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적 차원의 ‘반도체 비전 설계도' 시급해
25일 국회 소통관서 기자회견 열어

더불어민주당 김태년(성남 수정)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김태년(성남 수정)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폴리뉴스 양성모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태년(성남 수정)의원이 25일 10시40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22대 국회 1호 법안으로 국가적 차원의 반도체 비전 설계를 위한 '반도체 특별법' 제정안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 한다"고 밝혔다.

반도체 특별법은 ▲국가 반도체위원회의 설치 ▲전력·용수·도로 등 기반시설 조성에 관한 정부 책임 의무화 전력·용수·도로 등 기반시설 조성에 관한 정부 책임 의무화 ▲RE100(사용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 실행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설비 공급 및 설치 비용 지원 ▲반도체산업지원기금 조성 및 지역 상생 협력 사업실시를 골자로 한 '반도체 생태계 강화 및 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안 ▲반도체 기술의 통합투자세액 기본공제율 및 연구개발(R&D) 세액공제율 10%포인트(p) 상향 ▲투자세액공제 적용기한 10년 연장 등을 담은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내용으로 한다.

김태년 의원은 “최근 반도체 산업이 기업 간 경쟁을 넘어 국가 간 경쟁으로 재편되고 있다”라며 “미국에 이어 유럽연합(EU)도 반도체법(Chips-Act)을 제정했고, 일본과 대만은 물론 미국과 대만의 전략적 연대도 강화되고 있다”면서 “국가적 차원의 반도체 비전 설계도가 시급하다”라고 발의 취지를 밝혔다. 

최근 반도체 산업은 4차산업 대전환기와 맞물려 인공지능(AI)·모빌리티·방산 등 미래먹거리 선점을 위한 중요한 국가 아젠다로 부상했다. 이에 반도체 산업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현행법은 국가첨단전략산업 지원대상의 범위를 첨단 기술에 한정해 반도체 산업 전반에 대한 지원조치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김태년 의원의 이번 제정안은 반도체 강국의 위상을 지키고, 초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김태년 의원은 “반도체 산업은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가 걸린 핵심 국가전략 산업으로, 반도체 주권을 확실하게 쥔 나라가 경제 강국이고, 군사 강국이며, 외교 강국이다”라며 “정부가 해야 할 일은 미래 비전을 이어주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각개전투로는 반도체 전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면서 “국회에 반도체 특별위원회를 조속히 구성해, 여야가 빠르게 반도체 산업 지원 방안을 논의해 나가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