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압도적 헌정수호연대 위해서 기득권 내려놓고 공동정부로 가야”
“정당 결집도 민주당 90% 국힘 70%... 조기 대선되면 국힘 후보 지지 오를 듯”
“조기 대선 판세는 스윙보터 2030세대가 좌우... MZ세대는 탈이념 실용적”

[폴리뉴스 대담 김능구 발행인, 정리 서경선 기자]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와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12일 서울 여의도 폴리뉴스 폴리TV 스튜디오에서 가진 <민심레이더>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으로 조기 대선이 펼쳐질 경우 이재명 대표의 행보와 2030·중도층의 선택을 전망하는 대담을 가졌다.
“이재명, 헌정수호연대 위해 기득권 내려놓고 공동정부해야 압도적 정권교체 가능”
“정당 결집도 민주당 90% 국힘 70%... 조기 대선되면 국힘 후보 지지 오를 듯”
▲ 김능구> 조기 대선이 있을 경우 역사의 흐름으로 보자면 정권 교체가 순리다라고 이야기 했어요. 그런데 이재명 대표 2심 선고가 26일이죠. 지난번 촛불 때 문재인 후보의 41%, 심상정 7%, 48%, 그다음에 여기 24%, 21%, 6% 하면 그게 51%입니다. 51 대 48이었어. 보수가 총합으로 보면 더 많았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안철수 후보는 호남표가 많이 갔기 때문에 보수로만 볼 수 없다는 문제 제기가 있어요. 어쨌든 지난 20대 대선에서는 알다시피 0.73% 차이가 나서 딱 붙었던 겁니다. 그런데 이번 대선도 그와 같이 만약에 지금 나오는 대로, 탄핵되면 김문수 지지율이 오를 거라고 그랬잖아요.
△ 홍형식> 네.
▲ 김능구> 정당 결집도가 민주당은 90%인데 국민의힘은 아직 70%라는 이야기잖아요.
△ 홍형식> 84%인데 여기는 61%니까 25% 차이 나요.
▲ 김능구> 정당 결집도가 나중에 선거 임박하면 거의 90% 넘어 가니까. 그러면 정당 지지율이 비슷하게 수렴된다는 이야기잖아요. 그러면 그게 박빙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인 거고. 그런데 이재명 대표의 2심 선고. 제가 볼 때는 2심 선고가 큰 지장이 없을 거라고 봐요. 왜냐하면 대장동 그거하고 상관없이 2심 선고는 안다, 모른다의 문제거든요. 가장 큰 건 정치인이 거짓말을 했냐, 안 했냐. 신뢰의 문제가 들어간다고 생각하는데 기억이라는 게 상당히 헷갈릴 수 있어요. 그러다 보니까 그 부분들이 이미 이재명 대표를 지지하는 분들한테는 그게 익스큐즈가 다 됐다는 거죠. 물론 그것이 보수에게 공격의 빌미가 되고 이럴 수는 있겠지만 그것이 현재 윤석열과 이재명의 이 판을 흔들 수는 없을 거다. 그런데 문제는 1~2%, 그런 방빅의 승부로 간다면 대한민국은 대선 이후에도 계속 내란 상태가 될 수밖에 없다는 거죠. 이게 지금 가장 우려하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역사의 흐름과 순리를 탄 이재명 대표가 정권교체를 절대로 그렇게 가져가서는 안 된다. 본인이 이야기한 대로 헌정수호연대를 이야기하는데 압도적 헌정수호연대를 해야 됩니다. 압도적 정권교체를 해야만 내란을, 내전을 종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자기의 기득권을 내려놔야 된다. 그래서 '공동 정부'로 가야 된다. 그것을 탄핵 인용이 되면 준비했다가 바로 이야기해야 된다고 봐요.
지금 이재명 대표가 압도적 지지를 받고 있는데 조국혁신당에서 이야기했던 원샷, 오픈 프라이머리 못할 게 뭐가 있어요? 자기가 거기에 불안할 이유도 없는 거고, 오히려 넓게 넓게 넓게 가져가고, 본인의 이야기대로 보수 중도 정당이라고 한 데로 정책도 보다 더 넓게 넓게 가져 나가야 7:3까지는 안 가더라도, 이게 1~2%의 그게 아니라 최소한 20%p 이상 차이 나는 그런 압도적인 결과가 나타나야만 내전을 종식시킬 수 있다, 이렇게 봅니다.
△ 홍형식> 민주당 입장에서 보면 가급적 더 큰 격차로 이겨주는 것이에요. 이건 국힘당도 마찬가지인 거고, 어느 후보든 더 큰 격차로 이겨줘야만 국정이 더 안정될 수 있다. 그건 누구나 다 아는 거에요. 그걸 어떻게 만들어내느냐의 문제인데 두 가지 문제입니다. 첫 번째로 말씀하신 2심 판결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그건 달리 이야기하면 2심 유죄가 확정되더라도 그것까지 감안한 부분이 이미 여론에 반영되어 있다. 선반영이 돼 있다, 우리는 이렇게 표현하는데 일정 부분 그 말도 맞습니다.맞는데 만에 하나 예를 들어서 50:50에서 많이 반영이 됐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80%는 반영이 됐는데 20%는 반영이 안 돼 있다 그러면 그 20% 정도의 유동층들은 표심이 바뀔 수 있어요. 그래서 격차가 한 10%, 20% 벌어져 있을 때야 중도층의 20%가 어떤 표심이 바뀌어도 대세에는 지장이 없는데 그야말로 50:50의 균형을 갖고 있는 상태에서 중도층의 한 20%가 영향을 받으면 그건 적다고 이야기할 수 없다. 그걸 염두에 두고 분석해야 되고요. 두 번째는 민주당의 입장에서는 어쨌든 진보뿐만 아니고 일반 시민들, 중도층까지 다 아우르는 것을 헌정수호연대라고, 이렇게 표현을 하는가 보네요? 이 세력을 다 모으겠다, 그 이야기인데 그 부분을 내가 보기에는 조금 아쉬워요.

