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의 마지막 비서관.. 드루킹 사건으로 징역 2년 확정
2022년 특별사면, 복권은 되지 않아 2027년 12월까지 출마 제한
친노·친문 인사와 연쇄 회동 전망.. 비명계 아우르는 구심점 기대
박지원 "尹, 복권 해줘야.. 해줄 것" 고민정 "복권 필요해"
野 "복권시키려면 빨리 하라.. 민주당 분열할 수도 있어"
국힘 "김경수 복권, 민주당서 반길까? 이재명에 물어보길"
친명계, 김 전 지사에 견제 메시지 "민주당은 당원 중심 정당"
!['친노·친문 적자'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故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참석차 일시 귀국하면서 그의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5/649118_454780_5526.jpg)
[폴리뉴스 김승훈 기자] '친노·친문 적자'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故 노무현 전 대통령 추도식 참석차 일시 귀국하면서 그의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재 야권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외에는 친노·친문계 인사 가운데 유력한 차기 주자가 없다 보니 김 전 지사의 역할론이 거론되고 있어서다.
김 지사는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징역 2년형을 확정받고 특별사면됐으나 아직까지 복권은 되지 않아 다음 대선 출마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김 전 지사의 복권 시기에 따라 친문계와 친명계의 계파 갈등이 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노무현의 마지막 비서관.. 추도식 참석차 일시 귀국
친노·친문 인사와 연쇄 회동 전망.. 비명계 아우르는 구심점 기대
김 전 지사는 19일 오후 4시 15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지난해 8월 영국 유학을 위해 출국한 이후 9개월 만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 15주기 추도식 참석을 위해 귀국했다.
김 전 지사의 귀국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현재 야권에서 거의 유일한 친노·친문계 대권 주자로서 '이재명 일극 체제'를 견제할 수 있는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4·10 총선 이후 '이재명 체제'가 강화되며 '친노·친문'계 구심점은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전해철 민주당 의원, 홍영표 새로운미래 의원 등 계파 구심점이 될 인사들은 컷오프(공천배제)되거나 당적을 옮겼다.
이번 총선으로 친문계의 한 축을 차지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자녀 입시 비리 혐의 등으로 1·2심에서 징역 2년이 선고돼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있다. 조 대표 마저 유죄가 확정돼 의원직을 상실하게 된다면 김 전 지사만이 남게 된다.
이런 가운데 노무현 전 대통령 퇴임 후에도 비서관을 지내며 '노무현의 마지막 비서관'으로 불렸고, 2017년 대선 때는 문재인 전 대통령 당선의 일등 공신으로 꼽힌 김 전 지사는 친노와 친문은 물론 비명계에게도 구심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김 전 지사는 추도식 참석 외에 다른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내달 중순 출국 전까지 이광재 전 지사를 비롯한 친노·친문 인사들을 만날 것으로 보인다.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난 김 전 지사는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만나 봬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재명 대표와도 만날 의향이 있는지' 묻는 말에는 "개인적인 일정이 아직 정해진 바는 없다"며 "이제 막 (한국에) 도착했으니 여러 이야기가 오갈 것이고, (일정이) 정리되지 않겠나"라고 답했다.
다만, 김 전 지사는 국내 정치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김 전 지사는 "더 열심히 보고 듣고 배우고 노력해야 하는 게 지금 제 처지가 아닌가 싶다"며 "지금 상황에서 제가 무슨 말씀을 드리기보다 오히려 더 많은 것을 보고 듣고 배워야 할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면서 현실 정치와 거리를 유지했다.
이어 김 전 지사를 친문(친문재인계) 구심점으로 보는 시각에 대해선 "아직 공부가 끝나지 않았고 일시 방문한 입장에서 한국 현실 정치에 대해 일일이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을 아꼈다.
그러면서 취재진을 향해 "궁금한 게 많을텐데 제가 충분히 많은 것을 보고 듣고 배우고 귀국하게 되면 그 때 제가 충실하게 궁금한 점에 답변하겠다. 오늘은 정말 일시 방문이니 짧게 말씀 드리는 것을 양해해 달라"며 다음을 기약했다.
드루킹 사건으로 징역 2년 확정.. 2027년 12월까지 출마 제한
박지원 "尹, 복권 해줘야.. 해줄 것" 고민정 "복권 필요해"
문제는 김 전지사가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징역 2년형이 확정된 후 복권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지난 2022년 12월 특별 사면으로 석방됐으나 복권은 되지 않아 2027년 12월 28일까지 피선거권이 없다. 복권되지 않으면 2026년 지방선거, 2027년 대선 출마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야권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이 김 전 지사를 복권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박지원 당선인은 지난 16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김 전 지사에 대해 "복권을 해줘야 한다. 저는 해줄 거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자기 장모는 가석방하고 훌륭한 야당 지도자는 복권을 안 해서 정치를 못 하게 묶어 놓으면 대통령도 안 좋다"며 "김 전 지사가 덕목을 갖춘 지도자인 것만은 사실인데 현재 윤 대통령이 (김 전 지사의) 운명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친문 핵심 고민정 의원도 "대통령의 특별 권한이기 때문에 짐작하기 어렵지만 저는 여전히 (김 전 지사의) 사면·복권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복권이 안 되면 뭔가 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한병도 민주당 의원도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 "시간이 많이 지났기 때문에 (김 전 지사의) 복권도 (윤 대통령이)적극적으로 검토해야 되지 않나 생각한다"고 했다.
