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모두 북미관계 개선과 클린턴의 방북계획을 환영하면서 한반도 평화정착에 기대감을 피력, 야당은 국민들의 안보의식 해이를 우려 정부 및 여야는 13일 북-미간 공동성명 채택과 클린턴 미국 대통령의 방북 방침이 남북관계 개선 및 한반도 평화정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환영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이번 북-미관계의 진전은 김대중 대통령의 일관된 대북 포용 정책의 결과라는 점에서 적극 환영한 반면, 한나라당은 점진적 남북교류협력과 평화정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재정적 부담의 강화와 안보의식의 해이를 우려했다.

김대중 대통령은 이례적으로 자신의 이름으로 "전폭적으로 지지하고 환영한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박병석 민주당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북-미간 합의가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조성된 한반도의 화해와 협력에 기초한 것"이라고 의미부여하면서, "한반도 긴장완화와 평화정착은 물론 동북아시아 평화에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해찬 정책위의장은 "한반도에 미칠 파장이 클 것이라며 평화협정체제가 만들어지면 군축도 가능할 것"이라고 평가하고, "평화협정 단계까지 나가면 남침기우가 크게 해소돼 여야간 대북인식차에서 오는 정쟁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서영훈 대표는 남북관계 변화에 걸맞은 정쟁없는 '큰 정치'를 주문하기도 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큰 틀에서 양국간 적대관계를 해소시키고 점진적으로 한반도 평화정착에 기여할 것으로 긍정평가하면서도, 북-미관계 진전으로 인한 안보의식의 해이를 우려하고 있다.

권철현 대변인은 논평에서 "정부는 북-미간의 외형적 선언에 손을 놓고 있을 것이 아니라 한반도의 실질적 안보와 긴장완화가 보장되도록 배전의 노력을 기울이고 정체성 확립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주문했다. 더불어 "북-미 회담에 남한은 제3자로 밀려났고, 북한은 테러행위에 대한 반성없이 경제협조와 교류라는 실익만을 챙겼다"고 비판했다.

김원웅 의원은 "이번 기회에 남북관계와 북미관계가 상호 보완적임이 입증됐다"면서 "북한이 하루빨리 보통국가로 국제사회에 편입될 수 잇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자민련도 한반도 평화정착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환영하면서도 북한의 통일전선전술에 의한 저의를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주문했다. 변웅전 대변인은 성명에서 "북한이 북미관계 개선을 통해 그들의 통일전선전술인 '통미봉남' 정책의 확고한 착근을 계기로 삼으려는 전의를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우리는 북한이 대화와 군사를 분명히 구분하고 있음을 망각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민주노동당은 성명에서 "북미관계의 급진전이 한반도를 둘러싼 평화분위기 조성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환영"하면서, "조속히 평화협정 체결로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민주노동당은 "북미관계 개선이 평화정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통일세력, 평화세력과 더불어 힘을 모으는데 적극 나설 것"을 선언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