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정상 ‘北핵-미사일대응 군사협력’, 기시다 “한미일 연계 더욱 강화, 의연하게 대응”
한미일정상, ‘北미사일 탐지·평가 능력 향상 위한 미사일 경보 정보 실시간으로 공유키로

윤석열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정찬 기자] 아세안(ASEAN) 관련 정상회의 참석차 캄보디아를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한미일 정상회의를 갖고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을 근거로 ‘한미일 군사적 협력’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프놈펜 시내 호텔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한미일 정상회의가 5개월 만에 이렇게 다시 개최된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면서 “북한은 핵과 미사일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토대로 한층 더 적대적이고 공세적인 도발을 감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 5월 제가 취임한 이후 지금까지 50여 발의 미사일을 발사했는데, 10월 말부터 11월 초에 집중적으로 발사했다. 그중 한 발은 동쪽 북방한계선을 넘어서 우리의 관할수역에 착탄했다. 이는 분단 후 처음 있는 일로서 매우 심각한 도발”이라고 얘기했다.

이어 “우리 국민이 깊은 슬픔에 빠져 있는 시기에 기에 이런 도발을 감행한 것은 김정은 정권의 반인도주의적이고 반인륜적인 성향을 그대로 드러낸 것”이라며 “한미일 공조는 보편적 가치를 수호하고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이루기 위한 강력한 보루”라고 강조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은 미국의 중요한 동맹국이다. 오랫동안 우리는 3자 협력을 강화해 왔다. 우리는 북한의 미사일과 핵 위협에 대해서 우려하고 있다. 북은 지속적으로 도발적인 행동을 계속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3자의 파트너십은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3국 정상회담 통해 우리는 공급망 강화에 대해서 경제회복력의 강화에 대해서 그리고 대만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을 도모하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라며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지원 강화, 그리고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에 관해서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 3국은 그 어느 때보다도 행보를 같이하고 있으며, 앞으로 공동과제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다. 따라서 3국은 지속적인 협력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북한에 의한 전례 없는 그런 도발이 이어지고 있다. 추가적인 도발도 예정되는 가운데 오늘 이렇게 한미일 정상회담이 개최된 것을 매우 시의적절한 것이라고 느끼고 있다. 한미일 연계를 더욱 강화하고 의연하게 대응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한미일이 연대해 북한으로 하여금 무모한 도발은 절대 성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고 바이든 대통령은 확장억제 공약을 재확인했고 한미일 정상은 북한 미사일의 탐지·평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자 한다는 의향을 표명했다.

이는 향후 한일은 북한 미사일정보 등 군사협력을 협력을 강화한다는 의미다. 또 한미일 정상들은 첨단기술, 공급망, 에너지 등 경제안보 분야에서도 3국 간 협력을 강화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하고, 이를 위해 ‘한미일 경제안보대화’를 신설하기로 합의했다.

윤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자유, 평화, 번영의 인도-태평양 지역’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우리의 독자적인 ‘인태전략’에 관해 설명했고 바이든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우리의 독자적인 인태전략 발표에 대해 환영의 뜻을 표하고 향후 인태전략 이행 과정에서 3국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한미일 정상은 아세안 및 메콩 관련 협력을 비롯하여 주요 지역 및 글로벌 현안에 관해 논의하고 협의결과를 반영해 한미일 정상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한미일 3국 정상 간 포괄적인 성격의 공동성명을 채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성명에는 ①북한 핵, 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확장억제 강화에 대한 미국의 공약 확인 ②북한 미사일에 관한 3국 간 실시간 정보공유 의향 표명 ③3국 간 경제안보대화체 신설 ④경제적 강압에 대응하기 위한 3국 간 연대 ⑤한국의 인태전략에 대한 미일 양국 정상의 환영 및 향후 이행 과정 협력 확보 ⑥공급망 교란, 기후변화, 디지털 경제 도래 등의 내용을 담았다.

한미일 정상회의에는 미국에서는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제이크 설리번 보좌관 등이 참석했고 우리 측에서는 박진 외교부 장관, 김성한 안보실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최상목 경제수석 등이 참석했으며 일본 측에서는 기시다 총리 외 4명이 배석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