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국방 장관 교체로 흔들린 軍 지휘 체계 다잡고 정무적 대응 역량 강화 노리는 듯
신원식, 지난해 국정 감사서 ‘홍범도 공산당’ 논란 처음 언급… 육사, 한 달 뒤 철거 계획 수립
신원식 “대통령실서 연락도 못 받아… 장관 제의 수용할 것도 없어” 후임설 부인
![국민의힘 신원식 의원이 6일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309/618985_420373_236.jpg)
[폴리뉴스 양원모 기자]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을 처음 수면 위로 끌어올린 국민의힘 신원식 의원이 후임 국방부 장관으로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윤석열 대통령이 본격적인 ‘역사 전쟁’의 포문을 열었다는 해석이 나온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국방 안보 라인 쇄신과 한미 안보 협력 역량 강화를 위해 신 의원을 이종섭 국방부 장관의 후임으로 검토하고 있다. 현재 인사 검증이 진행되고 있으며,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추석 전 지명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경남 통영 출신인 신 의원은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여당 간사를 맡고 있다. 육군사관학교 37개를 졸업하고 합동참모본부 차장, 수도방위사령관, 국방부 정책기획관 등 군 요직을 두루 거쳤다. 21대 국회에는 국민의힘 비례대표로 입성했다.
신 의원은 지난해 이종섭 당시 대통령 당선인 인수위 국방분야 인수위원, 김용우 예비역 대장과 윤석열 정부 초대 국방부 장관으로 하마평에 올랐었다. 최종적으로는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는 등 한미 관계에 밝은 이 위원이 초대 국방 장관에 지명됐다.
윤 대통령이 이종섭 장관 교체를 검토하는 것은 고(故) 채 상병 사망 사건 등 각종 군 관련 논란 속에서 군 지휘 체계를 다잡고 정무적 대응 역량을 강화하려는 포석으로 보인다. 최근 박정훈 대령의 ‘항명 사건’으로 이 장관의 리더십에 흠집이 나면서 교체가 불가피해졌다는 해석도 있다.
신 의원은 최근 정치권 주요 쟁점으로 떠오른 ‘홍범도 흉상 이전’ 주장을 지난해 11월 국정 감사에 처음 꺼낸 인물이다. 그는 당시 “(홍범도 장군이) 봉오동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고 하나, 그 뒤 내용은 자유시에서 거의 1500명이 되는 우리 독립군의 씨가 마르는데 주역이었다”고 말했다. 육사는 이 발언 이후 한 달 뒤 홍범도 장군의 흉사 이전 방침을 세웠다.
신 의원은 육사가 홍 장군의 흉상 이전을 검토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소셜 미디어(SNS) 등으로 찬성 입장을 적극 개진하며 여론전에 나섰다. 얼마 전에는 페이스북에 “홍범도는 뼈속까지 빨간 공산당원 볼셰비키였다”며 관련 문헌 2건을 공개하기도 했다.
그는 이 글에서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은 육사뿐만 아니라 ‘자유 대한민국’의 정체성 그리고 지향점과 직결되는 중차대한 사안”이라며 “홍범도 장군의 1921년 대(對)군중 발표와 사망 당시 부고장은 그가 ‘무늬만 공산당원’이 아닌 ‘뼈속까지 빨간 공산당원’이었음을 증명한다”고 주장했다.
야권, 시민 사회 일각에선 윤 대통령이 신 의원의 국방부 장관 지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역사 전쟁’에 나설 것이라는 분석이 고개를 든다.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에 가장 전향적인 인사를 국방부 장관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전쟁의 서막’을 알리는 신호라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는 홍범도 장군 흉상 철거 전부터 ‘역사 바로잡기’라는 명분 아래 독립유공자 공적을 재검증하거나 친북 논란이 있는 독립운동가에 대한 서훈을 취소하는 등 역사를 다시 쓰려는 듯한 시도를 이어왔다. 뉴라이트 인사들이 득세했던 이명박 정부 시절 인사를 최근 중용하고 있는 것도 이런 기조와 무관하지 않다는 시각이다.
대정부 질문 첫날인 지난 5일 국회에서도 비슷한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설훈 의원이 국가보훈부가 고 백선엽 장군의 안장 기록에서 ‘친일 반민족행위자’라는 문구를 삭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극우 뉴라이트 본색을 비치고 있다”고 비판한 것이다.
이에 대해 한덕수 국무총리는 “윤석열 정부가 극우 뉴라이트 시각을 갖고 있다는 시각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정부는 대한민국이 자유민주주의를 바탕으로 전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경제 발전과 민주화를 이룩했다는 역사적 평가를 기반으로 이를 수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신 의원은 국방부 장관 교체설과 관련해 <뉴스핌> 등 복수 매체에 “대통령실에서 (관련해) 연락을 받은 적이 없다”며 “(그러니 장관 제의를) 수용할 것도 없다”고 부인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이슈] '해병대 수사외압' 의혹 이종섭 국방장관 전격 사의, '친윤계' '극우' 신원식 의원으로 교체?
- 이종섭 국방장관, 사의 표명… 민주 “수사 외압 몸통 감추려는 ‘꼬리 자르기’”
- 윤 대통령, 신원식 국방장관·유인촌 문체장관·김행 여가부 장관 지명
- [이슈] 尹정부, 기존 MB계에 친박계도 중용.. 내년 총선 '보수 빅텐트' 꿈꾸나
- [청문회] 신원식, 文 겨냥 막말 논란에 “사과”...“쿠데타 발언은 사실 아냐”
- [이슈] '독도의날' 野·민간단체 "독도 수호" 한목소리.. 정부는 독도 예산 삭감하며 뒷걸음질
- [이슈] 독립기념관 이사 '뉴라이트' 박이택 임명 논란... "일제 덕에 근대화" "위안부 본인 선택" 낙성대경제연구소 소장
- [전문] 尹 3·1절 기념사 "모든 독립운동 재평가해야" 이승만 재평가 제기...정치권 '종북저지''굴종외교''5.18헌법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