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의원 “한우산업 안정화 도모"
![더불어민주당 어기구(충남 당진시)의원 [사진=어기구 의원실 제공]](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6/654961_460889_818.png)
[폴리뉴스 양성모 기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어기구(충남 당진시)의원이 21일 지난 21대 국회에서 대통령거부권 행사로 좌절됐던 '한우산업의 발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 과 '농어업회의소법안'을 재발의했다.
지난 18일, 어기구 의원은 ‘양곡법’ 과 ‘농안법’을 대표발의했으며, ‘한우법’과 ‘농어업회의소법’ 제정안 2건을 연이어 발의했다.
최근 한우산업은 소비위축과 도축물량 증가로 인한 한우값 폭락 , 쇠고기 수입자유화와 자유무역협정 체결 이후 자급률 저하 및 농가호수 급감 등으로 생산기반이 약화되고 있다. 실제 2014년 한우 자급률은 43.7%에서 2023년 35.5%로 감소한 반면, 쇠고기 수입량은 2014년 28.2 만톤에서 2023년 45.4 만톤으로 증가해 한우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이 시급하다.
이번에 대표발의한 ‘한우법안’ 의 주요 내용은 토종한우 유전자원 보호 및 한우의 수급불안 해소를 위해 자급률 목표를 설정하고, 경영위기에 처한 한우농가에 경영개선자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이와 함께 대표 발의한 ‘농어업회의소법안’ 은 농어업회의소를 설립 · 운영해 농어촌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고 , 농어업인의 경제적 · 사회적 권익을 대변하는 대표기구를 만드는 게 핵심이다 .
현재 일부 지자체에서 농어업회의소를 시범운영하고 있으나 법적인 근거가 없어 농어업회의소 활성화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욱이 농산물 시장 전면 개방 , 농촌인구 감소 및 고령화 , 지역소멸 등 농어업 · 농어촌의 위기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어 농어업회의소 설립·운영에 관한 법제화가 절실하다 .
어기구 의원은 “우리나라 축산의 근간인 한우산업이 붕괴위기에 처해있는데 법률안의 조속한 통과로 한우산업 안정화를 꾀하고 , 국가정책의 농어업인의 목소리가 제대로 반영될 수 있는 기구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한민수 의원, '재개발·재건축 원주민 재정착법' 발의
- 박정현 의원, 지역사랑상품권법 개정안 발의… 지역화폐 국비지원 근거 마련
- 임미애 의원, '영농형태양광법' 대표발의
- 홍기원 의원 '가족관계등록법' 발의… 본래의 성 · 본 계승 가능
- 한창민 의원, '학생인권법' 발의… "교육공동체 내 갈등 줄일 것"
- 김영배 의원, ‘택배 과대포장 방지법’ 발의
- 김도읍 의원, '마약‧약물 운전 처벌 강화법' 발의
- 정점식 의원, '해양공간계획법·공유수면법' 개정안 대표발의
- 한병도 의원, 미래 신산업 '푸드테크산업 육성법' 발의
- 염태영 의원, 제22대 국회 1호 법안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안' 발의
- 이인선 의원,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발의
- 위성곤 의원, 22대 국회 1호법안 '제주 행정체제 개편법' 발의
- 강득구 의원, 근로자 작업중지권에 폭염 등 기상재해 추가한 법안 발의
- 박성훈 의원 , ‘청년고용촉진 특별법 개정안' 발의
- 신장식 의원 "순직한 군인 유가족에 위자료 청구권보장"… 국가배상법 발의
- "난임치료휴가 12배 확대"… 김장겸 의원, '남녀고용평등법 개정안' 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