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탄핵으로 조기대선 실시...완전한 尹 책임”
“국힘, 尹과 완전히 절연하지 않으면 희망 없어”
“尹, 신당 창당 언질 줬을 것...코미디”
‘반명 빅텐트론’에 “실제 이뤄지기 힘들 것...누굴 기축으로 하겠나”
“이준석, 이재명과 막상막하이지 않는 한 빅텐트 안 들어갈 것”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1일 국민의힘 일각에서 나오는 ‘한덕수 차출론’에 대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감히 대통령 후보가 될 꿈도 꾸지 말아야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전 비대위원장은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한 총리야말로 계엄 사태에  한복판에 있는 장본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한 전 비대위원장은 “본인이 지금 애매한 태도를 취하는 건 주변에서 자꾸 부추기는 사람이 있으니까 행여나 하는 생각을 하는 건데 내가 아는 한 총리는 그렇게 비합리적인 사람이 아니다”라며 “한 총리가 무슨 후보로 나갈 결심을 했다는데 나는 그런 결심을 아직은 하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한다. 최종적으로 결국 출마하지 않을 거라고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중진이라는 건 행여나 하는 생각들을 하는 것”이라며 “지금 국민의힘에서 출마한 후보들을 보니까 별로 마음에 들지 않으니까 엉뚱하게 당 밖에서 찾으려다 보니까 한덕수가 괜찮지 않겠느냐 이런 생각을 하는 거다. 지난번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당 후보는 제쳐버리고서 안철수로 단일화하자고 생각했던 사람들하고 똑같은 생각을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김문수 (국민의힘 경선) 후보가 초기에는 상당히 지지도가 높아가다가 최근에 와서 주춤하게 된 게 한덕수하고 단일화한다는 얘기를 (한 이후)”라며 “이 사람이 과연 실질적으로 대통령 후보가 되기 위해서 나왔느냐 하는 것에 대한 의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비대위원장은 전날 진행된 국민의힘 대선 경선 토론회에 대해 “탄핵, 계엄과 관련해 종전의 입장들을 서로 반복하는 논쟁을 한 것 같은데 기본적으로 이번 대선이라는 것이 무엇 때문에 실시되는 것인가에 대한 인식들이 잘못돼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와 그로 인한 탄핵의 결과가 결국 이번 조기 대선을 가져온 거다. 그와 같은 사태를 유발하게 된 데에 동의를 한 사람들이 과연 대통령 후보로 나왔을 때 명분이 있겠느냐”며 “정치라는 것도 일반 상식이 통해야 한다. 계엄을 찬양하고 탄핵을 반대한 사람들이 지금 어떻게 대통령을 하겠다고 나오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현재 국민의힘의 상황에서 민주당과 싸울 수 있는 유일한 후보감이 한동훈이라고 생각한다. 그 사람만이 유일하게 계엄 선포한 날 저녁에 계엄에 반대했다”며 “탄핵에 대해서 한 후보가 무슨 내란 선동을 했다고 얘기하는데 이거는 완전히 윤 전 대통령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김 전 비대위원장은 국민의힘이 윤 전 대통령과 절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민의힘이 미래 정당으로서 지속적으로 존속을 원하고 이번에 대통령 선거에서 그래도 어느 정도의 성과를 가져오려면 지난 4월 4일(탄핵 심판 선고) 이전은 완전히 잃어버려야 된다”며 “윤 대통령하고는 완전히 절연하고서 새로운 당의 모습으로 태어나지 않으면 저 당은 희망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 윤 전 대통령은 당에 부담만 줬지, 당에 아무런 어떤 도움을 주지 못하고 탄핵된 사람”이라며 “그 사람에 대한 그리움을 가진 정치인이 많다고 하는 것은 저 당이 정상적인 정당이라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심판 변호인단인 김계리·배의철 변호사가 ‘윤어게인’ 신당 창당을 예고했다가 보류한 데 대해 “윤 전 대통령이 아마 그런 언질을 줬기 때문에 그 변호사 두 사람이 신당을 한번 해 보려고 했던 것 같다”며 “윤 전 대통령이 지금 신당을 운운한다는 건 코미디”라고 직격했다.

이어 “윤 전 대통령이 사실은 대통령으로서의 역할도 제대로 못 하셨던 분인데 최근에 계엄 선포 이후, 탄핵 이후의 행태를 볼 것 같으면 과연 저런 사람이 대통령을 했었느냐 하는 것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김 전 비대위원장은 범보수 진영에서 나오는 ‘반명 빅텐트론’에 대해 “실질적으로 이뤄지기 굉장히 힘들 것”이라며 “누구를 기축으로 반이재명 빅텐트를 할 수 있겠나. (김문수 후보가 단일화를 얘기하는 건) 지금 대통령 후보로서의 자신이 하나도 없다는 얘기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준석 개혁신당 개선 후보에 대해 “거기에 들어갈 거라고 절대 생각하지 않는다”며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이재명 후보와 막상막하 상황이 돼서 조금 힘을 보태주면 이준석 후보가 승리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기 전에는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그 사람도 자기 나름대로의 미래에 대한 자기 정치를 생각해야 되기 때문에 괜히 여기에서 어디에 휩쓸려서 되지도 않을 일을 하는 것보다는 자기가 자기 입지를 구축하는 데 노력하는 것이 더 현명하다고 판단할 거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