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대표 퇴임 기자회견
1년 소회...“생애 가장 힘든 한 해”
“고준위특별법, 21대 국회서 통과할 수 있기를 기대”
총선 패배 책임론에 “이견 녹여내 함께 갈 수 있는 분위기 만들어야”
대통령 거부권에 “최소한 행사해야 하지만 유일한 협상 수단이기도”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이 임기 마지막날인 8일 국회에서 연 기자간담회에 입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5/647084_452601_3340.jpg)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8일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당초 오는 6월말~7월초로 예상됐던 전당대회를 한 달 이상 늦어질 수 있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또 다른 논란이 생길 수 있고 당이 어려운 상황에서 위기를 수습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윤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퇴임 기자간담회를 열고 “당선자, 21대 의원, 중진 의원, 상임고문단과 만남을 통해서 6월말~7월초쯤 전당대회를 빨리 해서 조기에 당 지도체제를 정비하고 지도체제를 통해서 당의 혁신을 하자는 것이 어느 정도 총의가 모여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하는) 상황이나 역할에 가장 적합한 분을 모셔야 한다고 생각해서 제가 황 비대위원장을 추천했다”며 “황 비대위원장께서 이 상황에 대해 알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윤 원내대표는 모두발언에서 지난해 4월 원내대표에 당선된 이후 지난 13개월에 대해 “다사다난이라는 말로도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어려운 한 해였다. 아마도 제 생애 가장 힘든 한 해가 아니었나 생각된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는 “정쟁의 시간이 협치의 시간을 압도했다”며 “민주당의 입법 폭주에 맞서 정부가 재의요구를 9번 행사했다. 그에 대한 재표결을 8번이나 해야 했던 건 제가 원내대표로서 직면했던 최대의 도전이었다. 본회의가 있던 날은 불면의 밤을 지새워야 했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 와중에도 이태원참사특별법이 여야 합의로 통과된 것은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었다”고 덧붙였다.
윤 원내대표는 ‘고준위방사성폐기물관리특별법’(고준위특별법)을 거론하며 “이번 국회에서 처리되지 않으면 우리 국민이 당장 2030년부터 치명적인 환경 위협을 받게 된다”며 “이 법안은 여야 원내대표들 사이에 합의가 이루어졌는데도 야당 일부의 반대로 지난 5월 2일 본회의에 올라오지 못했다. 21대 국회가 이 법안만큼은 조건 없이 통과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 원내대표는 총선에서 당이 참패한 데 대해 “저에게 충격과 실망을 안겨주었고, 당 지도부의 한사람으로서 당원과 지지자들에게 송구하기 그지없다”며 “국민의힘은 국민만 바라보면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패배 책임론을 놓고 당내 논란이 빚어지는 데 대해 “선거 과정에 있었던 이견을 녹여내서 함께 갈 수 있는 그런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며 “일단 전쟁이 벌어지면 함께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당이 어려울 때 누구나 ‘내가 책임지고 일을 하겠다’는 결연하고 적극적인 생각을 당선된 의원들, 당직자들이 가질 때 우리 당에 희망이 있고 우리 당을 지지하는 국민들에게 희망을 보여드릴 수 있다”고 조언했다.
윤 원내대표는 22대 국회 역시 여소야대 상황에서 협치가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에 “현실적으로 절대적인 다수를 가진 야당의 선의에 기댈 수밖에 없는 협상력 제로에 가까운 안타까운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결국 우리 국힘은 국민을 믿고 민심을 바탕으로 협상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에 대해선 “사실 정말 절제되게, 최소한으로 행사해야 맞지만 협상을 함에 있어서 유일한 협상 수단이기도 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