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와 최대규모 무기공급 계약, 곡사포 시장점유율 68%
신속한 무기 인도, NATO 호환 등 강점…유럽 국가 관심↑
![폴란드 한국 무기 체계 주문…역대 최고 수출액 전망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305/610974_411628_319.jpg)
[폴리뉴스 황정일 기자] 한국이 폴란드와 역대 최대 무기 공급 계약을 체결, 3대 무기 수출국으로 올라서면서 글로벌 방산 수출국으로의 도약을 시작한다.
로이터통신은 29일(현지시간) 한국이 지난해 폴란드와 역대 최대규모의 무기 공급 계약을 맺은 것을 발판으로 세계 주요 방위산업 수출국으로 도약을 노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계약에 직접 관여한 회사 경영진과 정부 관료 등 13명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이들은 계약에 한국이 세계 최대 무기 공급국가 중 하나가 되겠다는 청사진이 담겨 있다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체코,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와 다른 국가들은 유럽 내에서 방위물자를 구매할 계획이었는데, 이제는 한국 기업들로부터 저렴한 비용으로 더 빨리 받을 수 있다는 걸 알게 됐다”라고 말했다.
NH투자증권은 세계 곡사포 시장의 55%를 점유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폴란드와의 계약으로 점유율이 68%까지 올라갈 것으로 추산했다.
폴란드 국영 방산업체 PGZ의 루카시 코모렉 이사는 “이번 계약을 통해 궁극적으로 다른 유럽 국가에 무기를 공급할 토대를 제공하기 위한 한국과 폴란드 회사 간 컨소시엄이 세워졌다”라고 밝혔다.
코로렉 이사는 “우리는 단지 하도급 업체나 기술이전 제공자 또는 구매자의 역할만을 원하지 않는다”라며 “양측은 유럽 시장을 점령하기 위한 시너지를 형성하고 경험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이 가진 강점 가운데 하나는 신속한 무기 인도다. 폴란드에 보내기로 한 무기들 가운데 K2 전차와 K9 자주포의 초도 물량은 계약체결 몇 달 만에 전달됐고, 이후 탱크 최소 5대와 곡사포 12대가 추가로 전해졌다.
반면에 헝가리가 2018년 독일에 주문한 레오파르트 탱크 44대 가운데에서는 아직 한 대도 인도되지 않았다.
폴란드 국제문제연구소 오스카 피에트레비치 선임 분석가는 “한국이 제시하는 구매 조건에 대한 국가들의 관심은 유럽 주요 방산국인 독일의 제한된 생산능력을 감안할 때 커질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한국군과 방산업체의 긴밀한 관계 또한 긍정적 요인으로 꼽힌다. 유럽 방산업체의 고위 관계자는 “우리가 몇 년 걸릴 일을 한국은 몇 주 또는 몇 달이면 해낸다”라고 했다.
조우래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부장은 “북한과 지속적인 긴장 관계는 남한 무기 생산 라인이 계속 돌게하고, 무기들은 긴장 국면 속에 개발, 테스트, 업그레이드됐다”라고 말했다.
한국산 무기가 가진 또 다른 이점은 미국 또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시스템과 호환되도록 설계됐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한국은 나토와 회원국들에 세 번째로 많이 무기를 수출하는 국가가 됐다. 유럽 방위업체의 한 임원은 “우리는 오랫동안 한국을 과소평가해왔다”라고 말했다.
다만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한국의 점유율은 4.9%로, 미국(65%)이나 프랑스(8.6%)에 크게 못 미친다.
더불어 한국은 또 인도네시아와 한국형 전투기를 공동 개발하고 있으며, 한국형 전투기 공동개발에 폴란드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올해 10억달러(약 1조3000억원) 규모의 한국 경전투기 ‘FA-50’을 사들였고, 한국은 120억달러대의 호주 장갑차 계약 수주도 노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