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 의원 등 206명 난상토론.. 당헌·당규 개정 합의 불발
원조 친명 김영진 "시간 더 두고 숙의해야" 속도조절론 제기
5선 의원들 "당원권 강화 신중히 논의해야"
우상호 "원내직에 당원 의견 반영 옳지 않아"
국회의장 선거 결과로 리더십 타격... 친명계 "오히려 연임 탄력"
국민 여론, 이재명 연임 찬성 41.9% 반대 49.1%.. 당헌당규 개정 부적절 44.9%
![민주당이 추진 중인 당원권 강화와 대선 1년 전 당 대표직 사퇴 예외를 위한 당헌·당규 개정이 난항을 겪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polinews.co.kr/news/photo/202406/652218_458099_639.jpg)
[폴리뉴스 김승훈 기자] 민주당이 추진 중인 당원권 강화와 대선 1년 전 당 대표직 사퇴 예외를 위한 당헌·당규 개정이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 5일 당 소속 국회의원과 전국 지역위원장이 참여하는 연석회의를 열고 당헌·당규 개정을 위한 당내 의견을 수렴했으나 원조 친명계인 7인회에서도 이견이 나온 것이다.
민주당은 당헌·당규 TF가 마련한 개정안 내용을 확정짓겠다는 방침이지만 당내에서 반대 목소리가 더욱 강해질 경우 이 대표의 연임 도전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역 의원 등 206명 난상토론.. 당헌·당규 개정 합의 불발
원조 친명 김영진 "시간 더 두고 숙의해야" 속도조절론 제기
민주당은 5일 국회에서 비공개 회의를 열고 당헌·당규 개정 태스크포스(TF)가 마련한 당헌·당규 개정 시안을 두고 자유 토론을 벌였다. 현역 의원들과 원외 지역위원장 등 206명이 참석해 '국회의장단 후보자 및 원내대표 경선에 권리당원 투표 20% 반영', '당 대표 사퇴 시한 예외 조항'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날 참석자들 중에는 당원권 강화에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한 이들이 적지 않았다.
특히, 원조 친명계인 '7인회' 출신의 김영진 의원과 계파색이 옅은 조승래 의원 등이 공개적으로 이견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국회의장 경선에 당원 투표를 반영하는 문제와 당 대표 사퇴 시한 문제 모두에 대해 절차와 내용에 우려를 제기한 뒤 시간을 더 두고 숙의해야 한다며 '속도 조절론'을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의원은 "당원 중심 대중 정당 방향성엔 동의하지만, 당원의 자격과 권리와 의무를 같이 논의하면서 당원권 확대를 고민해야 한다"며 "전당대회까지 아직 시간이 있으니 검토를 더 해보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대표와 최고위원이 대선에 출마하고자 할 경우 선거일 1년 전에 사퇴하도록 한 기존 규정에 예외를 두기로 한 부분을 두고도 이견이 나왔다.
앞서 당헌·당규 개정 TF는 전국단위 선거 일정 등 상당한 사유가 있을 때 당무위원회 의결로 사퇴 시한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이 대표의 연임과 대선 출마를 위한 꼼수라는 비판이 제기되자 대통령의 임기 단축이나 탄핵 등의 상황을 염두에 둔 조처라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일부 참석자는 현재 1년으로 규정된 사퇴 시한을 6개월 또는 9개월로 명확하게 바꾸자고 주장했으며, 대선 1년 전 사퇴 규정을 완화할 게 아니라 더 일찍 대표직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당 안팎에선 일부 이견에도 불구하고 당헌·당규 TF가 마련한 개정안 내용 대부분이 최종안에 반영될 거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실제로 이날 회의에 참석한 206명 중 발언자는 7명에 불과했고, 이 중 상당수는 개정안에 동의한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
한민수 대변인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오늘 국회의원과 지역위원장 206명이 참여했고, 당원 중심의 대중 정당 중심으로 가야 한다는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표는 회의 마무리 발언에서 "당원 의견을 존중하고 그런 에너지를 키우는 흐름으로 가야 한다"며 "오늘 나온 부분을 최대한 반영하고 더 깊이 토론해 합리적 결론을 내겠다"고 했다고 한 대변인이 전했다.
