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 존중, 공동이익, 두 가지 핵심 키워드를 중심에 놓고 한중 관계 발전”
“한중일 정상회의 의장국으로서의 요청에 부응해 올해 중 열리기를 기대”
“한미 핵협의 그룹 조기 가동 필요”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이 14일 일본으로 출국하며 '한중관계가 역행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연합뉴스]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이 14일 일본으로 출국하며 '한중관계가 역행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연합뉴스]

[폴리뉴스 백윤호 기자]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이 싱하이밍 중국 대사 발언 논란에 대해 “한중 관계의 건강한 발전에 도움이 안 되고 이에 역행하는 그런 일들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14일 한미일 안보실장 회의 참석차 일본으로 출국하기 직전 김포공항에서 기자를 만나 조 실장은 “한중 관계에 대해서는 상호존중, 공동이익 두 가지를 핵심 키워드 중심에 놓고 한중 간의 관계를 발전시키자 또 건강하게 발전시키자 하는 것이 윤석열 정부의 변함없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대통령실이 중국 측에 언급한 ‘적절 조치’에 대해 “더 이상 뭐 드릴 말씀이 없고 제 말씀으로 갈음해 주시면 감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 측에 대한 성의 있는 요구 기준에 대한 질문에 조 실장은 “한중 관계에 대해서는 제가 드린 말씀으로 우리 정부가 가지고 있는 그 원칙과 입장을 잘 아실 수 있을 것”이라며 “더 부연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중일 정상회의 올해 중 열리기를 기대”

조 실장은 한중일 정상회의에 대해 “이제 한국이 의장국을 맡을 차례”라며 “중국과 일본에다가 한중일 정상회의를 하자고 하는 의향을 전달을 하고 지금 외교채널 간에 협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논란으로 인해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조 실장은 “우리나라의 외교 안보를 총괄적으로 조정해 나가는 자리를 맡고 있는 입장에서 주한 중국대사에 대한 뭐 이러쿵저러쿵 얘기하는 것 자체가 우리나라의 당당함과 국격에 잘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조 실장은 “한중일 정상회의는 정상 차원에서 한중일이 필요해서 만든 것”이라며 “공동의 이익이 되기 때문에 중국과 일본이 우리의 이제 의장국으로서의 어떤 요청에 호응을 해서 부응을 해서 올해 중에 열릴 수 있기를 저희가 기대한다”고 밝혔다.

지난 8일 싱하이밍 중국대사의 '부적절 발언'이후 한중관계가 긴장 상태에 들어서고 있는 가운데 지난 13일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나서 "'부적절한 발언'을 한 싱 대사가 상호존중 태도가 의심스럽다"며 국민이 불쾌해하고 있다"고 직격하면서 양국관계는 더욱 냉각상태에 빠져들고 있다. 

윤 대통령은 한중관계에서 '상호주의 외교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한미 핵협의 그룹 조기 가동해야”

한편, 이번 방일에 대해 조 실장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북한의 도발이 예상이 되고 있고 그 외에 국제정세도 지금 굉장히 복잡하게 움직이고 있다”며 “그 어느 때보다도 한미일 3자 간의 협의와 긴밀한 공조가 중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의 국익을 좀 더 확보하기 위한 그런 목표를 가지고 한미일 3자 협의 또 한미 협의, 한일 협의 등 심도 있는 협의를 갖겠다”고 덧붙였다.

한미 핵협의그룹에 대해 “당연히 조기에 가동해야 한다”며 “그 문제도 충분히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본 참여에 대해 조 실장은 “한미일 간의 확장 억제에 대해서 정책적 수준의 협의를 하는 데 대해서 우리 정부는 열려있다”며 “이것은 한미 간에 합의를 한 핵협의 그룹하고는 굉장히 많이 다르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조 실장은 “핵협의 그룹은 북한의 핵무기 도발에 대응해서 강력한 응징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전적인 수준에서 한미 간에 구체적인 협의를 하는 것”이라며 “한미일 간의 협의체는 정책적 수준에서 확장 억제에 관한 한미일 간에 정책 공조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두 가지를 같은 선상에 놓고 보시는 거는 정확하지 않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