▲ 김능구> 헌법을 파괴했으니까, 헌법을 수호하잖아요.
△ 홍형식> 좀 아쉬운 게 그러려고 하면 이재명 대표가 굉장히 포용력이 있는 그런 걸 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줘야 되는데 검찰 내의 내통 발언을 하면서 당 밖은 고사하고 당내의 통합, 포용을 하는 부분에서 어렵다는 모습을 보여줘 버렸단 말이에요. 그래서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의 역할이 굉장히 크다. 처지는 우리가 다 이해하죠. 사람인데 2심 판결을 앞두고서 어떻게 평상심을 유지하기가 쉽겠습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은 본인의 문제잖아요. 그건 본인이 극복해야 되는 문제예요. 그래서 검찰 내통 발언과 같은 이런 실수 또는 이것이 말로의 실수인지 실제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지는 몰라요. 실제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면 반명, 비명에 가서 그 마음을 다시 얻어내야만 외연이 확장될 수 있다. 그래서 지금 선거가 막판에 가면 갈수록 어떤 현상이 벌어지냐면 제가 늘상 주장하는 것이 후보가 100표를 얻었다 그러면 그중에 70~80%는 정당 고정표고, 나머지 20~30%가 후보의 인물표를 얻는 거란 말입니다. 정당 고정표는 어차피 당이 나서서 확보가 돼요.문제는 인물 고정표를 얻는 건데 나머지 한 20~30% 후보가 해결해서 얻어오는 이 표인데 이 부분에 있어서 후보가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심리적으로 불안한 모습을 보인다든가 이렇게 하게 되면 선거를 이기기가 참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그런 부분에서 내가 볼 때 후보 면에서 보면 국민의힘 후보, 만에 하나 김문수로 가면 김문수는 그런 부분에 있어서 외연의 확장성의 우려가 있지 후보가 불안하거나 심리적인 어떤 요인은 크지가 않아요. 반면 이재명은 외연 확장의 가능성은 적은데 문제는 개인 본인 심리적인 안정에 대한 어떤 우려가 지금 크다, 이렇게 보입니다.
▲ 김능구> 제가 볼 때는 득표에 있어서 정당 고정표가 차지하는 게 한 60~70% 이렇게 되고 그다음에 정당이 어찌 하느냐에 따르는 게 한 20% 되고, 10%가 후보에 따라서 완전히 왔다 갔다 하는 겁니다. 그런데 10%가 좌지우지하는 거거든요. 그렇죠?
△ 홍형식> 그렇죠. 5:5인데 10%면.
▲ 김능구> 그래서 90%가 거의 정당표다. 예를 들자면 정당 요인이다. 후보 요인이 10%다. 그런데 이 10%가 당락을 좌지우지한다. 이건 같이 동의할 수 있는 부분이고요. 아까 말씀하신 대로 지지율이 큰 차이일 때는 모르지만 미세했을 때는 1~2%, 뭐 0.73%p 차이도 났는데 이건 2심 영향이 절대적일 수 있다.
△ 홍형식> 후보 요인이 엄청 크죠.
▲ 김능구> 그 부분은 제가 동의하지 않는 게 아니라 전체적으로 90%는 그냥 간다는 이야기인 거지 그런 차이까지도 미세한 영향이 없을 거다, 이건 아니죠. 있습니다. 그러면 이거 하고 두 번째의 포용, 통합을 이야기하셨는데 저는 이 2개가 같이 간다고 봐요, 이걸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재명 대표가 되고, 안 되고가 아니라 우리나라 정치 세력이 이 역사적 순리를 따라서 정권 교체의 길로 나서야만 새로운 대한민국을 열 수 있기 때문에, 지금 현재 그 역사적 흐름을 받는 세력의 대표 주자가 이재명 대표이기 때문에 이재명 대표가 결국 어떻게 하면 좀 더 압도적 정권 교체를 해서 내전을 종식시킬 거냐에 대해서 말씀드리는 거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늘 민주당이 연대와 협력으로서 대선 승리를 가져왔듯이··· 이 부분에서 진보가 주류가 됐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문제 제기를 합니다. 그렇지 않다. 아직 여전히 우리 사회는 보수가 사회 기득권층으로서 온갖 것을 장악하고 있다. 거기에 진보는 선거 때마다 용을 써서 그 판세를 바꾸기도 하고, 정권을 잡기도 하고 했지만 여전히 잡고 난 다음에는 기득권의 저항과 반항에 계속 힘든 국정 운영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촛불 시민혁명 이후에 문재인 정부가 그것을 확실히 바꿨어야 되는데 못 바꿨다는 거죠. 당시 80% 탄핵 지지 세력을 가지고서 탄핵 연대를 통해서 했어야 했어요. 공동정부를 통해서 했어야 되는데 민주당··· 아니, 친문 세력만의 문재인 정부를 했기 때문에 촛불을 배반했다, 배신했다고까지 이야기하는 겁니다.
