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권한'은 헌법이나 법률에 없는 용어”
“퇴행적 논리 답습, 안타까워”
“대통령실이야말로 민심, 당심과 각 세우는 것”
![조해진 김해시乙당협위원장 [사진=조해진 당협의원장 제공]](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8/660265_466689_1138.jpg)
[폴리뉴스 고영미 기자] 조해진 국민의힘 전 의원(경남 김해을 당협위원장)이 지난 9일 페이스북을 통해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복권에 대해 대통령실의 결정을 비판했다.
조 전 의원은 “김경수 전 경남지사 복권을 반대하는 여론에 대해서 대통령실은 사면복권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며 일축하며 강행할 분위기”라며 “역대 정권마다 대통령의 결정이 여론의 반대에 부딪힐 때마다 '인사권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다', '사면권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다', '거부권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다' 라고 하며 회피논리로 '고유권한'이라는 표현을 써왔다”라고 지적했다.
조 전 의원은 "'고유권한'은 헌법이나 법률에 없는 용어"라며 “대통령의 권한 중에 어떤 것이 고유권한이고 어떤 것이 고유권한이 아닌지 구분도 없다”라고 말했다.
이어 “'고유권한'이 '대통령이 어느 누구의 간섭도 받지 않고 독단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이라는 의미라면, 헌법상 대통령은 고유권한이 없고, 사면권도 고유권한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조 전 의원은 “우리 헌법은 대통령의 모든 권한에 대해서 삼권분립을 토대로 각종 견제와 균형의 장치를 마련해 놓았다”라며 “인사권이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라고 하지만, 행정부와 사법부의 고위직은 인사청문회를 거치고, 일부는 국회의 동의를 받아야 임명할 수 있게 되어 있다”라고 언급했다.
조 전 의원은 “법률안 거부권은 국회에서 2/3 이상이 찬성하면 무효화된다”라며 “사면권도 제도적으로 법무부 사면위원회의 심사를 거치게 되어 있고, 여야 정치권을 포함하여 정부 각 부처와 사회 각계의 의견을 두루 수렴해서 결정해 왔다”라고 밝혔다.
조 전 의원은 “이렇듯 '고유권한'은 실체가 없는 정체불명의 용어고, 대통령의 결정이 민심을 거스를 때 방탄용으로만 동원돼온 정치적 용어”라며 “정권의 불통과 아집, 독선을 호도하고 합리화해온 퇴행적 논리를 우리 정부에서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고 언급했다.
조 전 의원은 “대통령실은 김 전 지사 복권이 지난 번 사면 때 이미 결정된 일이고 총선에 영향을 줄까봐 미뤘을 뿐이라고 이야기한다”라며 “김 전 지사 복권이 대선구도 전체를 국민의힘에 절대적으로 불리하게 바꿔놓을 것이라는 당원들의 아우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주장”이라고 전했다.
조 전 의원은 “민심과 당심을 대변해서 반대의견을 전한 한동훈 대표에 대해서 대통령과 각을 세운다고 했는데, 대통령실이야말로 민심, 당심과 각을 세우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아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조 전 의원은 “압도적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복권을 강행하는 대통령실을 보고 일각에서 흉흉한 음모론까지 분출하고 있는 현실을 간과하면 안 된다”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조 전 의원은 “김 전 지사 복권 강행은 돌이킬 수 없는 큰 후회를 불러올 것”이라며 “밀어붙이지 말고, 재고해야 한다”라고 재차 주장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이슈] '김경수 복권' 회오리...여권 '윤-한 갈등' 재점화...이재명 '복권요구' 여야 진실공방
- 김종혁 “한동훈, 尹 권한 문제 삼는 것 아니다…장관 때부터 정치인 사면‧복권 남발 반대”
- 박지원 “이재명 ‘김경수 복권 않겠다’는 尹 제의 거부…김경수, 정치재개는 당원이 선택할 것”
- [이슈] 김경수, 광복절 복권으로 대선 후보 급부상 '이재명 일극체제 견제'.. 친문 "환영" 친명 "분열 의도"
- [이슈] 광복절 특사 '김경수 복권' 두고 야권 온도차.. 친명 "야권 분열 노림수" 친문 "해줄 때 됐다”
- ‘출국’ 김경수 “정치로 갈등 조정해야...새로운 시각으로 해결책 찾을 것”
- [이슈] 尹 광복절 특사, '국정농단' 전원 사면·복권.. 與 '윤-한갈등', 野 '친문-친명 분화' 나비 효과
- [이슈] '댓글조작' 김경수 '국정농단' 조윤선·원세훈·안종범 등 1천219명 광복절 특사·복권
- [이슈] "사회에 보탬 역할하겠다"는 김경수, '이재명 대항마'와 '명문(明文) 정당' 갈림길
- [이슈] '비명계' 초일회, 10월 이재명 1심판결 대비..'포스트 이재명' 김경수·김동연·김부겸 부상
- [이슈] 조국 '호남고인물論', 김부겸 "언제까지 강성층만 바라볼꺼냐'…강성친명 "어리석고 소모적""수박 척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