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명계 더민주전국혁신회의
강득구 “尹 앞잡이로 볼 수밖에...정계은퇴해야”

더민주전국혁신회의가 18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당 창당을 추진하는 이낙연 전 대표를 규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민주전국혁신회의가 18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당 창당을 추진하는 이낙연 전 대표를 규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더불어민주당 친이재명(친명)계 원외 모임 더민주전국혁신회의(혁신회의)가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의 신당 창당 움직임에 대해 “이재명 대표를 반대하는 것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혁신회의는 18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전 대표가 얘기하는 신당 창당 이유를 도저히 이해하기 어렵다”며 “양극화된 정치 때문이라고 하는데 집권여당 민주당을 이끌었던 전직 당 대표로서 매우 무책임한 태도다. 이 전 대표는 대표 시절에나 그 이후에도 정치양극화 문제를 해결해보자고 단 한 번도 얘기한 적이 없다”고 꼬집었다. 

이어 “지친 마음에 정치계를 떠나겠다는 이유라면 몰라도 신당 창당을 하는 이유가 되긴 어렵다”며 “대다수 당원과 국민들은 자신의 정치적 욕망을 숨길 거짓 명분으로밖에 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혁신회의는 “이재명 대표는 취임 이후 윤석열 정권 폭정으로 쓰러지는 민생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 정의당, 기본소득당, 진보당과 함께 야4당이 꾸준히 입법 공조를 해왔고, 적대와 대결의 정치를 막고자 윤석열 대통령에게 8번의 영수회담을 제안했다”며 “정치양극화의 책임은 끝까지 제1야당 대표를 중범죄자 취급을 하는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에 물어야 한다. 그런데 왜 그것이 민주당을 분열시키고 신당을 창당하는 이유가 되는 것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혁신회의는 “신당 창당의 뚜렷한 이유는 이 대표를 반대하는 것뿐”이라며 “정치적 가치나 비전을 국민에게 제시하지 못하면서 오직 ‘반명’이란 주장밖에 보이지 않는다. 민주당 전직 대표로서 당의 민주적 절차와 책임 정치를 완전히 무시하는 행태”라고 밝혔다.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대해선 “본질적으로 ‘검찰스토킹’이다. 사법부는 구속영장 기각으로 판단했다”며 “이를 두고 이 대표의 거취를 논하는 것은 제1야당 대표를 중범죄자 취급하는 자들과 무엇이 다른지 알 수가 없는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또 “2021년 대선 경선에서도, 2022년 전당대회에서도 이 대표는 당원과 국민의 선택으로 민주당 대선 후보가 됐고 당 대표가 됐다. 그를 선출한 당원과 국민의 믿음과 신뢰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으며 오히려 더 높아졌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있다”며 “이런 당심과 민심을 부정하는 것은 민주적 절차를 무시하는 반민주적 발상이나 다름없다”고 일갈했다.

혁신회의는 “아무런 정치적 명분도, 근거도 없는 신당 창당은 결국 이 전 대표의 헛된 정치적 욕망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며 “종국에는 이 신당이 윤 정권에게 투항할 수밖에 없음을 모두가 알고 있다. 이는 민주당의 역사를 부정하는 것이고 이 전 대표가 모셨던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의 명예를 모욕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덧붙였다.

강득구 의원은 기자회견 뒤 기자들과 만나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작금의 이 전 대표의 모습은 민주주의의 가치를 짓밟아 온 앞잡이 카르텔의 재현을 보는 것 같다’고 쓴 부분에 대해 “총선이 140일도 안 남은 상황에서 신당을 창당하겠다, 민주당이 대안세력이 될 수 없다고 하는 건 윤 대통령의 앞잡이로밖에 볼 수 없다”며 “최소한의 양심과 명분을 안다고 하면 당장 신당 창당 포함해서 개인적으로 정계 은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쏘아부쳤다. 

또 이 전 대표가 전날 채널A 인터뷰에서 “태도가 잘못됐다. 그 정도면 저하고 무슨 대화를 한다든가 물어본다든가가 있어야 될 텐데 자기들끼리 그렇게 하고 있다”고 말한 것에 대해선 “본인은 신당 창당한다고 했을 때 우리 당 의원들과 논의해 본 적 있나. 이 전 대표 말대로라면 적어도 신당 창당한다고 말하기 전에 우리 당 의원들, 관계자들과 한 번이라도 논의한 적 있나”라고 반문했다.

강 의원은 이 전 대표의 신당 창당을 반대하는 연판장에 “오전 10시까지 115명 의원이 넘게 서명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