이번에도 이 역사적 흐름을 이재명 대표와 민주당이 받아 안기 위해서는 정말 폭넓은 연대와 협력을 통해서 '공동정부'를 통해서, 권력은 나눠 가지지 않는 게 속설이라 하지만 권력을 함께 나눠 가져야 됩니다. 최초의 평화적 정권 교체도 김대중 대통령도 권력을 나눠 가졌기 때문에 1년간 총리 포함해서 경제 장관직을 다 줬잖아요. 그렇게 권력을 나눠 가져야 우리는 그 역사가 있습니다. 그런데 탄핵을 함께하는 세력에서, 계엄에 반대하는 세력에서, 역사 흐름을 함께하는 세력에서 못 나눠 가질 이유가 없다. 그래서 그 부분은 호사가들이 김부겸, 이낙연 총리를 국힘의 국민 후보로 이름 올리듯이 저는 국힘에서 합리적 보수 세력까지도 안을 수 있어야 된다. 정말 우익 보수에서 팽 당하고 했던 그런 분들. 유승민 의원이라든지 이준석 대표라든지 안철수 의원까지도 지난번에 후보 단일화 협상 치열하게 했잖아요. 함께 안을 수 있어야 된다.
민주당 내의 비명과의 통합은 기본이고, 거기에서 제진보 세력과의 통합뿐만 아니라 중도 보수 세력까지도 안으면서 압도적인 정권 교체, 목표는 7:3으로 나가야 되고, 60%라도 그걸 해야만 금방 말한 그런 미세한 차이를 엎을 수 있습니다. 이재명 대표가 검찰과 짜고 친 것 같다, 근거는 없다, 그냥 자기주장이라고 이야기했잖아요. 정성호 친명 좌장이 본인이 사과하겠다, 대신 사과하겠다고 이야기했어요. 저는 이재명 대표가 사과해야 된다고 봐요. 사과해야 되고, 그 사과의 시점을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할지 어떨지를 모르겠어요. 탄핵되고 나면 곧바로 당대표 내려놓고 후보 위치로 가는 거거든요. 그때 새로운 대한민국의 비전과 공동 정부와 이런 걸 다 이야기하면서 그 부분의 사과를 함께 하든 그전에 하든 간에 그걸 하지 않고서 자기 당에 있는 비명도 함께 할 수 없죠. 말하자면 이게 비명이 아니라 정말 큰 틀에서 새로운 대한민국의 주류를 바꿔놔야 된다. 그래서 이것을 정치 교체다, 시대 교체다, 이렇게 다들 이야기하는 겁니다. 그것이 이번 조기 대선에서 이루어져야 된다. 개헌이 당장은 이루어지지 못하더라도 '정치교체와 시대교체'라는 새로운 대한민국의 개헌이라는 그 틀을 안 바꿀 수 없죠. 약속이라도 분명히 해야 된다, 시기를 포함해서. 그랬을 때 새로운 장으로서 우리가 내일을 보고 오늘을 힘차게 당할 수 있는 그런 장이 열릴 수 있다, 이렇게 봅니다. 저는 그렇게 호소하고 싶어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도 이 도도한 역사의 흐름에 동참하시길 바란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홍형식> 저는 여론조사를 하고 있는데 근저의 여론조사 수치를 읽는 데 있어서 제가 정당 지지율을 아까 말씀드렸습니다마는, 그리고 지난달에 나와서 여론조사를 잘못 읽음으로 인한, 오독으로 인한 정세 분석을 잘못하고 있는 이야기를 했는데 여론조사는 자기한테 유리하게, 편리하게 취해서 읽어서도 안 되고, 그리고 여론조사를 잘못 읽어서, 오독해서 정세를 잘못 판단해서도 안 된다는 것. 여론조사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정세를 분석하기 위한 수치로 읽어야 되는데 지금 보면 진영이 양쪽으로 나뉘어져 있다 보니까 여론조사가 자기네들에게 유리한 식으로 수치를, 유리한 것만 발췌해서 이용하고 있거나, 아니면 각 진영의 분위기 때문에 그런 건지, 알고도 수치를 그런 식으로 잘못 읽는지, 그건 모르겠어요. 그런데 여론조사는 잘 활용하면 사회적 공론도 만들고, 아까 60%, 70% 뭐 이런 이야기를 했는데 보수 진영 후보가 이기든 진보 진영 후보가 이기든 가급적이면 격차가 많이 벌어져서 승부가 나야만 사회가 안정된다고 놓고 본다면 여론조사 수치를 정확하게 읽어서 민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정세를 정확히 반영해서 전략을 짜는 후보가 더 큰 격차를 내고 이기지 않을까, 그렇게 봅니다.
“조기 대선 판세는 스윙보터 2030세대가 좌우... MZ세대는 탈이념 실용적”

△ 홍형식> 이번 주도 FGI 열 그룹 넘게 하면서 거기 20~30대를 한 세 그룹 정도 해봤는데 선후배하고 이야기를 안 하고 부모하고는 이야기를 한다. 어떻냐, 토론을 하고 이러지는 않지만 부모가 정치나 사회 현안 문제에 대해서 멘트를 하거나 해설식으로 이야기를 하면 듣는다, 참고한다, 이렇게 이야기해요. 그런데 지금 40~50대들이 대학교 다닐 때 부모가 국졸인데 부모가 영향을 못 미쳤죠. 오히려 40~50대들은 집안 식구들한테 정치와 현안에 대한 문제를 설명하고 그랬죠.
