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이제 국가들이 우리에게 전화해 협상"

[사진=워싱턴 로이터/연합뉴스]
[사진=워싱턴 로이터/연합뉴스]

[폴리뉴스 이상명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와 의약품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글로벌 무역 환경에 중대한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3일(현지시간) 마이애미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열린 기자 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관세가 곧 시행될 것"이라며, 이로 인해 의약품 가격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경고도 함께 전했다. 이는 그가 추진하는 상호관세 정책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에도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에 각각 25%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품목에 대한 관세 확대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는 "현재 의약품 분야를 면밀히 검토 중이며, 조만간 구체적인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조치는 미국 경제를 "아픈 환자"라고 표현하며, 상호관세 정책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그의 신념을 반영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제 국가들이 우리에게 전화해 협상하고 있으며, 우리는 그들에게 무엇이든 요구할 수 있는 입장이 되었다"고 주장하면서, 무역 정책이 미국의 경제적 위상을 강화할 것이라는 믿음을 드러냈다. 그는 상호관세 인하를 원하는 국가들은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강조하며, 중국의 틱톡 강제 매각에 동의할 경우 관세를 인하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러나 실제로 중국과의 구체적인 대화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전 세계에 최소 10%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과 같은 특정 품목은 상호관세 적용에서 제외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특정 산업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특히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은 이번 조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적용을 받는 품목에 대해서는 0%의 관세가 유지된다. 그러나 다른 국가들에 대해서는 10%의 기본 관세가 5일부터 시행되며, 국가별 상호관세는 9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 조치를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근거해 대규모 무역 적자로 인한 국가 비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하며, 무역 적자와 비호혜적 대우로 인한 위협이 해결될 때까지 유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상대국이 보복 조치를 취할 경우 관세를 인상할 수 있으며, 비호혜적 무역 협정을 시정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경우 관세를 인하할 수 있는 권한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는 미국의 무역 정책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각국의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된다. 특히 한국은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트럼프 관세'의 영향권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산업계는 긴장 상태에 놓여 있다. 한국 정부도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으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긴급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자동차 등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로 영향을 받을 업종과 기업에 대한 긴급 지원 대책을 범정부 차원에서 조속히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관세 조치는 미국 경제의 새로운 전환점을 나타내며, 국제 무역의 복잡한 역학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앞으로의 무역 협상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미국 경제가 과연 트럼프 대통령의 예고대로 호황을 누릴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