5선 의원들 "당원권 강화 신중히 논의해야"
우상호 "원내직에 당원 의견 반영 옳지 않아"
하지만, 당내에서는 당원권 강화에 대한 신중론과 반대 의견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지난 3일 김태년·박지원·안규백·윤호중·정동영·정성호 등 5선 의원들은 이재명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당원권 강화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뜻을 전달했다.
안규백 의원은 "원내대표와 의장 선거와 관련해선 주권에 대한 의식 참여도 중요한 포인트 중에 하나고 흐름이 있어야 되는 것은 맞지만, 제도의 도입상 한계가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의견을 듣고 결정하자(고 했다)"고 말했다.
윤호중 의원도 당원권 강화 방안에 대해 "대의 변화를 읽어야 한다는 측면에서도 얘기하고 또 당내의 여러 의견을 모아서 결정해야 될 사안이라는 얘기도 했다"고 말했다.
우상호 의원은 지난달 23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당 일각에서 제기된 '10%룰' 등에 대해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 "원내직을 국회의원이 (선출하는 것은), 우리 당이 오랫동안 정착해온 일종의 선출 과정의 룰"이라며 "이것은 지키는 게 좋다"고 했다.
그러면서 "과거 3김 시대는 당대표나 당총재가 국회의장 후보를 지명했다. 국회의장이 건배사 할 때 당총재에게 감사 건배사를 한 적도 있어서 굉장히 언론에서 비판을 받은 적도 있다"면서 "그 이후에 민주정당으로서의 당내 민주주의를 구현하면서 적어도 국회의장 부의장 후보에 대해서만큼은 당대표가 지명하지 않도록 한다고 하는 일종의 규칙을 원칙을 세웠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회의장 선거 결과로 리더십 타격... 친명계 "오히려 연임 탄력"
지난 국회의장 후보 선정 과정에서 이재명 대표의 리더십에 상처가 난데 이어 당원권 강화를 놓고도 이견이 분출되자 이 대표의 연임에도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일단 친명계는 우원식 의원이 국회의장이 되면서 오히려 이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한 당내 구심력을 유지하기 위해 '이 대표 연임론'이 더욱 힘을 받게 됐다고 보고 있다.
박지원 민주당 당선인은 라디오에서 "우 의원이 국회의장 후보자가 됐기 때문에 이 대표는 오히려 반석 위에 섰다"며 "민주당이 참 건강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이재명 대표도 오히려 잘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 대표) 연임에 탄탄대로가 깔렸다"며 연임에 초록불이 켜진 것이냐는 진행자 질문에도 "그렇다"고 답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지난달 16일 국회의장 경선 직후 페이스북을 통해 "당원이 주인인 정당, 아직도 갈 길이 멀다"며 "이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똘똘 뭉쳐 정권교체의 길로 가자"고 전했다.
여기에 이번 전당대회에선 권리당원의 표 영향력도 확대되기에, 이재명 대표의 연임론에 더 힘이 실린다. 앞서 민주당 지도부는 총선 전 전당대회 규정에서 권리당원과 대의원의 표값을 60 대 1에서 20 대 1로 조정한 바 있다.
2026년에 지방선거가 있는 만큼 대선 1년 전 대표직 사퇴는 정치 현실에 맞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4일 BBS <아침저널>에서 "저는 이재명 대표가 당대표로서 연임해야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한 사람"이라며 "대선 과정에서 1년 전에 사퇴를 해야 되는데 총선이나 지방선거가 있을 경우에, 큰 흐름에 있어서의 이런 선거가 있을 경우에 그러면 당대표가 사퇴하는 게 맞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예를 들면 1년 전이면 (2026년) 3월에 사퇴를 해야 되고 6월에 지방선거를 해야 되는 것"이라며 "2026년에 당대표가 사퇴를 하고 거기에서 다시 당대표를 선출하는 과정에 지방선거를 준비를 해야 되느냐.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랬을 경우에 규정을 새롭게 보고 좀 더 폭넓게 생각해서 선거를 승리하기 위한 차원에서 어떻게 해야 되느냐. 그 차원에서의 지금 당헌·당규 개정도 하나의 논의가 되는 자리"라며 "그것은 크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국민 여론, 이재명 연임 찬성 41.9% 반대 49.1%.. 당헌당규 개정 부적절 44.9%
이 대표 연임에 대한 국민 여론은 찬반이 팽팽한 상황이다.
