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대통령 관저 앞 지지자 약 1200명 몰려
“내란 아냐” “탄핵도 기각될 것”...젊은층도 눈에 띄어
공수처 “(경호처와의) 대치로 집행 중지”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이 이뤄지는 3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강진역 2번 출구에는 지지자들이 대통령 관저를 향해 길게 줄 서 있다. [사진=김민주 기자]

[폴리뉴스 김민주 기자] 3일 오전 11시 한강진역 2번 출구 앞.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향해 태극기와 성조기를 한 손에 겹쳐 든 사람들이 줄지어 서 있었다.

이들은 “탄핵 무효” “이재명 구속” 등의 구호를 반복해 외쳤다. ‘불법영장 원천무효’ ‘탄핵 반대, 주사파 척결’ ‘불법 탄핵, 부정선거’ ‘이재명 구속’ 등의 문구가 적힌 손펫말도 이따금씩 보였다. 

역 앞에는 태극기와 성조기 깃발이 크기별로 3000원, 6000원에 팔리고 있었다. 매대에는 이스라엘 국기도 진열돼 있었는데, 상인은 “직접 제작해 작은 게 5000원, 큰 게 6000원”이라고 했다. 다만 시위대 중 실제로 이스라엘기를 든 사람은 보이지 않았다.

한강진역 2번 출구 앞에서 한 상인이 태극기와, 성조기, 이스라엘기를 팔고 있다. [사진=김민주 기자]
한강진역 2번 출구 앞에서 한 상인이 태극기와, 성조기, 이스라엘기를 팔고 있다. [사진=김민주 기자]

이날 오전 8시 4분, 공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경찰 국가수사본부가 공동으로 구성한 공조수사본부(공조본)는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시작했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체포영장 집행 소식에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일대로 몰려들었다. 경찰은 이날 오전 9시 30분 기준 약 1200명이 모였다고 추산했다. 

김영식(67)씨는 “윤석열을 찍었지만 비상계엄 선포는 잘했다고 볼 수 없다. 정치적으로 충분한 설득을 해야 했고 끝까지 노력해 봤어야 한다. 갑자기 비상계엄을 선포한 것은 공감대를 얻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는 “수사는 해야 하지만 적법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며 공수처를 비판했다.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고, ‘불법 탄핵, 부정선거’ 손펫말을 들고 대통령 관저 방향으로 걷고 있다. [사진=김민주 기자]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고, ‘불법 탄핵, 부정선거’ 손펫말을 들고 대통령 관저 방향으로 걷고 있다. [사진=김민주 기자]

시위 참가자들 중 일부는 비상계엄 선포가 정당했다고 주장했다. 약사인 심모(41)씨는 “체포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해 나왔다”며 “비상계엄은 대통령의 권한 행사일 뿐, 내란이 아니다.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이 기각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흐름은 스피커들이 (탄핵 인용으로) 방향을 잡고 있지만, 그렇게 생각하지 않지만 말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덧붙였다.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황교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설립한 ‘부정선거방지대’(부방대) 요원이라고 밝힌 50대 한 여성은 “대선 때 부정선거가 윤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의 주요 원인”이라며 “그때 십몇 %는 더 이겼어야 했는데 사전선거 조작으로 윤 대통령이 몇 %밖에 못 이겼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대통령이 자기 임기 채우면 끝나는 건데 임기 상관없이 계엄령을 선포한 것은 국민이 감사해야 할 일”이라며 “절대 내란이 아니다. 부정선거라는 게 밝혀지면 증명이 될 거다. 진실이 거짓을 이길 수 없다”고 강조했다. 

3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 관저 앞 집회에는 약 1200(경찰 추산)이 참가했다. [사진=이준걸 폴리뉴스 PD] 
3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 관저 앞 집회에는 약 1200(경찰 추산)이 참가했다. [사진=이준걸 폴리뉴스 PD] 

현장에는 20·30대로 보이는 젊은층도 눈에 띄었다. 한 90년생 남성은 “비상계엄 선포 이후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을 탄핵할 때 ‘이건 아니구나’하고 나왔다”고 말했다. 

이날 오후 1시 30분, 공조본은 “(대통령 경호처와의) 계속된 대치 상황으로 사실상 체포영장 집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며 5시간 반 만에 집행을 중지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 체포영장의 집행기한은 오는 6일까지로, 기한까지 영장을 집행하지 못하면 영장을 다시 청구해 발부받아야 한다. 공조본은 4~5일 체포영장을 재집행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해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권능을 정지시킬 목적으로 군경을 동원한 폭동을 일으킨 혐의(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를 받는다. 공조본은 윤 대통령이 세 차례 출석요구에 불응하자 법원에 체포영장과 수색영장을 청구해 지난달 31일 오전 발부받았다. 

이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체포를 막기 위해 나흘째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60대로 보이는 한 여성이 시위대를 향해 “저는 밤샜습니다”고 호응을 유도하자, 지지자들은 박수를 보냈다.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윤석열 대통령 관저. [사진=김민주 기자]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윤석열 대통령 관저. [사진=김민주 기자]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한 대통령 경호처 등을 ‘내란공범’으로 규정하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의원총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공수처와 경찰이 내란수괴 윤석열 체포영장을 집행하고 있고, 체포 과정에서 경호처 소속 인원들과 수도방위사령부 소속으로 추청되는 인원들이 공무 집행을 방해하고 있다”며 “경호처장은 체포영장을 제시받고도 수색을 불허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박종준 경호처장, 김성훈 경호차장, 이광우 경호본부장 등을 향해 “본인들의 잘못된 판단으로 경호처의 부하들이 억울하게 또는 부당하게 처벌받지 않게끔 현명한 선택을 하라”며 “적법하고 정당한 법 집행을 방해한 자들은 그가 누구든 특수공무집행방해, 권리남용 권리행사방해, 범인 은닉 내란공범으로 처벌받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민주당은 당 차원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만나 지휘권 발동을 촉구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노종면 원내대변인은 “경호처장에 대한 지휘감독 책임은 최 권한대행에게 있다.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이 사태를 조기 종식해야 하고, 경호처의 불법적인 반발과 저항을 행정 권한으로 제압해야 한다”며 “그래서 공수처엔 신속하고 단호한 법 집행을, 경찰엔 경호처의 저항을 압도할 수 있는 병력 지원을, 경호처엔 체포영장 집행에 협조하라고 명령해야 한다”고 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