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헌 ‘대선 경선 출마자, 선출직 당직에서 대선 1년6개월 전 사퇴해야’
당내 당권·대권주자들 규정 개정 주장
안철수 “지방선거 지휘도 못 하고 그만둘 수밖에”
홍준표 “당대표, 지방선거 책임져야...대권주자 출마 부적절”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8일 여의도 당사에서 연합뉴스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5/647199_452714_4753.jpg)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당내 일부 당권주자가 당헌의 ‘당권·대권 분리’ 규정 개정 필요성을 주장하고 나선 데 대해 “20년 된 전통이다. 신중히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 비대위원장은 9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전화 인터뷰에서 “당 대표가 자기가 하는 대선을 주도하지 않아야 공평한 것 아니냐는 게 당헌의 취지”라며 이같이 말했다.
황 비대위원장은 “그 전에 당권·대권이 합쳐진 이른바 총재형 대통령이 직접 당대표가 되는 기간이 길었지만 그 폐해(가 있었다)”며 “대권은 어디까지나 우리 당의 1번 당원으로 모시지만 당을 초월해야 한다. 전 국민의 국가원수 지위가 있지 않느냐”고 당·대권 분리 규정의 취지를 설명했다.
현재 국민의힘 당헌에는 ‘대선후보 경선에 출마하려는 자는 상임고문을 제외한 모든 선출직 당직으로부터 대통령선거일 1년6개월 전에 사퇴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다. 7~8월 선출될 새 당대표는 7~8월 선출되면 차기 대선(2027년 3월 3일) 출마를 결심할 경우 임기 2년을 다 채우지 못하고 2025년 9월에 사퇴해야 한다.
당권주자이자 대권주자로 분류되는 안철수 의원은 전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차기 대표가 대선에 나가려면 지방선거(2026년 6월)도 지휘 못 하고 그만둘 수밖에 없다”며 “(당·대권 분리규정의) 개정 여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태호 의원도 같은 통신 인터뷰에서 “대표직을 잘 수행하지 못하면 대권에도 도전할 수 없고 걸림돌이 되는데 굳이 1년 6개월 이전에 사퇴하도록 제한해야 하나 싶다”고 했다.
반면 홍준표 대구시장은 전날 페이스북에 “이번 당대표는 2026년 6월 지방선거를 책임질 사람을 뽑는 선거”라며 “대선 경선 출마 예정자는 당헌상 2025년 9월 8일까지 사퇴해야 하기 때문에 출마 자체가 부적절하다”며 당권·대권 분리 규정 개정 주장을 반대하고 나섰다. 홍 시장과 오세훈 서울시장 등 현직 광역단체장은 당·대권 분리규정과 무관하다. 이들의 단체장 임기는 2026년 7월까지로, 차기 대선후보 경선이 시작되는 시기와 맞물린다.
한편 황 비대위원장은 전당대회가 당초 예상된 6~7월보다 한 달가량 늦어질 수 있다는 입장에 윤재옥 전 원내대표 등이 지적한 데 대해 “당헌·당규상 필요한 절차를 거치는 데만 40일이 들어간다”며 “논의해야 할 사항들이 자꾸 생긴다. 당헌·당규도 개정해야 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함부로 했다간 후유증이 크다”며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