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회의서 총선후 첫 사과, 참모 회의에서…"매 맞으며 반성한다면 사랑의 회초리 의미 커질 것"
총선 패배에 "국정운영이 매서운 평가받은것…더 낮고 더 유연히 저부터 민심 경청"

22대총선의 여권 대참패 이후 처음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4월16일 총선 결과에 대한 입장을 발표했다. 다만 윤 대통령은 대국민담화나 기자회견 방식이 아닌 국무회의 모두발언과 참모진 회의에서 사과 입장을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22대총선의 여권 대참패 이후 처음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4월16일 총선 결과에 대한 입장을 발표했다. 다만 윤 대통령은 대국민담화나 기자회견 방식이 아닌 국무회의 모두발언과 참모진 회의에서 사과 입장을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진호 정치에디터] 윤석열 대통령은 16일 집권여당이 참패한 총선과 관련,  "대통령부터 국민의 뜻을 잘 살피고 받들지 못해 죄송하다"고 비공개 사과를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와 참모진 회의에서 "대통령인 저부터 잘못했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가 전했다.

총선이 끝난 지 엿새만인 이날  윤 대통령이 총선 참패라는 결과에 대해 직접 대국민 사과를 한 것이다. 이에 앞서 윤 대통령은 총선 다음 날인 11일 "총선에 나타난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들어 국정을 쇄신하고 경제와 민생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메시지를 대통령실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총선 결과를 두고 "당의 선거 운동이 평가받은 것이지만 한편으론 국정 운영이 국민의 매서운 평가를 받은 것으로 봐야 한다"며 "그 본질은 더 소통하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은 "국무회의에 참석한 장관들을 포함한 공직자들도 국민과 더 소통을 강화해 달라"고 주문하면서 자신도 더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자식이) 매를 맞으면서 무엇을 잘못했고, 앞으로는 어떻게 하는지 반성한다면 어머니가 주시는 '사랑의 회초리' 의미가 더 커질 것"이라며 "국민을 위한 정치를 얼마나 어떻게 잘할지가 우리가 국민으로부터 회초리를 맞으며 생각해야 하는 점"이라고 비유해 말하기도 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다만 윤 대통령은 TV로 생중계된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는 "총선을 통해 나타난 민심을 우리 모두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며 "더 낮은 자세와 더 유연한 태도로 보다 많이 소통하고, 저부터 민심을 경청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취임 이후 지난 2년 동안 국민만 바라보며 국익을 위한 길을 걸어왔지만,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면서 "올바른 국정의 방향을 잡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음에도, 국민들께서 체감하실 만큼의 변화를 만드는 데 모자랐다. 큰 틀에서 국민을 위한 정책이라 해도 세심한 영역에서 부족했다"고 자성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지난 2년 국정을 돌아보며 특히 서민의 삶을 더 세밀하게 챙겼어야 했다고 자성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국정의 방향은 옳지만, 그 국정을 운영하는 스타일과 소통 방식에 문제가 있지 않으냐가 절대다수 의견인 것 같다"면서 "국정기조는 지난 대선을 통해 응축된 우리 국민의 총체적 의견이며, 기본적으로 우리가 추진해왔던 국정기조나 원칙은 가져가되, 그동안 제기됐던 여러 기술적인 문제라든지 소통, 지역예산, 입법의 문제부분은 잘 조화해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실 소통 방식으로 취임 100일 이후론 진행되지 않았던 기자회견이나 출근길 문답(도어스테핑) 재개 등 여러 방안이 거론되는 것과 관련해선 "그동안 여러 여건이 맞지 않아 미뤄온 측면이 있다. 언급한 부분들을 포함해 다양한 소통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여지를 남겼다.

야당에서는 윤 대통령이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야당과의 협치방안 등에 대한 언급없이 "더 낮은 자세로 자성하고, 민심을 경청할 것"이란 입장을 내놓자 "지금까지의 일방통행식 국정운영을 그대로 해나가겠다는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