데일리안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공정㈜에 의뢰해 지난 3~4일 전국 남녀 유권자 14천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ARS,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p,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에서 "이재명 대표가 연임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41.9%인 반면 "새로운 인물이 당대표를 맡는 게 좋다"는 응답은 49.1%를 기록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9.0%다.
또, '민주당의 당헌·당규 개정에는 당대표가 대선에 출마하려면 1년 전에 사퇴해야 한다고 돼 있지만, 이를 개정해 상황에 따라 사퇴 시한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냐'를 100% 무선 ARS 방식으로 물은 결과 "적절하지 않다"가 44.9%를 얻었다. "적절한 일"이라는 응답은 41.6%로 오차범위내 격차를 보였다. "잘 모르겠다"는 13.5%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달 27∼2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한 전화 면접 방식,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p,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에 따르면 이 대표의 연임에 대해 '부적절하다'는 49%로 집계됐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친명계모임 '더민주전국혁신회의' 2기 출범, '이재명 대통령 만들기' 시동
- [이슈] 민주당 '당대표 대선출마 1년전 사퇴' 당헌 개정 추진…이재명 대표 연임 위한 원포인트 개정
- 이재명 “2만명 넘게 탈당...당원 중심 대중정당으로 변모시키자”
- 이재명 "노무현 정신 잊지 않고 당원 중심 대중정당 나아갈 것"
- 김성환 '수박' 논란에도 우원식 지지 첫 공개…"민심과 당심 누구보다 잘 아는 의원"
- [이슈] '친노·친문 적자' 김경수, 차기대권주자로 부상.. 당내 친문·비명 구심점 될까?
- [이슈] 이재명, 秋탈락 분노의 줄탈당에 '강성당원 달래기' "당원 권한 2배로".. 대표 연임 체제 정비
- [이슈] 민주당, 시도당위원장 선출시 권리당원 비중 상향 착수...“당내 민주주의 후퇴 우려”
- [이슈] 우원식 선출, 국회의장 '개딸 뜻대로' 안되자 '분노·비난' 폭발...의회정치 훼손 우려
- [이슈] 우원식 대파란 '이재명 일극체제' 급제동.. 이재명 리더십·대권가도 '흔들'
- [이슈] 우원식 선출 대이변, 민주당 중진이 움직였다
- 이재명 "22대 국회, 尹 국정횡포 막아야"
- [이슈] 민주당 국회의장 후보에 우원식…‘대이변’에 정치권 ‘술렁’
- [이슈] 오직 '명심이 민심' '국회의장 추미애'.. 강제 교통정리, 국회도 '이재명 일극체제'?
- 우상호 “당대표가 국회의장 결정은 잘못…秋 발언, 민주당 관행 깬 것”
- [이슈] '이재명 대표 연임' 눈앞...친명계 '또대명' 공론화, DJ 이후 처음
- [이슈] 22대 첫 국회의장 ‘추미애 단일화’ 될 듯...정성호·조정식 불출마, ‘명심’ 秋 선택
- 이재명 대표 연임 힘 싣는 당헌·당규 개정 '상당·특별 사유시 허용'…이재명 겉으론 반대
- [이슈] '이재명 대선용 당대표 연임 예외' 당헌·당규 개정, '친명 분화' 기폭제.. 원조친명 vs 신명계
- [이슈] '이재명 연임용' 당헌 개정, 이재명 '일극체제' 완료...6월말 대표 사퇴 후 8월전대 출마 전망
- [이슈] 민주 8·18 전대, 이재명 연임 도전·신명계 최고위원 가세 vs 비명계, 이인영 결집 전망