▲ 김능구> 다음 대선의 스윙보터는 20~30대다, MZ세대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MZ세대의 표심, 민심 한번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홍형식> 과거에 스윙보터라고 그러면 40대를 이야기하죠. 10~20년 전에 40대를 스윙보터라고 이야기했는데···
▲ 김능구> 노무현 때 주로 그랬죠.
△ 홍형식> 네, 노무현 그리고 그게 20년 전이니까 그렇게 스윙보터라고 했던 세대가 지금 65세 전후, 이렇게 형성돼 있습니다. 그런데 그 자녀 세대가 지금 30대 전후로 보시면 될 거예요. 그러다 보니까 중도층으로 이야기하면 65세 전후, 그리고 30세 전후. 이 세대가 중도층을 형성하는 2개 축으로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60대의 중도층은 자산으로 굳이 따진다면 중산층화된 중도층이에요. 중산층으로서의 안정감이 확보된 중도층이고, 반면 그 자녀 세대, 부모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30대 전후 세대는 자산을 아직 확보를 하지 못한, 자산이 없는 그런 세대의 중도층이어서 훨씬 더 이해관계, 자신들이 취업도 해야 되고, 집도 사야 되고, 결혼도 해야 되기 때문에 이 층들에 미칠 수 있는 변수가 훨씬 더 많고, 거기에 대한 욕구가 굉장히 강한 세대여서 그 각각 정책에 대해서 민감하게 움직일 수밖에 없는 중도층입니다. 그래서 중도층은 이원화가 돼 있지만 이걸 합해서 우리가 중도층이라고 이야기하는데 스윙보터로서의 영향력은 2030세대 또는 40대 초반까지 이 중도층이 훨씬 더 윗세대보다도 크다. 결론적으로 다음 세대에서 중도층이 스윙보터라고 이야기하고, 그걸 30대 전후해서 중도층이 될 것이다,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고.
▲ 김능구> 최근 선거에서 20~30대가 표를 더 몰아준 데가 항상 승리했죠.
△ 홍형식> 그렇죠. 지난 박근혜 정권 때 예상 밖으로 이준석을 중심으로 해서 박근혜 지지의 표심을 보여줘서 박근혜가 당선이 되었고, 헬조선 논쟁이 벌어지면서 그 층이 문재인을 지지해 줘서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되었고, 다음에는 이준석 중심으로 해서 세대포위론으로 2030이 윗세대하고 연대해서 윤석열을 당선시켰죠.
▲ 김능구> 이겼더라고요, 그 20~30대에서.
△ 홍형식> 그런데 이 세대가 가면 갈수록 연령이 1년 단위로 올라가지 않습니까? 지난 대선 때만 해도 이준석이 나이가 40이 안 되었어요. 이제는 40이에요. 그리고 그런 표심을 보이는 게 41~42살 정도까지, 40 초반까지 올라가고 있다, 이렇게 보시기 때문에 그 영향이 더 커졌다. 반면 고연령층은 1년에 아마 수십 명 정도가 돌아가셨을 거예요. 그러다 보니까 30대는 20~30대의 세대의 충언을 받으면서 세력을 키워왔고, 시니어 그룹, 노인 세대들은 매년 사망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전체 유권자의 구성비도 바꾸면서 2030의 영향력이 매년 키워 왔다, 이렇게 보시면 되겠고요. 그렇게 해석하면 지난 대선보다도 중도층, 특히 2030세대의 영향은 더 클 것이다, 이렇게 보면 되겠고요. 그런데 여기서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20세대, 특히 25세 이하 세대하고 20세 후반 또는 20 전체로 놓고 봤을 때 30세대하고는 성향이 좀 달라요. 왜 그런가 하니 부모의 상호작용 효과로 보시면 될 거예요. 30대를 중심으로 한 세대들은 그 부모가 말씀드렸던 과거의 40대, 중도층, 캐스팅 보트였던 그 세대의 영향을 많이 받은 반면, 지금 20대들, 25세 이하. 이런 세대들은 386 또는 포스트386. 그러니까 50~60대 사이. 그 세대의 자녀 세대들이 훨씬 더 사회를 보는 시각을 네거티브하게 보고, 갈등 구조적 시각에서 보는 세대의 영향을 받아서 20세대들은 30대들보다도··· 굳이 보수화로 따지면 덜 보수화가 되고, 굳이 정당 지지율로 보면 30대만큼은 국민의힘에 대해서 조금 덜 친화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그러나 이 두 세대들의 가장 큰 특징은 이념이나 보수를 놓고 보면 지지 정당 없다, 중도층이다, 이런 식으로 이야기하는. 어떻게 보면 탈이념 성격이 강해요. 2030세대들을 이념으로 프레임을 만들어서 거기에 끼워 맞추려고 하면은 2030세대들의 특성을 다 파악한다든가 이들을 잡을 수 없어요. 오히려 이념의 프레임을 벗어 던지고, 있는 그 자체로 접근하는 게 맞다, 이렇게 보시면 맞을 겁니다. 그래서 굉장히 유동적입니다.
▲ 김능구> 각 당과 주자들의 대선 승부수는 바로 MZ세대, 중도층의 표심을 장악하느냐, 여기에 달려 있겠습니다.
△ 홍형식> 이번에 탄핵 찬반을 보면 참 재미있는 게 탄핵 찬반은 대선과 마찬가지로 보수와 진보가 강경하게 부딪히는 상황이 됩니다. 조사를 하면 보수다, 진보다 하는 수치가 늘어나고, 중도가 줄어들었어요. 그런데 이번에는 거꾸로예요. 보수, 진보라고 이야기하는 사람은 그대로 오히려 줄어들고 중도가 늘어나요. 그것은 2030세대들의 영향이 더 커질 수밖에 없는 그런 징조가 수치로 그렇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 김능구> 조사에 따라서는 다를 수 있는데···
△ 홍형식> 평균적으로 보면 그렇게 나와요.
