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관세 부과… 한미 FTA 특혜도 사라져
수출 타격 속 기회도? 고부가가치 제품 경쟁력 주목
현지 생산 확대·정부 협상… 돌파구 찾는 철강업계

현대제철 열연강판. [사진=현대제철]
현대제철 열연강판. [사진=현대제철]

[폴리뉴스 이태윤 기자] 미국의 철강 관세 조치가 글로벌 무역 환경을 뒤흔들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 기조를 잇는 철강·알루미늄 25% 관세가 12일(현지 시간)부터 공식 발효되며, 우리나라 철강업계는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이번 조치는 철강·알루미늄뿐만 아니라 볼트, 너트, 스프링 등 관련 파생 제품에도 적용돼 업계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한국은 기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누리던 무관세 혜택과 연간 263만 톤의 수출 쿼터까지 폐지되면서 새로운 대응 전략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 규모는 연간 약 29억 달러로 전체 철강 수출의 9%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미국 내에서 캐나다(23%)와 멕시코(11%), 브라질(9%, 근소한 차이로 앞섬)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수치다. 하지만 캐나다와 멕시코 역시 높은 관세를 적용받으며 경쟁 여건이 크게 달라지지 않아 한국 철강업계가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특히 열연강판의 경우 25%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여전히 미국산과 가격 경쟁력이 유사한 수준이며, 자동차용 강판, 컬러강판, 강관 등의 고부가가치 제품에서는 여전히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 더욱이 수출 쿼터가 철폐되면서 일부 제품군의 수출량 확대 가능성도 기대된다.

하지만 국내 철강업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이미 중국산 저가 철강 공세로 인해 실적이 악화된 상황에서 추가 관세 부담까지 겹치면서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응해 국내 주요 철강업체들은 새로운 전략을 모색 중이다. 현대제철은 미국 현지에서 자동차 강판 생산 공장을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포스코 역시 미국 내 상공정 분야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 현지 생산 능력을 강화함으로써 관세 부담을 피하고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려는 전략이다.

정부 역시 철강업계와 함께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이날 열린 민관 합동 회의에서는 관세 대응 전략뿐만 아니라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추가 무역 분쟁 가능성까지 고려한 대책이 논의됐다.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기존 유럽연합(EU) 사례와 같이 일정 할당량을 초과하는 제품에만 관세를 부과하는 절충안이 마련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