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사상 처음 첫 9조원 넘겨
순이익, 319억여원…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
'활성 고객 수' 2150만명, 작년 보다 16% 증가
![쿠팡 본사 전경[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5/646972_452473_2030.jpg)
[폴리뉴스 양성모 기자] 중국계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의 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쿠팡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적자 전환한 것으로 집계됐다.
쿠팡의 매출은 처음으로 올 1분기 9조원을 넘긴 반면 영업이익은 흑자를 유지하고 있으나 지난해 동기 보다 60% 넘게 감소했다.
미국 뉴욕증시 상장사인 쿠팡은 올 1분기 매출이 71억1400만달러(9조4505억원)로 지난해 동기 대비 28% 증가했다고 8일 밝혔다. 사상 첫 9조원대 분기 매출 기록이다.
영업이익은 4000만달러(약 531억원·분기 평균 환율 1328.45원 기준)로 전년 동기(1억677만달러) 대비 61% 감소했다. 분기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은 2022년 3분기의 사상 첫 분기 흑자 전환 이후 처음이다.
당기순손익은 지난해 1분기 9085만달러(약 1160억원) 흑자에서 올 1분기 2400만달러(약 319억원) 적자로 2022년 2분기(-952억원) 이후 7개 분기 만에 적자 전환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핵심 사업인 프로덕트 커머스(로켓배송·로켓프레시·마켓플레이스·로켓그로스) 매출은 64억9400만달러(약 8조6269억원)로 20% 증가했다.
올해 처음 실적에 반영된 명품 플랫폼 파페치와 쿠팡이츠·대만 사업 등 성장사업 매출은 6억2000만달러(약 8236억원)으로 지난해 동기(1억4200만달러·약 1813억원)의 4.5배로 늘었다. 이는 2억8800만달러(약 3825억원)에 달하는 파페치 매출 합산 효과다.
다만 손실 규모는 커졌다.
성장사업의 조정 기준 세금과 이자, 감가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적자는 1억8600만달러(약 2470억원)로 4배가량 확대됐다. 파페치의 EBITDA 손실액은 3100만달러(약 411억원)였다.
쿠팡에서 한 번이라도 제품을 구매한 고객 수를 뜻하는 '활성 고객 수'는 2150만명으로 지난해(1860만명)보다 16% 증가했다. 이는 쿠팡이츠만 쓰는 고객을 제외한 프로덕트 커머스 기준이다.
프로덕트 커머스 기준 활성 고객 1인당 매출도 315달러(약 41만8460원)로 3% 늘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C커머스 韓침공 본격화"…‘알·테·쉬’ 한국 소비자 공략
- 유통업계, 5월 '가정의 달' 맞아 할인 경쟁 '활활'
- 네이버, "쿠팡 이탈 고객 잡는다… 일요·당일 배송 시작"
- 초저가 공세 알리·테무, 이용자 수 늘었지만… 거래액 최하위
- 쿠팡이츠 '굳히기 한판'…강남·서초도 무료배달
- 이커머스, 쿠팡 이탈 고객 잡는다… '멤버십 출혈 경쟁' 조짐
- 외식·식품·유통업계, 인상 속도… "비용 상승 압박 영향"
- 쿠팡, 올 1분기 오프라인 공룡 이마트 제쳐… "유통 최고 브랜드 등극"
- 국세청, 쿠팡 특별 세무조사 착수… 비정기 특별조사로 전해져
- 배민, 구독제 멤버십 서비스 출시 예고… 배달 3사, 출혈경쟁 재점화
- 알리익스프레스 "홈플러스 인수합병 논의 참여하지 않는다"
- 배달앱 2위 '쿠팡이츠', 지난달 사용자 771만명… 요기요와 격차 벌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