반면, 윤 대통령이 김 전 지사를 복권시켜주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친문 핵심 윤건영 의원은 17일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김경수 전 지사의 복권 가능성에 대해 "아직 복권도 안 돼 있고 정치를 재개할 여건이 마련돼 있지 않다. 너무 지나친 상상력의 발현"이라며 "떡 줄 사람은 생각지도 않는데 김칫국부터 마시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사회자가 '김 전 지사가 복권이 되면 친문(친문재인) 구심점이 될 수도 있는가'라고 묻자 "가정에 가정에 가정을 한 서너 번은 해야 하는 질문"이라며 "굳이 뭐 그런 상황은"이라고 답을 피했다.
국힘 "김경수 복권, 민주당서 반길까? 이재명에 물어보길"
친명계, 김 전 지사에 견제 메시지 "민주당은 당원 중심 정당"
윤 대통령의 손에 김 전 지사의 복권이 달려 있는 만큼 정치권에서는 '김경수 복권'을 협치 카드로 쓸 수도 있지만 야권 분열 노림수로 활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박지원 당선인은 20일 윤 대통령에게 김 전 지사 복권 시기를 저울질하지 말고 시켜 줄 것이라면 빨리하라고 요구했다.
박 당선인은 20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민주당 분열 공작을 위해 김 전 지사를 복권시키는 그런 건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복권시키려면 빠른 시일 내에 해줘야지 결정적 순간에 하면 민주당이 분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을 코앞에 두고 복권시킨다면 '야당 분열 공작'으로 의심받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엄태영 비상대책위원도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김 전 지사가 복권을 통해 정치를 재개할 경우 친문(친문재인)·비명(비이재명)계의 구심점이 돼 차기 대권 도전도 가능하다"며 "툭하면 명심을 앞세우는 민주당 의원들은 이 대표에게 김 전 지사 복권에 대한 의견을 먼저 물어보시길 바란다"며 의미심장한 말을 남겼다.
그는 "김 전 지사는 민주주의의 꽃인 선거에 영향을 주기 위해 여론을 조작한 사람"이라며 "이런 사람에게 또다시 선거에 나올 기회를 준다는 게 말이 되나"라고 했다.
아울러 "이렇듯 그 누구도 바라지 않는 김 전 지사의 복권을 얘기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며 "김 전 지사는 민주주의 근간을 붕괴시킨 드루킹 댓글 사건 주범으로서 먼저 자기 잘못을 인정하고 국민께 용서부터 구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민주당 친명계에서도 김 전 지사를 향한 견제가 나오고 있다.
박성준 원내수석은 이날 라디오에 출연해 친문계가 이 대표의 대항마로 김 전 지사를 생각한다는 주장에 대해 "과거의 정당에는 몇몇 사람들이 모여서 추대하고 그런 형태에서의 인물을 만들어낸다고 하면 가능할 수도 있었지만 지금 우리 정당 구조는 당원 중심 정당이 됐다"며 "이러한 흐름에 부합할 수 있는 인물이 돼야만 선택을 받을 수 있지 그렇지 못할 경우 어렵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노무현 서거 15주기 추모식…범야권 총집결, 한덕수 황우여 등 여권도 한자리에
- 이재명 "노무현 정신 잊지 않고 당원 중심 대중정당 나아갈 것"
- [盧추도식] 文, 이재명·조국·김경수와 환담...“두 정당 연대해 성과내달라”
- [盧추도식] 황우여, 평산마을 찾아 文 예방…“협치 대화 나눠”
- 이재명 “2만명 넘게 탈당...당원 중심 대중정당으로 변모시키자”
- [이슈] 文 '연대 당부'에도 심상찮은 친문-친명.. '25만원 지원·당원권 강화'에 친문계 반발
- [이슈] 이재명 대표 연임 흔들... '당원권 강화·1년전 사퇴' 원조 친명 '7인회' 반발 부딪혀
- [이슈] 김경수, 광복절 복권으로 대선 후보 급부상 '이재명 일극체제 견제'.. 친문 "환영" 친명 "분열 의도"
- [이슈] '김경수 복권' 회오리...여권 '윤-한 갈등' 재점화...이재명 '복권요구' 여야 진실공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