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계획 승인 시 농지 타용도 일시사용 허가 원스톱 처리
농업 외 추가소득 향상·RE100 이행 기여 ,‘1석 2조 ’ 효과
![더불어민주당 임미애(비례대표·농해수위)의원 [사진=임미애 의원실 제공]](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6/654896_460829_1827.jpg)
[폴리뉴스 양성모 기자] 국회 농림해양수산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미애(비례대표)의원이 20일 '영농형태양광법(영농태양광 발전사업 지원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이번 제정안은 지역에 거주하며 영농을 영위하는 농업인이 직접 태양광 발전사업을 하려는 경우 사업계획 승인을 받으면 농지의 일시사용 허가도 원스톱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정부가 생산된 전기에 대해 우선구매·컨설팅 등의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영농형태양광 사업은 농지에 농업을 지속하면서 상부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해 농업과 발전을 병행하는 형태다.
농업의 추가적인 소득원이 될뿐더러 에너지전환과 탄소중립에도 기여할 수 있어 적극적으로 장려되어 왔지만 현행법에는 영농형태양광에 대한 규정이 없어 지속적인 보급 확산을 어렵게 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어왔다.
이에 제정안은 농지를 보전하면서 지역 주민이 중심이 되어 주도하는 태양광 발전사업을 지원하고, 일조량이 좋은 농지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해 전력생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임미애 의원은 “농업인 가구 평균 농업소득이 연간 1114만원에 불과하고, 기후위기는 우리 삶을 직접적으로 위협하고 있는데도 재생에너지 보급률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최하위”라며 “이번 제정안을 통해 농가소득을 높이고 RE100(기업사용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캠페인) 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한편 이번 제정안은 민병덕 정책위 수석부의장의 제안으로 시작한 ‘입법 이어달리기’ 캠페인 차원으로 발의하는 법안이다. '입법 이어달리기'란 21 대 국회 임기 만료로 폐기됐지만 사회적 의미와 가치가 있는 법안을 중심으로 22 대 국회에서 재추진하는 캠페인이다 .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김영배 의원, ‘택배 과대포장 방지법’ 발의
- 삼성전자 사장 출신 고동진 의원 1호 법안, '반도체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법안' 대표발의
- 서영교 의원, 민주당 중점 추진 법안 '범죄피해자 보호법 개정안' 대표발의
- 김승수 의원, 광고산업 발전과 육성을 위한 '광고산업 진흥법' 제정안 대표발의
- 강승규 의원 , 저출산 대응 패키지법 대표발의...건강보험료 경감, 교육비 등 공제
- 김승수 의원, '뮤지컬산업 진흥법' 대표발의… 뮤지컬산업 활성화
- 어기구 의원, '한우법 · 농어업회의소법' 대표발의
- 김도읍 의원, '마약‧약물 운전 처벌 강화법' 발의
- 정점식 의원, '해양공간계획법·공유수면법' 개정안 대표발의
- 한병도 의원, 미래 신산업 '푸드테크산업 육성법' 발의
- 염태영 의원, 제22대 국회 1호 법안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안' 발의
- 이인선 의원,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발의
- 위성곤 의원, 22대 국회 1호법안 '제주 행정체제 개편법' 발의
- 강득구 의원, 근로자 작업중지권에 폭염 등 기상재해 추가한 법안 발의
- 박성훈 의원 , ‘청년고용촉진 특별법 개정안' 발의
- 임미애 의원 "영농비용·금리상승으로 빚 못갚는 농가 늘어나"
- 임미애 의원 "네덜란드 가스전 폐쇄 사례 참고해 포항 유전개발 사전 해저지질조사 강화해야"
- 임미애 의원 "양식업 전체 도산위기… 전기요금 특례할인 도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