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입구에 대출 안내문이 붙어있다. 이재명 정부의 세번째 부동산대책 발표에 따라 이날부터 수도권·규제지역의 시가 15억 초과∼25억원 미만 주택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가 4억원, 25억원 초과 주택은 2억원으로 각각 줄어든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11/714247_528270_022.jpg)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고신용자들마저 제1금융권(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고 제2금융권으로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 강화와 은행권 총량 통제가 겹치면서 사실상 '초고신용자'만 은행 대출이 가능한 상황이 됐다는 분석이다.
19일 대출 비교·중개 플랫폼 핀다에 따르면 신용점수 900점 이상 고신용자의 제2금융권 대출 약정액은 이달 1~15일 기준 지난달 같은 기간 대비 107.8%(2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 2금융권 한도 조회 건수도 25.6% 증가했다.
반면 은행권(1금융권) 대출 약정액 증가율은 6.8%에 그쳤고, 한도 조회 건수 역시 13.8% 증가에 머물렀다. 은행권으로부터의 대출 이동이 사실상 막히면서 고신용자들도 대체 금융권으로 향하고 있다는 의미다.
세부적으로 제2금융권 중 캐피털사의 대출 약정액 증가율이 152%로 가장 컸고, 저축은행(87.3%), 카드사(68.3%) 순으로 증가폭이 크게 나타났다. 전통적으로 중·저신용자 비중이 높은 2금융권에서 고신용자 대출 증가세가 두드러진 것은 이례적인 현상이다.
은행권 대출심사가 급격히 강화되면서 고신용자 사이에서도 '등급 내 세분화된 차등 심사'가 뚜렷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에 따르면 신용점수 900점 이상이라도 1금융권에서는 930~940점대가 되어야 대출 승인 가능성이 열리는 상황이며, 900점 초반대 고신용자들은 대출 승인 자체가 어려워졌다.
신용점수 900점 이상이면 전체 금융소비자 중 최상위권이지만, 10·15 대책 이후 도입된 은행권 대출 총량 규제로 인해 대출 문턱이 사실상 초고신용자 중심으로 좁혀졌다는 뜻이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강하게 통제하고, 주택담보대출 및 전세대출에 대한 총량·DSR 규제를 병행하면서 은행권이 사실상 '전방위 대출 조이기'에 돌입한 영향이 직접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평가된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중저신용자의 활용도가 높았던 2금융권까지 고신용자가 대거 유입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은행권이 고신용자에게도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고신용자들의 자금 이동이 가속화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연말까지 은행권의 대출 규제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고신용자의 2금융권 이동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폴리뉴스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