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개특위 소위에서 충돌

21일 국회에서 열린 정치개혁특별위원회 법안심사제2소위원회에서 김상훈 소위원장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1일 국회에서 열린 정치개혁특별위원회 법안심사제2소위원회에서 김상훈 소위원장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국민의힘은 21일 더불어민주당과 권역별 병립형 비례대표제에 대해 의원총회에서 추인을 받아 원내대표간 마무리 협상을 하기로 합의했었다고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은 권역별 비례대표제만 합의한 적이 있었다며 부인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김상훈 의원은 21일 열린 정개특위 법안심사제2소위원회 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당 지도부가 사전 협의하고 양당 정개특위 간사 간 합의했다”며 “권역별 병립형 비례대표제를 의원총회에 회부해 의견을 듣고 양당 원내대표가 마무리 협상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서도 “국민의힘은 지난 9월 1일 의원총회를 거쳐서 권역별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하는 것으로 추인을 받았다. 민주당은 그때 의원총회를 개최했는데 당내 이견이 연동형과 병립형으로 갈라졌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아직까지 결론을 못내고 있다. 그때 이후 두 달 반 넘는 시간 동안 민주당은 선거제에 대한 입장 정리를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정개특위 민주당 간사인 김영배 의원은 이날 <폴리뉴스>와 통화에서 “사실이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그는 “권역별 비례대표제까지는 공감대가 있는 게 맞지만 병립형은 아니다. 합의가 됐으면 왜 그걸 의원총회에서 논의를 안 했겠나. 왜 발표를 안 했겠나. 자기들이 주장하는 것으로 합의가 됐다고 주장하는 건데 그런 일방적인 얘기가 어디 있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은 이어 “의원총회에서 추인하기로 합의했다는 것은 구체적인 안이 합의가 됐다는 뜻이잖나. 합의가 안 됐었다”며 “당시 간사 간 회의만 한 게 아니고 2+2 협의체(각 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정개특위 간사)였다. 2+2에서 합의가 안 되니까 종료되고 원내대표로 넘어갔다. 그러니까 ‘간사간 합의하고 의총에서 추인받고 나서 원내대표가 다시 협상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정개특위 위원인 정의당 심상정 의원은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힘이 더이상 병립형 회귀로의 담합에 미련을 두지 말고 헌법재판소 결정 취지를 받아들여서 위성정당 방지법 처리에 조속히 나서야 한다”며 “국민의힘이 계속 병립형을 고집하면서 위성정당 방지법 처리에 꼼수 지연을 계속한다면 특단의 고려를 해야 하지 않나 본다”고 말했다. 

심 의원은 민주당을 향해서도 “민주당 내에선 많은 논의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부탁드리건데 민주당이 보다 분명하게 촛불개혁의 성과를 엄호하는 결정을 빨리 내려주면 아마 법안 심사도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