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폴리뉴스 정주희 기자] “지구온난화로 인한 산불, 폭염, 가뭄, 홍수 등 자연재해로 개발도상국은 큰 피해를 본다. 다만 선진국이 경제발전을 위해 사용한 화석연료 때문이라고 명확하게 책임소재를 가리기 힘들었다. 이제 ‘메타어스(Meta-Earth)’ 기술은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재해와 피해 변화 데이터를 예측해 각 나라의 책임 규모를 수치화할 수 있다. 명확히 현실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각국마다 기후위기에 적응하고 대응하기 위해 고민해야 한다.”
김형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순미래전략대학원 교수는 9일 폴리뉴스가 주최한 <2023 국회 기후환경 매니페스토> 포럼을 통해 ‘빅데이터 기반 기후위기 대응 방안’을 주제로 한 기조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KAIST 연구진이 개발한 ‘메타어스’ 기술은 자연계와 인간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이용해 지구에서 벌어지고 있는 미래 기후 변화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고 시각화 한다.
지역별 화석연료 사용량에 따른 해수면 상승, 지표면 온도 상승 현황을 가상의 지구를 통해 보여준다. 물, 식량, 에너지, 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상호작용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각종 자연재해의 위험성이 어떻게 인간 사회에 영향을 주는지 예측한다. 인간 활동이 야기한 태풍, 가뭄, 화재 등 이상기후 현상 등에 대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글로벌 기후위기에 대응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메타어스’라는 가상 세계에 다양한 상황의 지구를 구현하고 대규모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해 기후변화와 태풍으로 인한 호우 빈도 증가와의 관계,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의 일상화 시점을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메타버스 기술로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변화 때문에 동아시아 지역의 태풍 호우가 더 잦아졌다는 가설을 세계 최초로 증명했다”면서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각국이 배출한 온실가스 규모와 앞으로 더 자주 강한 수위로 발생될 손실·피해 규모를 명확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지구 온도가 1.1도 상승했는데 임계점으로 불리는 1.5~2.0도 까지 상승하면 과거 최악의 가뭄이 일상화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1.5도 상승은 현재 탄소배출 추세라면 10년이 채 남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기후변화 대응은 크게 완화와 적응으로 나뉜다고 김 교수는 설명한다. 완화는 쉽게 말해 화석연료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면서 탄소중립으로 가는 길이다. 적응은 각국별 온갖 재난에 대응하는 문제다. 실제 선진국들은 완화의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에너지 대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화 이후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해온 선진국들이 적응 차원에서는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파키스탄이 작년 4월부터 6월까지 발생한 역대급 폭염에 이은 대홍수로 약 1720명이 사망하고 약 3300만명이 피해를 입었지만 책임 소재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김 교수는 “전 세계 가뭄이나 홍수 발생의 미래경로에 있어서 탄소중립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특정 지역에서는 기후변화 대응과 더불어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적극적으로 준비해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특히 “완화는 전세계적 추세라면 적응은 개별국가의 문제다. 유럽의 경우 가뭄의 임계점은 1.5-2.0도에서 존재하고 동아시아 지역 홍수 임계점은 1.0-1.5도 사이”라며 “각국별로 임계점이 다른 기후변화의 현 상황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적응대책의 고민을 포괄적이며 유지적으로 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종합][2023 국회 기후환경 매니페스토] 매니페스토단 33인과 의정단 33인 출범...반기문·정우택·김영주 축사, 여야 의원 24명 참석 성료
- [2023 국회 기후환경 매니페스토] 정치인 축사 모음…“기후환경 위기 대응에 국회 나서야”
- [폴리TV][2023 국회 기후환경 매니페스토] 반기문 영상 축사 “기후변화 해결 못하면 지구와 인류 끝내 파멸할 것”
- [2023 국회 기후환경 매니페스토] 정우택 김영주 국회부의장, 김기현·이재명 대표 등 여야의원 축사
- [2023 국회 기후환경 매니페스토] ‘국회 기후환경 매니페스토단 33인’ 공식 출범
- [2023 국회 기후환경 매니페스토]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대사 “한국 2050 탄소중립·2030 NDC 목표 달성해야”
- [2023 국회 기후환경 매니페스토] 국힘 임이자 의원 “10월 기후변화감시예측법 통과로 기후 위기 적극 대응 가능해져”
- [2023 국회 기후환경 매니페스토] 민주 김성환 의원, 기후환경 문제 해결 위한 6대 정책 방안 제시
- [2023 국회 기후환경 매니페스토] 이미경 환경재단 대표, “플라스틱 사용 금지 완화, 환경부 간판 내려야”
- ‘2023 국회 기후환경 매니페스토’ 선언 및 결의 행사, 오는 9일 국회에서
- ‘2023 국회 기후환경 매니페스토’ 포럼, 11월 9일 개최
- '2023 국회 기후환경 매니페스토' 포럼 11월9일 개최
- '입법권 없는’ 국회 기후특위, 올해 회의만 4번하고 끝나…‘기한 연장·입법권 부여’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