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후 서울 용산구 용산전자상가에서 시민들이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의 배우자 김건희 코바나컨텐츠 대표의 허위이력 의혹과 관련한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6일 오후 서울 용산구 용산전자상가에서 시민들이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의 배우자 김건희 코바나컨텐츠 대표의 허위이력 의혹과 관련한 대국민 사과 기자회견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이종훈 명지대 연구교수, 시사평론가] 최근 국민의힘 내에서는 김건희 여사 대국민 사과가 주요 쟁점이다. 대표적 친한동훈계 인사인 장동혁 국민의힘 수석최고위원은 10월 8일 이렇게 언급했다. “모든 것이 다 해결된다는 것은 아니어도 적어도 사과 표명은 있어야 한다.”

실기했다는 지적도 있다. 또 다른 친한계 인사인 박정훈 의원은 10월 6일 한동훈 대표와 친한계 의원들 만찬에서 김 여사의 사과 타이밍이 좀 늦은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왔다며, 자신도 그렇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은 10월 2일 관계자 발로 이런 소식을 전했다. “김 여사의 사과와 관련해 검토 쪽으로 무게가 실리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지만, 지금 드릴 수 있는 입장은 이것뿐이다. 다양한 의견을 듣고 있다.”

대통령실이 신중할 수밖에 없는 이유 그리고 국민의힘 친한계 내에서까지 타이밍을 놓쳤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는 하나다. 김 여사 사과가 고차 방정식이 된 탓이다. 모두가 알다시피, 5차 방정식을 넘어가면 해가 없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이나 학위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서는 2021년 12월 사과로 퉁 친다고 치고, 명품백 수수 의혹은 검찰의 불기소 처분으로 해소된 것으로 치더라도, 남은 의혹이 한둘이 아니다. 최근 쏟아지는 새로운 의혹은 2021년 12월 사과를 무색하게 하는 내용이어서 더 휘발성이 높다.

당시, 김건희 여사는 이토록 애절하게 호소했다. “과거의 잘못을 깊이 반성하고 국민의 눈높이에 어긋나지 않도록 조심 또 조심하겠습니다. 많이 부족했습니다. 앞으로 남은 선거기간 동안 조용히 반성하고 성찰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그리고 남편이 대통령이 되는 경우라도 아내의 역할에만 충실하겠습니다.”

그랬던 김 여사가 대통령실과 관저 용산 이전 공사에 개입했고, 친정 일가의 토지 인근 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에 개입했고, 2022년 보궐선거는 물론 2024년 총선 공천에 개입했고, 2022년 대선 당시 무료 컨설팅을 받는데에도 관계했고, 산하기관 인사에 개입한 것을 물론 한동훈 대표에 대한 공격까지 사주했다면, 극적인 국민 기만행위가 아닐 수 없다.

더욱이 이들 의혹 대부분은 당사자들만 알 수 있는 내용이다. 이는 한동훈 대표를 비롯한 친한계는 물론 친윤계 의원들조차 섣불리 방어에 나서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들리는 바로는, 대통령실 참모진도 대부분 그렇다고 한다. 아는 것이 별로 없어서 해명을 내놓을 수 없는 처지라는 것이다.

의혹에 의혹이 더해지고 있는 상황도 대국민 사과 시점 선택에 애로를 더한다는 소문이다. 사실, 최근 쏟아지고 있는 제보와 폭로의 끝이 어디일지는 누구도 가늠하기 어렵다. 통상적으로 대국민 사과는 사건 종결 시점에 마무리 수순으로 내놓기 마련이다.

대통령실이나 국민의힘이 고차원 방정식을 풀어 나름 최적의 사과 시점을 정하더라도 문제는 남는다. 사과의 진정성을 국민으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대선 전에 내놨던 철떡 같은 약속을 어긴 김 여사이기에, 또 어길 수 있다고 여기는 순간, 사과는 오히려 역풍을 유발할 것이 분명하다.

대통령실과 국민의힘이 결정장애에 빠진 사이 범야권의 김건희 맞춤형 공세는 더 거세질 전망이다. 가만히 앉아서 죽을 것인지 좁은 틈이라도 찾아서 탈출할 것인지, 국민의힘도 이젠 결단을 내려야 한다. 선제적으로 ‘김건희 특검법’을 발의하는 방법 같은 것이다.

 

                   이종훈 정치평론가
                   이종훈 정치평론가

      이 종 훈

     정치평론가

      정치학박사

      명지대 연구교수

      정치경영컨설팅(주)대표

      전 국회연구관

※ 외부 필자의 기고는 <폴리뉴스>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