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무정차, 차 없는 거리 등 사전 예방책 있었다”
“주최 측 있었는지 논쟁, 우선 순위 아냐”

3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 마련된 '핼러윈 인파' 압사 사고 희생자 추모 공간에서 시민들이 헌화하고 있다. 2022.10.30 ( ⓒ연합)
▲ 3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 마련된 '핼러윈 인파' 압사 사고 희생자 추모 공간에서 시민들이 헌화하고 있다. 2022.10.30 ( ⓒ연합)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지난 29일 이태원에서 150명 넘게 숨지는 최악의 압사 참사가 발생한 것과 관련, 전문가는 “모든 재난은 반드시 징후가 있는데 이 참사도 징후가 여러 차례 있었다”고 밝혔다.

문현철 숭실대 재난안전관리학과 교수는 31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이태원이라고 하는 곳 그리고 넓은 공간이 아닌 도로와 골목길로 많은 사람들이 모였다, 해산했다라는 것이 계속 반복됐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교수는 “핼로윈이라 이곳에 더 많은 사람들이 모일 가능성이 있었다. 특히 사고 전날에는 경찰에 여러 신고 접수 건이 많아졌다”며 “다중 인파로 인해 무슨 사고가 발생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징후를 보여줬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태원역 지하철 무정차, 차 없는 거리 등 사전 예방책이 있었다고 강조했다.

문 교수는 “지금 사고 현장은 바로 지하철역”이라며 “지하철이 그곳(이태원역)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했었다면 훨씬 더 사람들이 모이는 것을 좀 줄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편리를 좀 확보하려다가 참사가 더 커진거다. 좀 불편을 감수하고라도 안전을 확보해야 된다라고 하는 메시지”라고 덧붙였다.

또 “차 없는 거리를 설정해서 운영했다면 훨씬 더 골목길로 들어갈 사람들이 대로변으로 나왔지 않았겠나”라며 “재난민안전관리기본법에 의해서 매년 작성하도록 돼 있는 용산구 안전관리계획에 충분히 나와 있고 이것이 또 매뉴얼화 되고 이것이 또 훈련돼야 한다”고 직격했다.

주최 측이 있었느냐에 대한 논쟁도 우선순위가 아니라고 짚었다. 문 교수는 “주최 측이 있다 없다에 따라서 관할하는 주무부처들이 달라지고 관할법이 달라지니까 틀린 말은 아니”라면서도 “그렇다 하더라도 이곳이 대한민국이지 않나. 우리 국민이 모였고 또 위험이 초래됐고 대규모의 참사가 벌어졌다. 주최 측이 있다 없다를 논하기 이전에 재난관리 측면에서도 얼마든지 논할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키워드

#이태원참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