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약물에 취한 운전자 5년 새 2배 급증
김 의원 "마약‧약물 운전, 중대 범죄… 엄벌 필요"
![국민의 힘 김도읍(부산 강서구)의원 [사진=김도읍 의원실 제공]](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6/654967_460890_2242.jpg)
[폴리뉴스 양성모 기자] 국민의 힘 김도읍(부산 강서구)의원이 21일 '마약‧약물 운전 처벌 강화법을 대표발의했다.
지난해 약물에 취한 채 운전을 하다가 보행자를 치어 숨지게 한 이른바 ‘롤스로이스 교통사고 사건’을 비롯해 ‘강남 클럽 마약 운전 사건’ 등 마약이나 약물을 한 상태에서 운전을 하는 사건이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김도읍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마약류 및 약물 운전으로 인한 운전면허 취소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19년~2023년)간 마약류와 약물을 투약 및 복용한 상태에서 운전을 하다가 적발되 운전면허를 취소당한 사람이 386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약‧약물 운전자는 지난해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마약‧약물 운전으로 인한 면허취소자는 2019년 57명에서 2020년 54명, 2021년 83명, 2022년 79명, 2023년 113명으로 5년 새 2배나 증가했다.
이처럼 마약‧약물 운전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처벌수위는 음주운전에 비해 낮아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현행법 상 음주운전은 ‘술에 취한 상태에서의 운전 금지’조항을 별도로 두어 구제척으로 열거하고 있으며, 혈중알코올농도에 따라 차등해서 처벌해 최대 2년 이상 5년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하고 상습 음주운전자에 대해서도 가중해서 처벌하도록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다.
반면, 마약‧약물 금지 규정은 별도로 명시해 규정하고 있지 않고, ‘과로한 때 등의 운전 금지’조항에 포함돼 있다. 또한, 처벌 수위도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하고 있어 음주운전보다 처벌 수위가 더 낮은 실정이다.
이에 김도읍 의원은 경찰청과 협의해 ‘과로 등의 운전 금지’ 규정에서 분리해 마약 및 약물 운전 금지 조항을 별도로 신설해 명확하게 명시하고, 위반 시 5년 이하의 징역과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처벌을 강화하는 '도로교통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이날 대표발의 했다.
김도읍 의원은 “마약‧약물 운전은 음주운전 못지않게 위험해 대형사고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심각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중대한 범죄”라며 “마약‧약물 운전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위반자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약류 및 약물 운전으로 인한 면허취소 현황 [자료=김도읍 의원실, 경찰청 제공]](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6/654967_460891_235.png)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어기구 의원, '한우법 · 농어업회의소법' 대표발의
- 김승수 의원, '뮤지컬산업 진흥법' 대표발의… 뮤지컬산업 활성화
- 한민수 의원, '재개발·재건축 원주민 재정착법' 발의
- 박정현 의원, 지역사랑상품권법 개정안 발의… 지역화폐 국비지원 근거 마련
- 임미애 의원, '영농형태양광법' 대표발의
- 홍기원 의원 '가족관계등록법' 발의… 본래의 성 · 본 계승 가능
- 정희용 의원, '기후위기 시대 , 산림재난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토론회' 개최 예정
- 한창민 의원, '학생인권법' 발의… "교육공동체 내 갈등 줄일 것"
- 정점식 의원, '해양공간계획법·공유수면법' 개정안 대표발의
- 한병도 의원, 미래 신산업 '푸드테크산업 육성법' 발의
- 염태영 의원, 제22대 국회 1호 법안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안' 발의
- 이인선 의원,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발의
- 위성곤 의원, 22대 국회 1호법안 '제주 행정체제 개편법' 발의
- 강득구 의원, 근로자 작업중지권에 폭염 등 기상재해 추가한 법안 발의
- 박성훈 의원 , ‘청년고용촉진 특별법 개정안' 발의
- 신장식 의원 "순직한 군인 유가족에 위자료 청구권보장"… 국가배상법 발의
- "난임치료휴가 12배 확대"… 김장겸 의원, '남녀고용평등법 개정안' 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