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애초에 한 위원장과 끝장 볼 생각 없었을 듯”
“윤-한 갈등…국민의힘 공천과정에서 또 터질 것”
“‘尹과의 갈등’에 나는 정공법…한 위원장은 삼일천하도 못 해, 진퇴양난”
"김건희 여사, 명품백 해명하고사과해야"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충남 서천군 서천읍 서천특화시장 화재 현장에서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과 만나 함께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충남 서천군 서천읍 서천특화시장 화재 현장에서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과 만나 함께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고영미 기자]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최근 대통령실과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사이 갈등에 대해 "대형 부도의 서막"이라고 주장하며 “한 위원장은 삼일천하도 아니었다"며 "어설픈 봉합으로 진퇴양난에 빠졌다"고 말했다. 

“尹, 김건희 여사 달래기 위해 한 위원장 공격 했을 것” 

이 대표는 23일 SBS 스토브리그에 출연해 “윤석열 대통령이랑 갈등 관계 겪어본 사람이 아는게 있다”며 “만약 윤석열 대통령이 한동훈 위원장이랑 끝까지 가고 끝장을 볼 생각이었으면 절대 이관섭 비서실장을 보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어 “명확하게 갔다 와라, 가서 물러나라고 해라라는 식으로 작전을 짜고 움직였다고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시나리오를 제공하자면 윤석열 대통령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여럿이 있는데 여러 명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이상적 해법에 대해 생각했을 것”이라며 “선거 상황에서 김건희 여사에 대해 뭐라도 해야 된다라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는 것을 대통령도 알지만 대통령이 앞장서 김 여사에 대해 행동을 할 수도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100% 내 추측이나 김건희 여사가 ‘그래도 역시 내 남편은 내 편이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도록 한동훈 위원장과 그 측근들을 혼내는 방식을 선택한 것”이라며 “최종적으로 한동훈 위원장이 물러나는 결론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이 어느 정도 접어주고 한동훈 위원장이 여기서 정치적 이득을 보는 시나리오로 끝나기 때문에 저는 이 상황을 예고된 대련 방식이라 본다”고 전했다. 

한편 이 대표는 공천 관련 갈등이 국민의힘 내에서 또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 사이 틈이 생긴만큼 공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열음을 '부도'에 비유한 것이다.

이 대표는 공천 국면에서 한 비대위원장이 아닌 "다른 줄을 잡았던 사람이 부도하면서 선거가 망가질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공천 파동이 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했다.

이어 "연판장을 쓰고 다닌 초·재선 의원들을 다시 끌고 또 선거에 뛰어들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다음 윤-한 갈등 요인은 ‘김경률 비대위원’...공천갈등 또 터질 것

한편 이 대표는 24일 YTN 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 출연해 윤 대통령과 한 비상대책위원장의 갈등이 봉합 국면으로 접어든 것에 대해 "한 위원장은 삼일천하도 아니었다"며 "어설픈 봉합으로 진퇴양난에 빠졌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이제 쟁점이 좁혀져 김경율 비대위원을 가지고 줄다리기하는 양상으로 갈 것으로 본다. 김 비대위원을 괴롭히기 위한 2차전을 이어갈 것"이라며 이처럼 밝혔다.

여권 내에서 '김건희 여사 리스크' 문제를 처음으로 공개 거론한 김 비대위원은 명품 가방 수수 논란에 대해 김 여사가 해명하고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대표는 "결국 김 여사의 특검 문제를 사과 문제로 축소하고, 그 대신 김 비대위원을 자르라는 식"이라며 "딱 그 정도 수준에서 특검 문제를 마무리하려고 하는 약속 대련"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김 비대위원이 어떤 식으로든 물러나게 되면 한 위원장은 오랜 직장 상사와의 관계 때문에 바른말하고 본인이 위촉한 비대위원을 버리는 것이고, 대통령실이 물러난다면 레임덕"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국민의힘 대표였던 지난 대선 당시 당 대선 후보였던 윤 대통령과 겪은 갈등을 거론하며 "나는 윤 대통령과 갈등 양상을 겪어본 유일한 사람"이라고도 했다.

그는 "나는 정공법을 썼기 때문에 아주 강한 충돌로 남아 있었지만, 한 위원장은 삼일천하도 아니고 하루 만에 그 눈밭에서 눈 맞으면서 있었던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결국 한 위원장에게 윤 대통령은 직장 상사였고, 김 여사는 직장 상사의 부인"이라며 "사적인 관계와 공적인 관계가 동시에 작동해 이런 결과가 나온 것 같다"고 덧붙였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