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선택 신년기자간담회
금태섭 “소수 불과한 신당 세력 사이서도 적대시한다면 유권자에게 명분 없어”
“정치 한 번이라도 했으면 전부 지역구 출마해야”
류호정 “공통점 찾는 일 쉽지 않지만 불가능하지만도 않아”

새로운선택 금태섭 공동대표가 1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성주 공동대표, 금 공동대표, 류호정 의원. [사진=연합뉴스]
새로운선택 금태섭 공동대표가 1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성주 공동대표, 금 공동대표, 류호정 의원.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금태섭 전 의원이 주도하는 ‘새로운선택’이 17일 “제3지대 신당의 형식은 단일정당이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실무협의기구를 설치하자고 제안했다.

금태섭 새로운선택 공동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신당 논의에서 경쟁만큼 협력의 원리가 중요하다. 선거 연대와 같은 느슨한 형태의 협력보다 훨씬 강력한 결집체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창당의 과정에서 다양한 차이점을 놓고 서로의 양보와 희생은 불가피하다”며 “소수에 불과한 신당추진 세력 사이에서도 이견을 좁히지 못해 적대시한다면, 유권자에게 선택을 해달라고 할 명분이 없다”고 지적했다.

제3지대에 나와 있는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의 ‘새로운미래’와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가 추진하는 ‘개혁신당’, 민주당 탈당파가 주도하는 ‘미래대연합’, 양향자 의원의 ‘한국의희망’ 등이 실무협의기구를 통해 하나의 정당을 출범시키자는 구상이다.

최근 정의당을 탈당하고 새로운선택에 합류한 류호정 의원은 “이준석과 이낙연, 조응천과 양향자, 금태섭과 류호정 사이에 공통점을 찾는 일이 쉽지는 않다”면서도 “그러나 불가능하지만도 않다. 본당의 주류에, 적대적 공생의 양당에 반대한 사람들이다. 그곳에서부터 시작해 다원주의를 받아들이고, 공존을 지향한다면 평범한 시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했다.

조성주 공동대표는 “각 세력이 동의할 수 있는 최소 강령을 마련하는 것을 주 임무로 하는 실무협의기구를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며 “이 기구를 통해서 인구 위기와 기후 양극화 등 신당은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최우선 돼야 하는 과제 해결책을 마련하고 팬덤 정치, 위성정당 같은 비상식과 퇴행에 맞선 총선 전략을 기획하고 통합정당의 비전을 마련하기 위한 공개 토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 대표는 “주도권을 가지기 위한 눈치 싸움이나 간보기는 필요없다고 보고 있다”며 “저희 제안에 응해도 좋고 비슷한 취지의 제안을 해줘도 좋다”고 강조했다.

금 대표는 실무협의기구와 관련한 제3지대의 구체적 논의 상황을 묻는 취재진 질문에는 “저희가 드린 제안이니 (각 당이) 내부 논의를 해보고 답을 달라고 말씀 드린 상태”라고 답했다.

그는 “대한민국 정치사에서 제3지대가 성공한 적이 한 번도 없다. 그런데 제3지대가 이렇게 갈라져서 나온 적도 없다”며 “한 번도 성공하지 못한 일을 한다고 하면서 지금 정당을 5개 만들어 놓는 것은 몹시 부끄럽다”고 했다.

그는 “아무리 뛰어난 정책을 내놓고 아무리 특별한 얘기를 해도 우리끼리 힘을 합치지 못하면 기본이 안 된 것”이라며 “각자 정리할 시간이 필요하지만 협력하고 실질적인 문제를 논의하는 모습을 보여달라”고 재차 당부했다.

금 대표는 비례대표 후보 배분 문제 등에 대해 “비례대표는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훌륭한 분들을 모셔서 국민들 앞에 좋은 인재들이 올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저희가 고집 부리거나 기득권을 주장하지는 않겠다”고 했다.

그는 “개인 의견이긴 하나 정치를 한 번이라도 한 경험자들은 가급적이면 원칙적으로 지역구에 전부 출마하는 것이 맞지 않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