도 제기돼 왔던 문제로 여야타협안이 마련되면 민주당 내에서 공식적으로 거론될 전망이다. 서영훈 대표가 24일 동교동계에 대한 불만을 강도높게 표시하기도해 국회 정상화와 당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일부 당직개편이 예상되기도 한다.
금주 중에 여야가 대치국면을 타개하기 위한 다양한 대화시도와 타협안 마련에 집중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총재가 제기한 여야 영수회담 성사를 계기로 이번 주에 여야대타협이 본격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