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초대, 주한외교단 만찬'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주한외교단을 비롯해 이 대통령 특사단 단장, 국회 외통위 위원, 관계부처 장관, 경제단체장 등이 참석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08/704723_516577_5347.jpg)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23일부터 일본과 미국을 잇따라 방문해 연쇄 정상회담을 갖는다. 미국 방문 중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와 관련해 한화 필리 조선소도 방문한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는 23일 오전 수행원 및 수행기자단과 함께 출국해 일본에 도착해 방일, 방미 일정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방일 첫 일정으로 재일동포와 오찬 간담회를 가진 뒤, 이날 오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일정상회담 및 만찬을 한다. 회담에서는 과거사 문제와 미래지향적 협력 방안이 논의될 전망이다. 24일 오전에는 일본 의회 주요 인사들과도 만난다.
같은 날 오후 일본을 떠나 미국 워싱턴DC에 도착한 이 대통령은 첫 일정으로 재미동포와 만찬 간담회를 갖는다.
25일(현지시간)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을 열고 △지난달 31일 합의한 관세협상 후속조치 △한국 국방비 증액 △'동맹 현대화'라 일컫는 주한미군 역할 조정 및 방위비 분담금 증액 △대북 문제 등을 폭넓게 논의할 예정이다.
워싱턴DC 체류 기간 중 경제계·학계 인사들과의 면담도 예정돼 있다. 이어 26일에는 필라델피아로 이동해 한화그룹이 인수한 '한화 필리조선소'를 시찰한다. 해당 조선소는 미 정부의 '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와 연계된 핵심 거점으로 꼽힌다.
이 대통령은 28일 새벽(한국시간) 귀국할 예정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이슈] 트럼프 행정부 "미국에 원전 지어달라"…K원전, 한미 정상회담 의제 급부상 "제2 마스가"
- [전문] 한일 정상, 17년만 공동결과문..."AI·저출산·지방활성화 등 공동협의체..미래지향적 상생협력"
- 李대통령 "재일동포 간첩조작 국가폭력 고개숙여 사과...동포애국심 잊지않고 보답할 것"
- 李대통령 "前정권 위안부 합의, 뒤집을 수 없어...'DJ·오부치 선언' 넘어서는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 [한일정상 이모저모] 李대통령 일본부터 방문에 日언론 '기쁜 서프라이즈' 화답...만찬장 화기애애
- 강훈식, 李대통령 방미 합류…"한 마디라도 더 설득해야"…'핵심참모' 3인 모두 미국행
- [이슈] 한미일 언론이 본 한일정상회담 "과거 보다 미래"…역사문제는 여전히 '뇌관'
- [이슈] 이재명-트럼프, 첫 한미정상회담 임박…美언론, 마스가·대미투자·원전협력·동맹현대화·북핵문제 의제 조명
- [한미정상회담] 李대통령 "김정은 만나 달라"...트럼프 "올해 만나고 싶다"
- [한미정상회담] 李-트럼프, 첫 만남 '찰떡 케미'…"안보 넘어 미래지향적 포괄 동맹" 동맹 확장 평가
- [한미정상회담] 대통령실 3실장 "통상·동맹현대화·신분야 협력 모두 목표 달성" "원자력 협력 추진"
- [한미정상 이모저모] 트럼프 "李대통령에 '위대한 지도자'…완전한 美지원 받을 것"…'숙청' 악재에 李 '피스메이커 폭풍칭찬' 반전 [종합]
- [종합] 李대통령 "주한미군 유연화 동의 어려워...농축산물 추가 개방 요구? 합의 쉽게 바꿀 수 없어"
- [한미정상회담] 국내외 전문가 평가 "첫 단추 잘끼워 성공적" "북한 대화로 끌어들여"…무역·안보 후속논의는 '숙제'
- 대통령실 "김정은 中 전승절 참석 사전 인지…한미회담과 상호 영향"
김민주 기자
kmj@pol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