▲ 김능구> 이번 한길리서치 조사에서 20대는 탄핵 찬성이 압도적이었는데 30대는 비슷하고 근소한··· 아마 반대가 더 앞서요.
△ 홍형식> 예, 그렇게 말씀드렸잖아요. 20대들은 부모 세대의 영향이 있기 때문에, 부모가 누구냐, 386하고 포스트386 세대예요. 그들은 탄핵에 굉장히 적극적이고 찬성이 높죠. 그 부모의 영향을 받는 세대들은 20대, 탄핵에 대한 찬반이 그렇게 나오는 거고, 30대 정도는 그거보다 한 10년 윗세대예요. 65세 전후예요. 남녀 간 차이가 있겠지만 어쨌든 세대를 합해서 놓고 보면 그렇다는 거죠. 그러나 2030세대가 약간의 그런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인 건 탈이념이다, 이렇게 보시면 돼요.
▲ 김능구> 그런데 20대에게 부모 세대의 영향이 미친다고 하는 부분들은 상당히 반발할 것 같은데, 그런 분석은?
△ 홍형식> 뭐 케이스 바이 케이스겠죠. 상호작용하는 양상은 달라도 분명한 건 FGI 조사를 해보면 "부모님하고 사회, 정치 문제를 갖고 이야기를 하나요?" 이렇게 이야기하면 20대, 30대가 부모, 특히 아버지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거나 적극적으로 설득을 하는 위상은 아니어도 대체적으로 집안에서 뉴스가 나올 때 정치, 사회 문제가 나오면 아버지가 이런저런 설명을 한대요. 그러면 '듣는다' 이런 반응이에요. 들으면서 받아들이는 게 있을 거고, 거부하는 것도 있겠지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죠. 그러나 지금 40~50대 세대들은 부모한테 그런 영향이 없었어요. 386과 포스트386 세대들은. 왜냐하면 그 당시 세대의 부모는 중졸, 고졸도 드물고 국졸이 많았던 세대니까. 40~50대들에 대한 부모의 영향은 가정교육, 예의범절, 집안의 가풍. 이런 영향은 있었을지 몰라도 정치 사회 문제는 크지 않았던 반면, 2030세대로 내려오면 부모 세대의 영향이 어떤 형태로든 나타나고 있습니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mprove comprehension. Please note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Kim Neung-gu and Hong Hyung-sik's Public Sentiment Radar March ②] [Full Text] "To end the civil war, an overwhelming constitutional defense alliance must be established to achieve an overwhelming regime change"
"Lee Jae-myung must give up vested rights for an overwhelming constitutional defense alliance... and promise a constitutional revision roadmap“
"Party unity is 90% Democratic Party and 70% People's Power... If an early presidential election is held, support for the People's Power candidate is likely to increase"
"The early presidential election landscape is determined by the swing voters, the 2030 generation... The MZ generation is de-ideologized and pragmatic“
[Polynews Interview with Publisher Kim Neung-gu, Organized by Reporter Seo Kyung-sun] On the 12th, at the <Public Sentiment Radar> held at the Polynews PolyTV Studio in Yeouido, Seoul, Kim Neung-gu, CEO of Polynews, and Hong Hyung-sik, CEO of Hangil Research, had a conversation about the actions of Representative Lee Jae-myung and the choices of the 2030 generation and the middle class if an early presidential election is held due to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Yoon Seok-yeol.
“Lee Jae-myung, give up vested rights for overwhelming constitutional defense... promise a roadmap for constitutional revision”
“Party unity is 90% Democratic Party, 70% People Power Party... If there is an early presidential election, support for the People Power Party candidate is likely to increase”
▲ Kim Neung-gu> I said that if there is an early presidential election, it is natural for the government to change in line with the flow of history. However, Lee Jae-myung’s second trial was on the 26th. Last time, during the candlelight vigil, Moon Jae-in had 41%, Sim Sang-jung had 7%, 48%, and then 24%, 21%, and 6%, so that’s 51%. It was 51 to 48. This means that conservatives had more in total. However, there is an issue that Ahn Cheol-soo cannot be considered conservative because he received a lot of votes from Honam. In any case, as you know, in the last 20th presidential election, there was a 0.73% difference, so it was a tight race. But this presidential election, if the current situation is like this, if he is impeached, Kim Moon-soo's approval rating will go up, right?
△ Hong Hyung-sik> Yes.
▲ Kim Neung-goo> The Democratic Party's cohesion is 90%, but the People's Power Party's is still at 70%.
△ Hong Hyung-sik> It's 84%, but here it's 61%, so there's a 25% difference.
▲ Kim Neung-goo> The party cohesion will almost certainly exceed 90% when the election approaches. So the party approval ratings will converge similarly. So that means it could be a close race. But Lee Jae-myung's second trial verdict. I don't think the second trial verdict will have much of an impact. That's because regardless of Daejang-dong, the second trial verdict is a matter of knowing or not knowing. The biggest thing is whether the politician lied or not. I think it comes down to trust, but memory can be quite confusing. As a result, those parts have already become an excuse for those who support Representative Lee Jae-myung. Of course, it can be an excuse for conservatives to attack, but it won’t be able to shake up the current situation between Yoon Seok-yeol and Lee Jae-myung. However, the problem is that if it goes to a 1~2%, big game, South Korea will inevitably remain in a state of civil war even after the presidential election. This is what I am most worried about now.
