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국 "당 변화 없는 상황에서 당 이끌기 힘들어"
신지호 "전당대회 신중해야... 최종 병기로 아껴 써야"
한지아 "질 가능성 높은 지선 앞두고 당 대표 자리 고민해야"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2일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린 피날레 유세에서 한동훈 전 대표의 손을 잡고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2일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린 피날레 유세에서 한동훈 전 대표의 손을 잡고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안다인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의 당권 도전 여부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친한(동훈)계에서 한 전 대표의 출마를 두고 신중론이 제기됐다. 한 전 대표도 주변에서 말리는 분위기다 보니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친한계 의원 중에서도 당 대표로 출마할 만한 사람이 없어 당 대표로 누가 출마하게 될지 관심이 쏠린다.

한 전 대표 측 관계자는 18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주변에서 말리시는 분도 있다 보니 나오겠다는 마음이 조금씩 줄어들고 계신 것 같긴 하다"며 "원내 입성이 더 급하다 보니 친한계에서 다음 선거에서 한 전 대표에게 공천을 주실 만한 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친한(동훈)계 의원들도 그렇게까지 적극적으로 나서지는 않는 것 같다"며 "김성원 의원도 원내대표 선거에 나오긴 했지만 계파색이 짙거나 친한계를 주도하지는 않고, 조경태 의원도 나서고 싶다는 표현은 안 하시는 것 보면 아무도 나서지 않으면 나라도 나서야 하는 거지라는 마음인 것 같다"고 말했다.

친한계 의원들은 한 전 대표의 출마에 대해 지금은 때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정성국 "당 변화 없는 상황에서 당 이끌기 힘들어"

친한계로 분류되는 정성국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에서 한 전 대표의 출마 여부와 관련해 "여러 의견이 5 대 5라고 봤는데 요즘은 주변에서 출마하지 말라는 이야기들을 많이 하는 것 같다"며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제시한 개혁안을 받아들인다든지, 원내대표 선거에서 치열한 접전이 있었다든지 당의 변화가 느껴지는 상황이라면 '한 전 대표가 나와야 한다'가 되는데 (그렇지 못하다)"라고 설명했다.

정 의원은 "한동훈이라는 사람이 지금 차기 보수의 리더로서 가장 적합한 사람 1위로 나오지만 우리 당 의원들은 아직 과거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느낌"이라며 "한 전 대표가 나와서 이런 어려운 당을 이끌어 나가는 것이 얼마나 힘들겠나. (친윤계) 저항, 당장 내년 지방선거도 이재명 정부가 아마 1년 동안 잘하려고 할 것 같다"며 한 전 대표가 나오면 안 된다고 말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정 의원은 "한 전 대표가 어떤 결심을 할지 저도 굉장히 궁금한데, 다만 지금 주변에서는 부정적 여론을 더 전달하고 있는 것 같다"면서도 "한 전 대표가 만약 출마를 한다면 (당선) 가능성은 충분히 제일 높다고 본다"고 말했다.

신지호 "전당대회 신중해야... 최종 병기로 아껴 써야"

친한계 신지호 전 의원도 이날 CBS 라디오에서 "개인적으로 이번 전당대회 출전은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이라며 "한 전 대표는 최강 병기이기도 하지만 최종 병기로, 소중한 만큼 아껴 써야 한다"고 말했다.

신 전 의원은 한 전 대표가 이에 대해 "함께 고민해 보자"고 했다고 전했다.

한지아 "질 가능성 높은 지선 앞두고 당 대표 자리 고민해야"

친한계인 한지아 의원도 전날(17일) JTBC 라디오에서 "한 전 대표가 나오면 당이 개혁하는 동력이 다시 살아날 것 같기는 하다"면서도 "다만 정치인 한동훈으로서는 굉장히 많은 난제가 있는 자리다. 보통 대선을 이기면 지선에서도 이긴다. 그런 정치 지형에서 국민의힘이 내년 지방선거에서 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면 다시 한 번 당 대표 책임론이 불거질 거고 그러면 사퇴에 대한 압박이 있을 것"이라며 "그때는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안 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종 선택은 본인이 하는 건데 더 큰 그림을 보고 장기 그림을 짜야 하지 않나라는 의견들도 있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