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식·윤희숙·김경율·태영호 등 586 운동권 출신 민주 현역과 맞대결 '킬러공천'
한동훈, 취임사서 "운동권 특권 정치 청산".. 비대위 출범 한달 "경제 망친 주범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연일 "86 운동권 청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연일 "86 운동권 청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승훈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연일 "86 운동권 청산"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가운데 이들을 겨냥한 '자객공천' '킬러공천'이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총선의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에서 '86기득권 청산' 프레임을 부각해 중도층을 잡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윤석열 정부 인사는 물론 한동훈 위원장 측근에 이르기까지 속속 출사표를 던지고 있으나 민주당 당세가 강한 험지가 대부분이어서 출마자들의 생존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적지 않다.

박민식·윤희숙·김경율·태영호 등 586 운동권 출신 민주 현역과 맞대결 '킬러공천'

국민의힘이 제22대 총선 격전지로 꼽히는 수도권에서 야권의 '586(1950대 이상, 1980년대 학번, 1960년대 출생) 운동권' 출신 현역 의원에 맞서 저격수를 연이어 내놓고 있다.

29일 박민식 전 국가보훈부 장관은 최근 586 운동권 대표 주자 중 하나인 김민석 의원의 지역구인 서울 영등포을 출마를 선언했다. 박 전 장관은 보훈부 장관 시절 광주시의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사업을 공개 비판하는 등 이념 전쟁을 이끈 바 있다.

박 전 장관은 "대한민국은 위기"라며 "그 위기의 이유 중 하나는 야당의 입법 폭주와 모든 것을 투쟁으로 몰아가는 운동권적 사고다. 특히 기득권이 되어버린 운동권 세력의 낡아 빠진 이념 공세와 무조건적 트집잡기는 대한민국 발전의 걸림돌이 되어 버렸다"고 비판했다.

이어 "저는 이번 총선을 통해 대한민국이 가야할 길이 무엇인지를 놓고 야당의 기득권 운동권세력과 정면승부를 펼쳐나갈 것"이라며 "국민여러분께서 올바른 길을 선택해 주실거라 믿는다"고 했다.

윤희숙 전 국민의힘 의원은 28일 서울 중구·성동구갑 출마를 선언했다. 국민의힘의 험지로 꼽히는 중·성동갑에는 586운동권 대표 주자 중 하나이자 친문재인계인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윤 전 의원은 국회 소통관에서 출마 기자회견를 열고 "임 전 실장이 나온다고 하는 건 고마운 일"이라며 "586 대표 정치인이 나오든, 개딸 전체주의 당대표를 보좌할 그런 세대 정치인이 나오든 잘 싸워야 된다 생각한다. 과거를 보내고 미래로 가기 위한 전쟁을 국민 앞에서 잘하겠다"고 말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최측근인 정청래 의원의 지역구인 서울 마포을에는 한동훈 위원장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김경율 비대위원이 출마 예정이다.

한 위원장은 지난 17일 서울시당 신년인사회에서 정 의원을 "개딸 민주주의, 개딸 전체주의, 운동권 특권정치, 이재명 개인 사당화로 변질된 안타까운 정치를 상징하는 의원이 정청래"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김 회계사는 진영과 무관하게 공정과 정의를 위해서 평생 싸워왔다. 부조리가 있는 곳, 약자가 억울한 일을 당하는 곳에 늘 김경율이 있었다"고 치켜세웠다.

국민대 총학생회장 출신 586 정치인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윤건영 민주당 의원 지역구인 서울 구로을에는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이 출마 의사를 밝혔다.

국민의힘이 영입한 YTN 앵커 출신 호준석 국민의힘 대변인은 서울 구로갑에 출마한다. 구로갑은 전대협 1기 의장이었던 586 정치인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4선을 한 곳이다.

또 다른 영입 인재인 전상범 전 의정부지법 부장판사는 경희대 총학생회장 출신인 천준호 민주당 의원이 있는 서울 강북갑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서울 동부 벨트에 출마하는 이재영 전 의원(강동을)과 이승환(중랑을)·김재섭(도봉갑) 전 당협위원장도 86 세대교체를 내세우고 있다. 강동을과 중랑을은 각각 서강대·경희대 총학생회장인 이해식·박홍근 민주당 의원이 지키고 있고, 도봉갑엔 고(故) 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의 배우자이자 노동운동가 출신인 인재근 의원이 있다.

한동훈, 취임사서 "운동권 특권 정치 청산".. 비대위 출범 한달 "경제 망친 주범들"

586 운동권을 겨냥한 한동훈 위원장의 발언 강도도 세지고 있다.

한 위원장은 지난달 취임 일성으로 "386이 486·586·686 되도록 군림하려 드는 운동권 특권 정치를 청산해야 한다"고 선언했다.

지난 24일 대학생들과 만난 자리에서는 "운동권 정치인들에게 죄송한 마음은 전혀 없지만 지금의 청년 세대에겐 죄송하다"고 했다.

비대위 출범 한달을 맞은 29일에도 "우리 국민의힘은 이번 총선에서 운동권 특권 정치의 심판을 시대정신으로 말씀드린 바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은 '너희가 우리 운동권에게 미안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희는 '(운동권에) 미안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답했다"며 "그러자 이번엔 (민주당에서) '우리는 경제민생론으로 답하겠다'고 몇분들이 말씀하더라"면서 "(문재인 정부 시절) 부동산 실패와 국가채무를 무한정 늘리면서 경제 망친 주범들이"라고 직격했다.

그는 "이제 와서 운동권 심판론을 피하기 위해 경제민생론을 얘기한다는 것에 국민이 동감하지 않으신다"며 "땀 흘려 돈 벌어본 적 없고 오직 운동권 경력 하나로 수십년 간 기득권 차지하면서 정치무대를 장악해 온 사람들이 민생경제를 말할 자격이 있나. 탈원전 이념 내세워 세계 최고수준 한국 원전 생태계 다 무너뜨린 사람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재명(민주당 대표) 방탄을 위한 입법폭주 말고는 어떤 입법 성과를 거둔 적 없는 다수당이 과연 민생경제를 얘기할 수 있는지 저는 묻고 싶다"며 "그리고 그동안 윤석열 정부가 내세웠던 여러 가지 민생경제 관련 법안의 대부분의 발목을 잡고 있는 민주당에서 이제 와 민생경제를 얘기하는 것에 공감할 분들이 있을지 궁금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총선은 경제와 민생을 살리고 과거를 반성하면서 정치개혁 변화를 하려고 몸부림치고 절실함을 가지고 국민들을 설득하고자 하는 우리 여당을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낡은 이념과 방탄을 목적으로 모든 것을 정략적으로만 해석하고 발목잡기 하는 운동권 야당을 선택할 것인가의 문제"라고 덧붙였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