That is why Representative Lee Jae-myung, who has followed the flow of history and the natural order, absolutely must not take the change of government that way. As he said, he is talking about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Alliance, but he must have an overwhelming Constitutional Protection Alliance. Only by an overwhelming change of government can we end the civil war, the civil war. Then, he must give up his vested rights. That is why he must go to a joint government. I think he must prepare and talk about it right away if the impeachment is passed.
Representative Lee Jae-myung is receiving overwhelming support now, so why can’t he have the one-shot, open primary that the Fatherland Innovation Party talked about? There is no reason for him to be anxious about that, and rather, he should take it broadly, broadly, and as he said, he should take his policies even broader, as a conservative centrist party. Even if it doesn’t go as far as 7:3, if there is an overwhelming result that is not 1-2% but at least 20%, then the civil war can end. △ Hong Hyung-sik> From the Democratic Party’s perspective, it is to win by as much as possible. This is the same for the People Power Party, and any candidate must win by a larger margin for the state to be more stable. Everyone knows that. The issue is how to create that, and there are two issues. First, the second trial ruling you mentioned will not have a big impact. In other words, even if the second trial is confirmed guilty, the part that took that into account has already been reflected in public opinion. We express it like this, and to some extent, that is true. It is true, but if, for example, it is reflected a lot in 50:50, but even so, 80% is reflected, but 20% is not reflected, then the 20% of the floating population can change their votes. So when the gap is 10% or 20%, even if 20% of the middle class changes their votes, it does not affect the general trend. But if 20% of the middle class is affected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a 50:50 balance,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small. We need to analyze with that in mind. Second, from the Democratic Party's perspective, it seems like they are expressing it as a constitutional defense alliance that encompasses not only progressives but also ordinary citizens and the middle class. They are saying they will gather all these forces, but I think that part is a little disappointing.
▲ Kim Neung-gu > Since they destroyed the constitution, they are protecting it. △ Hong Hyung-sik> What’s a bit unfortunate is that if he were to do that, Representative Lee Jae-myung would have to show that he is very inclusive, but by making remarks about collusion within the prosecution, he show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integrate and embrace within the party, let alone outside the party. That’s why Representative Lee Jae-myung’s role is very important for the Democratic Party. We all understand his situation. How can a person maintain composure before the second trial? Nevertheless, the president is his own problem. That’s something he has to overcome. So I don’t know if he made a mistake like the remark about collusion within the prosecution or if he really thinks so. If he really thinks so, he has to go to the opposition party and win back that heart in order to expand his influence. That’s why the phenomenon that happens as the election approaches its end is something I always say: if a candidate gets 100 votes, 70-80% of them are fixed party votes, and the remaining 20-30% are candidate votes. The fixed party votes are secured by the party anyway. The problem is securing the fixed person votes, and the remaining 20-30% are votes that the candidates solve and obtain. If the candidate fails to demonstrate his/her capabilities or shows psychological instability in this area, it is very difficult to win the election. In that regard, in terms of the candidates, if we go with the People Power Party candidate, even if it is Kim Moon-soo, Kim Moon-soo has concerns about the expansion of the periphery in that area, but the candidate’s instability or psychological factors are not that big. On the other hand, Lee Jae-myung has littl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periphery, but the problem is that he has great concerns about his own psychological stability.
▲ Kim Neung-gu > In my view, the fixed party votes account for about 60-70% of the votes, and then the party’s actions account for about 20%, and the remaining 10% completely fluctuates depending on the candidate. But that 10% is what makes the difference. Right?
△ Hong Hyung-sik > Right. 5:5, but 10%.
▲ Kim Neung-gu> So 90% is almost party votes. For example, party factors. Candidate factors are 10%. But this 10% determines the outcome. This is something we can both agree on. As you said earlier, when the approval ratings are big, it may not matter, but when they are small, there may be a difference of 1-2%, or even 0.73%, and this can have an absolute impact on the second trial.
△ Hong Hyung-sik> The candidate factor is huge.
▲ Kim Neung-gu> It’s not that I don’t agree with that part, but overall, 90% is just going to go. It’s not that even that kind of difference won’t have a small impact. It does. Then, you mentioned this and the second inclusion and integration, but I think these two things should go together to solve this. It’s not about whether Lee Jae-myung will become representative or not, but because our country’s political forces must follow this historical order and take the path of regime change in order to open a new Republic of Korea, and because Lee Jae-myung is currently the leading candidate of the forces receiving that historical flow, I’m talking about how Lee Jae-myung will ultimately achieve a more overwhelming regime change and end the civil war. That’s why I’m raising the issue of the progressives becoming the mainstream in this area, just as the Democratic Party has always won the presidential election through solidarity and cooperation. That’s not true. Our society is still dominated by conservatives as the vested interest group. In addition, the progressives have tried hard to change the situation and seize power every election, but after taking power, they had no choice but to continue to run the country with difficulty due to the resistance and rebellion of the vested interests. That’s why the Moon Jae-in government should have definitely changed it after the Candlelight Revolution, but it failed to do so. At the time, it should have done so through the impeachment solidarity with the 80% supporters of impeachment. It should have been done through a joint government, but the Democratic Party... no, the Moon Jae-in government was only for the pro-Moon faction, so they are saying that it betrayed the candlelight vigil, even betrayed it.
