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정상회담 관련 아사히, 마이니치, 닛케이, 산케이 신문 인터뷰
"강제징용ㆍ위안부 문제, 사실 인정하고 진심어린 사과 중요"
"전임 정권도 국민이 뽑은 국가의 대표...합의한 국가정책 뒤집을 수 없어"
"진정한 미래지향 한일관계 만들겠다"
"경제·통상·저출산·안보 등 핵심 분야 정부 간 협력 추진할 것"
"한일 정상 셔틀 외교, 모범적 정상외교 롤모델 되길 믿어"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검토한 바 없다"
![1박2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23일 일본 도쿄 하네다공항에 도착해 미야지 타쿠마 외무성 부대신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08/704954_516850_1354.jpeg)
[폴리뉴스 안다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한일정상회담을 앞두고 강제징용 및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전임 대통령도, 또 전임 정권도 국민이 뽑은 국가의 대표"라며 "그들이 합의하거나 이미 한 국가 정책을 쉽게 뒤집을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아사히, 마이니치, 닛케이, 산케이 신문과 진행된 서면 인터뷰에서 "한편으로는 국가 간 관계에서 신뢰와 정책의 일관성은 매우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강제징용과 위안부 문제는 대표적인 과거사 문제이고 또 국민으로서 매우 가슴 아픈 일"이라며 "이는 경제적 문제이기 전에 진실과 감정의 문제이기 때문에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하며 진심으로 위로하는 과정이 훨씬 더 중요하다. 배상의 문제는 오히려 부수적인 문제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장기적인 시각에서 더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더 인간적인 깊은 고려 속에서 이 문제를 논의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며 "사과는 상대의 다친 마음이 치유될 때까지 진지하게 진심으로 하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해결되지 못한 여러 문제가 남아 있는 것도 사실"이라면서도 "다만 문제에 너무 매몰돼서는 안 된다. 현실을 인정하고, 서로 존중하며,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DJ·오부치 선언' 넘어서는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만들 것"
이 대통령은 한일관계에 대해선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잇는, 그것을 넘어서는 새로운 한일관계에 관한 공동선언을 만들어 보고 싶다"며 "진정한 새로운 한일 관계, 발전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는 "글로벌 복합위기 속에서 한일·한미일 협력을 한층 더 강화하고, 저출산·고령화·수도 과밀 문제 등 새롭게 직면한 도전에 대해서도 경험과 대책을 함께 고민하는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방일이 미래지향적 협력의 발판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함께 역내 평화와 안정 유지, 안보, 경제 등 여러 분야의 공조 방안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하겠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오이카와 쇼이치 요미우리신문그룹 대표와 인터뷰하는 사진을 22일 SNS에 공개했다. 23일 이 대통령 출국전 아사히, 마이니치, 닛케이, 산케이 신문은 이 대통령과 서면 인터뷰를 공개했다. [사진=이재명 대통령 SNS]](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508/704954_516874_5028.jpg)
"한일 정상 셔틀외교, 모범적 정상외교 롤모델 되길 믿어"
그는 "다층적 글로벌 복합위기 상황 속에서 정상이 직접 관여하고 결정해야 하는 이슈는 계속 증가할 것"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한일 정상 간 셔틀 외교가 '모범적인 정상외교'의 롤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정상 간 신뢰는 양국의 긴밀한 공조를 강화하는 한편, 다소 어려운 문제가 생기더라도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는 윤활유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앞으로 더욱 자주 이시바 총리를 만나 대화하고 통화하면서 정상 간 신뢰와 유대를 탄탄히 쌓고 싶다"고 밝혔다.
"경제·통상·저출산·안보 등 핵심 분야 정부 간 협력 추진할 것"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검토한 바 없다"
이 대통령은 "정상 차원 셔틀 외교는 물론이고 통상, 경제안보, 공급망, 신에너지, 기후변화 등 핵심 분야별로 정부 간 협력을 추진하는 한편 민간 차원의 실질 교류·협력도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며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양자 채널뿐 아니라 한미일, 한일중,ASEAN(동남아국가연합)+3, IPEF(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등 다자 및 소다자 채널도 적극 활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규제 해제 문제에 대해선 "우리 국민이 일본 수산물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선을 그었다.
또 양국 간 인적 교류 활성화를 위해 "합의가 된다면 전용 입국 심사대를 다시 설치할 수 있다"면서도 "아직 영구적인 운영에 대해 일본 측과 합의하거나 검토한 바는 없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일본도 겪고 있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와 관련해선 "양국이 정책 경험을 공유하고 새로운 아젠다를 함께 발굴하는 등 적극 협력하면 시너지 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며 "정부 차원의 정책 발굴과 함께 민간 차원에서도 인공지능(AI) 활용 방안을 공유·협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23일 도쿄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일본산 수산물 수입 규제 완화가 이날 한일정상회담 공식 의제 가능성에 대해 "국민이 우려하거나 국익에 저해되는 부분에 대해, 최대한 국익에 잘 맞고 국민의 이해관계에 어긋남이 없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 대변인은 "양국이 상호 호혜적인 관계 안에서 조금 더 수월성이 높은 관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공동의 목적을 가지지만, 국익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나 혹여 국민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부분에 대해서는, 오해가 없도록 애쓰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전문] 한일 정상, 17년만 공동결과문..."AI·저출산·지방활성화 등 공동협의체..미래지향적 상생협력"
- 李대통령 "재일동포 간첩조작 국가폭력 고개숙여 사과...동포애국심 잊지않고 보답할 것"
- 美·日 순방 앞둔 李대통령 "정권 입지보다 국민 전체 이익 위해 최선… 문화강국 위한 장기전략 수립해야"
- 홍기원 "'위안부 합의 뒤집지 않아야' 李대통령 발언은 '신뢰' 위한 것"
- [이슈] 李 대통령, 23일 한일·25일 한미정상회담…한미일 공조로 북핵 문제 대응
- 李대통령, 23일 출국해 연쇄 한일·한미정상회담...26일 한화 필리조선소 시찰도
- 李대통령 "한일 과거사 문제 중요...다만 너무 매몰돼선 안 돼"
- 이시바, 日총리 13년만에 패전일 추도사서 '반성' 언급…한일정상회담 앞두고 '훈풍'
- [전문] 李대통령 광복절 축사 "분열 넘어 통합·연대·평화의 길로"…'빛의 혁명' 강조
- [한일정상 이모저모] 李대통령 일본부터 방문에 日언론 '기쁜 서프라이즈' 화답...만찬장 화기애애
- [이슈] 한미일 언론이 본 한일정상회담 "과거 보다 미래"…역사문제는 여전히 '뇌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