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보이스피싱 범죄 2022년 대비 35.4% 증가
전기통신금융사기 벌칙 ‘10년 이상의 유기징역’ 대폭 상향
![더불어민주당 박정(경기 파주을)의원 [사진=의원실 제공]](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6/655643_461607_4152.jpg)
[폴리뉴스 양성모 기자] 보이스피싱 수법이 나날이 교묘해지면서 피해자가 나날이 속출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 3월 발표한 '2023년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1965억원으로 2022년 대비 35.4% 증가했다.
현행법상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전기통신금융사기에 관한 법안이 존재하지만, 벌칙이 ‘1년 이상의 유기징역 또는 범죄수익의 3배이상 5배이하에 상당하는 벌금’으로 벌칙이 다소 약하다는 지적이 있다.
특히 피해자들은 사기로 인한 피해자의 심각한 물질적 피해와 이루 말할 수 없는 정신적 고통으로 종종 자살 같은 극단적인 선택을 할 정도로, 보이스피싱 범죄로 인한 사회적 병폐가 극심해 국민의 불안감을 경감시킬 강구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박정(경기 파주을)의원은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대한 특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 했다.
이번 법안은 전기통신금융사기에 대한 벌칙을, ‘10년 이상의 유기징역’으로 대폭 상향하고, 벌금 상한을 이익 가액 10배 이하로 해 이를 병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이스피싱 범죄자에 대한 위하효과를 제고하고 범죄를 예방하고자 한다.
박정 의원은 “사기범죄는 사회구성원들의 협력과 공존의 기반이 되는 사회적 자본인 신뢰를 무너뜨리는 행위로 사회 전체에도 막대한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예방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구자근 의원, '6·25 납북피해자 지원 확대 법안' 대표발의
- ‘영입인재 1 호’ 박지혜 의원, 제 1호 법안 ‘탄소중립산업법’ 발의
- 민홍철 의원, '국가스마트물류플랫폼 조성 특별법' 발의
- 윤준병 의원, '필수농자재 국가 지원에 관한 법률안' 발의
- 김태년 의원 "반도체산업, 기업 간 경쟁 넘어 국가 경쟁으로"… '반도체특별법' 발의
- 장종태 의원, 1호 법안 '장애인건강권법 개정안' 대표발의
- 김승수 의원, '정보통신망법 일부개정법률안' 대표 발의
- 조인철 의원, '지방교부세율 5%p 인상 법안' 대표발의
- 홍기원 의원 , ‘부동산 3종 지역규제 개선 4법’ 발의
- 김용민 · 민형배 의원, '사법기관 지역이전법 ' 공동 발의
- 박정 의원, '소득세법 개정안' 발의… 학원비 세액공제 초등학생으로 확대
- 남인순 의원, '연명의료결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 김현정 의원, '하도급법 개정안' 발의… 불합리한 갑을 관계 개선
- 김승수 의원, '예술인 권리침해 시정명령 패싱 방지법' 발의… 과징금 추가 부과
- 최수진 의원, '대형마트 온라인 배송 허용하는 개정안' 발의
양성모 기자
ysm1102@pol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