This time, in order for Representative Lee Jae-myung and the Democratic Party to embrace this historical trend, they really need to do it through a joint government through broad solidarity and cooperation. It is a common saying that power is not shared, but power must be shared. Even in the first peaceful regime change, President Kim Dae-jung shared power, so he gave all the positions of prime minister and minister of economy for a year. We have that history if we share power like that. However, there is no reason why we cannot share power among the forces that support impeachment, the forces that oppose martial law, and the forces that follow the historical trend. So, just as the people's candidates for the People's Power Party are named by the rich, I think we need to embrace the rational conservative forces in the People's Power Party as well. Those who were really pushed aside by the right-wing conservatives. Representative Yoo Seung-min, Representative Lee Jun-seok, and even Representative Ahn Cheol-soo, we had fierce negotiations to unify the candidates last time.
We have to be able to embrace it. Integration with the cries within the Democratic Party is fundamental, and from there, we have to embrace not only the progressive forces but also the moderate conservative forces, and achieve an overwhelming regime change, and the goal should be 7:3, and only if we achieve that by 60% can we overcome the subtle differences I just mentioned. Representative Lee Jae-myung said that he seems to have colluded with the prosecution, that there is no evidence, and that it is just his own assertion. Jeong Seong-ho, the pro-Myeong leader, said that he will apologize himself, and that he will apologize on his behalf. I think Representative Lee Jae-myung should apologize. He should apologize, and I don’t know whether he will apologize when he declares his candidacy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or not. After he is impeached, he will step down as party leader and become a candidate. At that time, he will talk about the vision of a new Republic of Korea and a joint government, and whether he apologizes for that part together or before that, he cannot join the cries within his own party. In other words, this is not a cries, but we have to change the mainstream of the new Republic of Korea in a big way. That is why everyone is talking about this as a political change, a change of era. That must be done in this early presidential election. Even i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cannot be achieved right away, we cannot help but change the framework of the new constitutional amend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is a political change and a change of era. We must make a promise, including the timing. Then, as a new chapter, we can look forward to tomorrow and face today with strength. I would like to appeal to you in this way. I would like to say that I hope that President Yoon Seok-yeol and Mrs. Kim Kun-hee will also join this powerful flow of history. △ Hong Hyung-sik> I am conducting an opinion poll, and when I read the underlying opinion poll figures, I mentioned the approval ratings of political parties earlier, and I talked about the misinterpretation of opinion polls last month, which is leading to a mis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Opinion polls should not be read in a way that is advantageous or convenient to oneself, and opinion polls should not be misinterpreted and misjudged. Opinion polls should be read as number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s it is, but now that the camps are divided into two, I wonder if they are using the numbers in a way that is advantageous to them, or if it is because of the atmosphere of each camp, or if they are misreading the numbers in that way even though they know it. However, if opinion polls are used well, they can create public opinion, and as we talked about earlier, 60%, 70%, etc., if the gap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candidates is widened as much as possible to stabilize society, I think the candidate who accurately reads the opinion poll numbers and accurately reflects public sentiment and accurately reflects the current situation will win by a larger gap.
“The early presidential election landscape is dominated by swing voters in their 20s and 30s... The MZ generation is non-ideological and practical”
△ Hong Hyung-sik> This week, I did over ten FGI groups, and I did about three groups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nd they don’t talk to their seniors or juniors, but to their parents. How about it, we don’t discuss it or anything, but when parents comment or explain about politics or current social issues, we listen and refer to it. However, when people in their 40s and 50s were in college, their parents had graduated from elementary school, so their parents had no influence. Rather, people in their 40s and 50s explained politics and current issues to their family members.
▲ Kim Neung-gu> The swing voters for the next presidential election are those in their 20s and 30s, the MZ generation. But let’s hear about the MZ generation’s voting intentions and public sentiment.
△ Hong Hyung-sik> In the past, when people talked about swing voters, they talked about those in their 40s. 10 to 20 years ago, people in their 40s were called swing voters…
▲ Kim Neung-gu> It was mainly during Roh Moo-hyun’s time.
△ Hong Hyung-sik> Yes, Roh Moo-hyun, and that was 20 years ago, so the generation that was called swing voters is now around 65 years old. But you can see that their children’s generation is around 30 years old now. So, if we talk about the middle class, it's around 65 years old and around 30 years old. You can see this generation as the two axes that make up the middle class. However, the middle class in their 60s is a middle class that has become middle class if you really look at it in terms of assets. It's a middle class that has secured a sense of stability as a middle class, but on the other hand, the generation in their 30s who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ir children and parents are a middle class that has not yet secured assets and has no assets. They have much more interests, they have to get a job, buy a house, and get married, so there are many more variables that can affect these groups, and their desires for these things are very strong, so they are a middle class that cannot help but be sensitive to each policy. So the middle class is divided into two, but when we combine them and call it the middle class, its influence as swing voters is much greater than that of the older generation, even up until the 2030 generation or the early 40s. In conclusion,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the middle class will be swing voters in the next generation, and that they will become the middle class around their 30s.
▲ Kim Neung-gu> In recent elections, the ones who voted more in their 20s and 30s always won.
△ Hong Hyung-sik> That’s right. During the previous Park Geun-hye administration, unexpectedly, Lee Jun-seok centered around them showed their support for Park Geun-hye, and Park Geun-hye was elected. As the Hell Joseon debate broke out, that group supported Moon Jae-in, and Moon Jae-in was elected as president. Then, Lee Jun-seok centered around them, and the 2030s united with the older generation to elect Yoon Seok-yeol.
