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반도 힘의 균형 파괴시 모든 공격 사용"
"대한민국 안전하려면 건드리지 말라"
"통일 관심 없다, 두 개 국가".. 北, 통일·민족 삭제하고 영토 조항 신설할 듯
정부 "北, 두 국가 명문화 후 군사적 긴장을 높여갈 것"
![김정은, 창립60주년 김정은국방종합대학 축하방문 [사진=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10/666528_473898_847.jpg)
[폴리뉴스 김승훈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7일 적에 대해 '핵무기 사용' 의지를 드러냈다. 대한민국을 공격할 의사가 없지만 자신들을 위협할 경우 모든 공격력을 동원할 것이라는 경고도 내놨다.
특히, 지난해 말 '적대적 2국가론'을 내세운 이후 이날도 통일에 관심이 없다며 남한에 대한 관심을 두지 않는다고도 말했다.
한편, 북한은 이날 우리의 국회 격인 최고인민회의를 열어 사회주의 헌법 개정안 심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이번 헌법 개정을 통해 통일·민족 삭제, 영토 조항 신설 등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또, 헌법 개정 후 군사적 긴장을 높여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조선반도 힘의 균형 파괴시 모든 공격 사용"
"대한민국 안전하려면 건드리지 말라"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7일 김정은국방종합대학에서 연설을 통해 전쟁 시 핵무기를 사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8일 보도된 노동신문에 따르면 김정은 위원장은 이날 연설에서 "한미동맹을 핵에 기반한 동맹으로 변이시키고 무력증강에 열을 올리면서 광적으로 벌려놓는 미제와 괴뢰들의 전쟁소동과 도발적 행태는 언제든 조선반도에서 힘의 균형이 깨질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면서 "조선반도에서 전략적 힘의 균형의 파괴는 곧 전쟁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적'을 반공세력과 제국주의침략실체라고 지목하면서 "적들이 우리 국가를 반대하는 무력사용을 기도한다면 공화국 무력은 모든 공격을 주저없이 사용할 것"이라며 "여기에는 핵무기사용이 배제되지 않는다"고 위협했다.
또, 김 위원장은 "적들이 핵동맹을 무기로 힘의 우위를 차지하고 전략적 판세를 뒤집어놓으려고 발악할수록 우리는 국방과학과 공업의 계속적인 도약을 이룩하고 자위의 전쟁억제력을 무한대로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힘의 균형이 파괴되는 것을 추호도 허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날 김 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을 향한 비난도 이어갔다.
지난 1일 국군의 날 윤 대통령의 기념사에 대해 "윤석열이 기념사라는 데서 작심하고 공화국 정권의 종말에 대해 천박하고 상스러운 망발을 내뱉았는데 상전의 '힘'에 대한 맹신에 완전히 깊숙이 빠져있다"고 말했다.
그는 윤 대통령의 '군사력의 압도적 대응' 언급을 거론하면서 "유구한 역사에 일찌기 있어보지 못한 무적의 명장이 출현한다 해도 핵과 재래식 전략의 격차를 극복할 비책은 내놓지 못할 것"이라며 "좀 온전치 못한 사람"이라고 비하했다.
이어 "현명한 정치가라면 국가와 인민의 안전을 놓고 무모한 객기를 부릴 것이 아니라 핵국가와는 대결과 대립보다는 군사적 충돌이 일어나지 않게 상황 관리 쪽으로 더 힘을 넣고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서울에서 터져나온 목소리는 어떻나"라며 "그 인간이 핵 보유국의 문전에서 군사력의 압도적 대응을 운운했는데 그 광경을 보면서 세상이 뭐라고 하겠는가"라고 했다.
또, 한국군 전략사령부 출범에 대해서는 "변변한 전략무기 하나 없는 허울뿐"이라며 "상전의 핵을 빌어 허울뿐인 '전략사령부'를 만들어놓고 그것을 그 무슨 '핵심부대', '국방력량의 대폭강화'라고 치켜세워"라고 조롱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대한민국이 안전하게 사는 방법은 우리가 군사력을 사용하지 않게 하면 되는 것"이라며 "우리를 때 없이 건드리지 말며 우리를 놓고 '힘 자랑' 내기를 하지 않으면 될 일인데 그렇게 쉬운 일을 할 위인도 서울에는 없는 모양"이라고 비꼬기도 했다.
"통일 관심 없다, 두 개 국가".. 北, 통일·민족 삭제하고 영토 조항 신설할 듯
정부 "北, 두 국가 명문화 후 군사적 긴장을 높여갈 것"
북한은 지난 7일부터 우리의 국회 격인 최고인민회의를 열어 사회주의 헌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지난달 15일 노동신문을 통해 이날 평양에서 최고인민회의를 소집해 사회주의 헌법 수정 보충과 관련한 문제 등을 토의한다고 공고했다.
이번 헌법 개정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1월 지시한 통일·민족 삭제, 영토 조항 신설 등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김 위원장의 연설에도 '두 국가론'이 재차 언급됐다.
김 위원장은 "우리는 솔직히 대한민국을 공격할 의사가 전혀 없다"며 "의식하는 것조차도 소름이 끼치고 그 인간들과는 마주서고 싶지도 않다"고 했다.
이어 "이전 시기에는 우리가 그 무슨 남녘해방이라는 소리도 많이 했고 무력통일이라는 말도 했지만 지금은 전혀 이에 관심이 없다"며 "두 개 국가를 선언하면서 부터는 더더욱 그 나라를 의식하지도 않는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도 북한이 '두 국가론'을 반영한 헌법 개정 후 군사적 긴장을 높여갈 것으로 보고 있다.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8일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은 어제(7일) 시작된 최고인민회의에서 헌법을 개정하여 '두 국가'를 명문화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군사적 긴장을 높여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통일·동족 용어도 지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는 특히 국경선을 새롭게 긋는 그런 내용이 이번에 포함되지 않을까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부정하고 일방적으로 해상 국경선을 설정할 수 있다는 전망에 대해서도 부정하지 않았다.
또, 김 위원장이 지난해 말 '적대적 두 국가론'을 제시한 배경에 대해서는 "북한이 체제경쟁에서 한국에 완전히 패배했다고 자인하는 것이고, 북한주민들이 한국사회에 대한 동경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