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미시간주 노조 파업 현장 찾은 바이든 [사진=연합뉴스]
26일 미시간주 노조 파업 현장 찾은 바이든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민수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미시간주 전미자동차노조 파업 현장을 찾아 "포기하지 말고 요구하라"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현직 미국 대통령이 노조 파업 현장을 찾은 것은 사실상 최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격차가 벌어지며 밀리기 시작하자 승부수를 던진 것으로 풀이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미국 자동차 산업 중심지인 디트로이트와 가까운 미시간주 웨인 카운티 벨빌을 방문했다. 포드·제너럴모터스(GM)·스텔란티스 등 미국 3대 자동차 제조업체를 상대로 한 전미자동차노조(UAW)의 파업이 12일째 이어지고 있는 곳이다.

이곳에서 바이든은 15분간 '피켓 시위'에 참여하며 숀 페인 UAW 회장이 건네준 노조 모자를 쓰고 확성기를 잡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당신들이 (금융위기로 미국 및 세계 경제가 휘청거린) 2008년과 그 이전에 자동차 산업을 살렸다"면서 "당신들은 많은 희생을 했고 많은 것을 포기했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분은 상당한 임금 인상과 다른 혜택을 받을 자격이 있다"며 "우리는 그들을(자동차 회사)를 구했다. 이제 그들이 우리를 위해 나서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바이든 대통령을 포함한 역대 대통령은 소송까지 갈 수 있는 협상 양 당사자 중 한쪽 편을 드는 듯한 모습을 보이지 않기 위해 재임 중 노사 분쟁에 직접 개입하는 것을 자제했다는 점에서 이번 일정은 이례적이다.

정권 지지율에 악재가 되는 파업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는 동시에 정치적 성향상 민주당 텃밭 격인 노조의 지지를 얻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뉴욕타임스는 "노조가 강력했던 시대에 성년이 된 바이든 대통령이 민주당을 원래 뿌리로 돌아가게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앞서 UAW는 포드와 스텔란티스, GM과의 단체임금협상이 시한을 넘김에 따라 지난 15일부터 미시간, 오하이오, 미주리주에 위치한 3개 공장에서 동시 파업에 돌입했다. 향후 4년간 임금 최소 40%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지만 업체 측은 최대 20% 인상안을 고수하고 있다.

노동자 15만 명이 소속된 UAW는 내년 대선에서도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할지 여부를 밝히지 않았다. 이는 바이든 행정부의 전기차 전환 정책으로, 향후 자동차 산업이 내연차에서 전기차 흐름으로 넘어갈 시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을 염려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UAW의 밥그릇을 빼앗아 중국에 주려 한다"며 자극하기도 했다.

한편 27일에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 방문해 집회에서 연설하며 블루칼라 노동자들의 표심을 공략할 계획이다.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치열한 신경전이 지속될 전망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