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업의 공정과 상식 바로세우는 의정활동에 지속 노력할 것"
![국민의힘 김승수(대구북구을)의원 [사진=의원실 제공]](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6/655818_461770_2326.jpg)
[폴리뉴스 양성모 기자] 국민의힘 김승수(대구북구을)의원이 지난 25일 예술인 권리침해에 대한 문화체육관광부의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과징금을 추가 부과할 수 있는 내용의 '예술인의 지위와 권리의 보장에 관한 법률(예술인권리보장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 했다.
개정안은 ▲예술인에게 적정한 수익배분을 거부·지연·제한하는 등 권리침해 및 불공정 행위에 대해 문체부 장관으로부터 시정명령을 받았음에도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매출액의 100분의 3 이하에 해당하는 금액을 과징금으로 부과할 수 있도록 하며 ▲과징금의 부과기준은 불공정행위의 유형, 불공정행위로 인해 취득한 이익의 규모 및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기간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했다.
현행법은 시정명령 미이행 시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하는 등 구속력이 약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사업자가 예술인에게 적정 수익배분을 거부하는 등 불공정 행위를 하더라도 사업자가 얻는 이득에 비해 과태료 부과금액이 미미해 실효적 제제가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발생한 ‘검정고무신 사태’에 대해 지난 7월 문체부가 제작사 대표 측에 수익 배분 거부 행위 중지 등 시정명령을 내렸으나, 제작사 측은 시정명령 미이행에 대한 과태료 250만원만 납부한 채 아직까지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시정명령을 기간 내 이행하지 않거나 고의로 이행을 거부할 경우 과징금이 추가 부과되기 때문에 ‘검정고무신 사태’ 사례와 같은‘시정명령 패싱’을 방지하고 예술 분야의 불공정행위에 대한 실효적 제재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 의원은 이와 관련해 "개정안이 불공정 행위로 고통받고 있는 문화예술인들의 피해 회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은 물론, 지난 21대 국회에서 안타깝게 임기만료 폐기된 문화산업공정유통법의 재추진을 비롯해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공정과 상식을 바로 세울 수 있는 의정활동에 앞으로도 최선의 노력을 다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남인순 의원, '연명의료결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 홍기원 의원 , ‘부동산 3종 지역규제 개선 4법’ 발의
- 조인철 의원, '지방교부세율 5%p 인상 법안' 대표발의
- 박정 의원, 보이스피싱 근절 개정안 발의
- 김희정 의원, 6‧25전쟁 74주년 맞아 ‘호국보훈 3법’ 개정안 발의
- 민홍철 의원, '국제물류진흥지역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발의
- 김승수 의원, ‘이승기 사태 방지법’ 대중문화산업법 개정안 발의
- 정혜경 의원 “노동자들 주말 휴식권 보장하기 위한 법안 발의 준비 중”
- 정희용 의원, 농촌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방세특례제한법' 개정안 2건 발의
- 김승수 의원, 2024 한국을 빛낸 사회발전대상 '국회의정대상' 수상
- 김승수 의원 "생성형 AI 역사 왜곡 '심각', 문체부가 주도적 역할 해달라"
- 김승수 의원, 팔거산성·구암동 고분군 연계 역사문화관광벨트 조성 ‘청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