▲ Kim Neung-gu> They won, in their 20s and 30s.
△ Hong Hyung-sik> But as this generation goes by, doesn’t their age increase by one year? Even in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Lee Jun-seok wasn’t even 40 years old. Now he’s 40. And that kind of voting sentiment is rising to around 41~42 years old, early 40s, so the influence is greater because you can see it this way. On the other hand, there must have been dozens of deaths in the older age group every year. As a result, the 30s have grown their power by receiving advice from the 20~30s generation, and the senior group, the elderly generation, has people passing away every year, so the composition of the overall voter base has changed, and the influence of the 2030s has grown every year. If you interpret it that way, the influence of the middle class, especially the 2030 generation, will be greater than in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But there is a subtle difference here. The 20s generation, especially the generation under 25 years old, and the late 20s or the 20s as a whole have somewhat different tendencies from the 30s generation. The reason for that is that you can see it as the interaction effect of parents. The generation centered around those in their 30s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40s, the middle class, and the casting vote that their parents mentioned, whereas the current 20s, those under 25. This generation is 386 or post-386. That is, between the ages of 50 and 60. The children of that generation have a much more negative view of society, and are influenced by the generation that sees it from a structural perspective of conflict, so the 20s generation is more... If we strictly consider it as conservatism, it is less conservative, and if we strictly consider it as party approval ratings, the 30s are a little less friendly toward the People Power Party. However,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se two generations is that they talk about not supporting any party in terms of ideology or conservatism, and that they are the middle class. In a way, they are strongly non-ideological. If we try to frame the 2030s generation by ideology and fit them into it, we cannot ful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30s generation or capture them. Rather, it would be right to throw away the ideological frame and approach it as it is. That is why it is very fluid.
▲ Kim Neung-gu> The key to each party and candidate's victory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depends on whether they can capture the votes of the MZ generation and the moderates.
△ Hong Hyung-sik> This time, if you look at the impeachment pros and cons, it is interesting that, just like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 conservatives and the progressives clashed strongly. If you look at the survey, the number of people who say they are conservative or progressive increased, and the moderates decreased. But this time, it is the opposite. The number of people who say they are conservative or progressive decreased, and the moderates increased. This is a sign that the influence of the 2030 generation is bound to grow.
▲ Kim Neung-gu>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survey···
△ Hong Hyung-sik> On average, it comes out like that.
▲ Kim Neung-gu> In this Hankook Research survey, the 20s overwhelmingly supported impeachment, but the 30s were similar and slightly··· I think the opposition is ahead. △ Hong Hyung-sik> Yes, I said that. People in their 20s are influenced by their parents’ generation. Who are their parents? They are the 386 and post-386 generations. They are very active in the impeachment and highly supportive. The generations influenced by their parents are the 20s, and the pros and cons of impeachment are like that. People in their 30s are about 10 years older than that. They are around 65 years old. There may b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but anyway, if you look at the generations together, it’s like that. However, the 2030 generation has some differences, but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de-ideologized.
▲ Kim Neung-gu> But I think there will be considerable opposition to the part where people in their 20s are influenced by their parents’ generation. What is that analysis?
△ Hong Hyung-sik> Well, it’s a case-by-case basis. The interaction patterns are different, but what is clear is that if you do an FGI survey, “Do you talk about social and political issues with your parents?” If we talk like this,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re not in a position to actively express their opinions or persuade their parents, especially their fathers, but when news comes out at home and political or social issues come up, their fathers usually explain this or that. Then they react by saying, 'I listen.' There are things they will accept and things they will reject, but they cannot help but be influenced. However, the current generation in their 40s and 50s did not have that kind of influence from their parents. The 386 and post-386 generations. That's because at that time, parents of that generation rarely graduated from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and many graduated from elementary school. The influence of parents on people in their 40s and 50s is home education, manners, and family traditions.
While the political and social issues may have had an impact, they were not significant, but when it comes to the 2030 generation, the influence of the parental generation is showing up in some form.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김능구·홍형식의 민심레이더 3월①][전문] “尹석방에 조기대선은 윤석열 대 이재명의 대선 2라운드”
- [김능구·홍형식의 민심레이더 3월①] “尹 조기대선시 선거 진두지휘…'윤석열 대 이재명'의 대선 2라운드”
- [김능구·홍형식의 민심레이더 3월②] “진보·합리적보수 아우르는 헌정수호연대로 압도적 정권교체해야 진정한 내란 종식”
- [폴리TV] [김능구 홍형식의 민심레이더 3월 ①] "'국민후보론' 윤석열·국힘, 중도·진보 후보에게 연대 제안할 수도"
- [폴리TV] [김능구 홍형식의 민심레이더 3월 ②] "내란 종식하려면 압도적 헌정수호연대로 압도적 정권교체해야"
- [폴리Shorts] 이재명, 7:3의 공동정부로권력을 나눠야!
- [폴리Shorts] 차기 대선은 2030 세대가 결정
- [폴리Shorts] 이재명이 내란 종식 위해 해야 할 일
- [폴리Shorts] 윤석열이 생각하는 대선 후보는?
- [폴리Shorts] 국민의힘이 컨벤션 효과 보려면?
- [이슈] '이재명 1강' 자신감에 개헌·오픈프라이머리 거부, '지지층 결집' 전략.. '야권 균열' '보수단일화' 변수
- 민주당, 경선룰 '국민참여경선'으로 잠정 결정...비명계 주자들 강하게 반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